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요약문

목차

제1장 해수침투조사 개요 25

1.1. 배경 및 필요성 25

1.1.1. 도서·해안지역 농어업 용수로서 지하수 최적이용 도모 25

1.1.2. 휴식공간으로서 농어촌 발전 도모 26

1.2. 사업 목적 26

1.2.1. 사업 시행 26

1.2.2. 사업 목적 27

1.2.3. 사업 기간 및 내용 27

1.3. 사업 시행 근거 27

1.3.1. 법적 근거 27

1.3.2. 국가지하수관리기본계획 근거 28

1.4. 사업 추진 경과 31

1.4.1. 연차별 추진 경과 31

1.4.2. 해역별 추진 경과 34

1.4.3. 해수침투 관측공 심도 및 해안거리 36

제2장 해수침투 이론 및 관리 37

2.1. 해안지하수 37

2.1.1. 해안지하수 부존 특성 37

2.1.2. Ghyben-Herzberg 이론 38

2.2. 해수침투 39

2.2.1. 해수침투 발생 39

2.2.2. 경계면 상승 39

2.3. 해수침투 관리 방법 41

2.4. 국내의 해수침투 관리 41

2.5. 외국의 해수침투 관리 42

2.5.1. 미국 42

2.5.2. 유럽연합 44

2.5.3. 기타 45

제3장 해수침투 관측망 시설 및 유지·관리 47

3.1. 해수침투 관측망 47

3.1.1. 해수침투 관측망 개요 47

3.1.2. 해수침투 관측시설 세부 구성요소 49

3.1.3. 해수침투 관측시설의 변천(표 3-1~3-2, 그림 3-2) 50

3.2. 해수침투 관측망 유지·관리 53

3.2.1. 해수침투 관측망 위치 선정 53

3.2.2. 해수침투 관측망 운영 56

3.3. 해수침투 관측망 유지·관리 지침 64

3.3.1. 개요 64

3.3.2. 관측공 대장의 작성 65

3.3.3. 관측공의 표시 65

3.3.4. 관측자료의 수집 보고 66

3.3.5. 자동관측기기 67

3.3.6. 수위, 수질 관측방법 67

3.3.7. 지하수의 수질 분석 71

제4장 해수침투 분류기준 73

4.1. 전기전도도 73

4.1.1. 전기전도도의 정의 73

4.1.2. 전기전도도와 총용존고용물질의 관계 74

4.2. 수온 75

4.3. 염소이온 농도 75

4.4. 파이퍼 다이아그램(Piper diagram) 76

4.5. 염소이온 대비 중탄산이온 몰비 77

제5장 2016년 신규 및 이동 설치 해수침투 관측공 79

5.1. 2016년 신규 해수침투 관측공 80

5.1.1. 관측공 설치지구 80

5.1.2. 관측공 등급 81

5.1.3. 관측공 수리특성 84

5.1.4. 센서 설치 심도 결정 85

5.2. 2016년 신규 해수침투 관측공 조사 결과 86

5.2.1. 전기전도도 검층 결과 86

5.2.2. 수질(이온)분석 결과 89

5.3. 2016년 이동 설치 해수침투 관측공 조사 결과 91

5.3.1. 이동 설치 관측공 설치지구 91

5.3.2. 이동 설치 관측공 내역 92

5.3.3. 이동 설치 관측공 수리특성 93

5.3.4. 센서 설치 심도 결정 93

5.3.5. 이동 설치 관측공 조사 결과 94

제6장 2016년 해수침투 관측결과 97

6.1. 2016년 해수침투 관측 결과 97

6.1.1. 전기전도도와 식물생육과의 관계 분석 98

6.1.2. 추세 분석 결과 100

6.1.3. 농어촌지하수관리단계 도입 결과 104

6.2. 담·염수 경계면 분석 109

6.2.1. 분석 필요성 109

6.2.2. 분석 방법 109

6.2.3. 분석 결과 110

6.3. 경기도·인천광역시 권역 113

6.3.1. 설치운영 현황 : 13지구 내 25개소의 관측공 설치 운영 중 113

6.3.2. 시·군 별 지구명과 관측공 수 113

6.3.4. 해수침투 영향 지구 분석(2016.09 현재 ; 2016년 신규관측공 분석 제외) 115

6.4. 강원도 권역 121

6.4.1. 설치운영 현황 : 총 10지구 내 15 개소의 관측공 설치 운영 중 121

6.4.2. 시·군 별 지구명과 관측공 수 121

6.4.3. 관측결과 122

6.4.4. 해수침투 영향 지구 분석(2016.09 현재 ; 2016년 신규관측공 분석 제외) 123

6.5. 충청남도 권역 128

6.5.1. 설치운영 현황 : 총 10지구 내 20개소의 관측공이 설치 운영 중 128

6.5.2. 시·군 별 지구명과 관측공 수 128

6.5.3. 관측결과 129

6.5.4. 해수침투 영향 지구 분석(2016.09 현재 ; 2016년 신규관측공 분석 제외) 130

6.6. 전라북도 권역 133

6.6.1. 설치운영 현황 : 총 5지구 8개소 관측공 설치 운영 중 133

6.6.2. 시·군 별 지구명과 관측공 수 133

6.6.3. 관측결과 134

6.6.4. 해수침투 영향 지구 분석(2016.09 현재 ; 2016년 신규관측공 분석 제외) 135

6.7. 전라남도 권역 139

6.7.1. 설치운영 현황 : 총 29지구 내 53개소 관측공 설치 운영 중 139

6.7.2. 시·군 별 지구명과 관측공 수 139

6.7.3. 관측결과 140

6.7.4. 해수침투 영향 지구 분석(2016.09 현재 ; 2016년 신규관측공 분석 제외) 140

6.8. 경상북도 권역 162

6.8.1. 설치운영 현황 : 총 7지구 13개소의 관측공 설치 운영 중 162

6.8.2. 시·군 별 지구명과 관측공 수 162

6.8.3. 관측결과 163

6.8.4. 해수침투 영향 지구 분석(2016.09 현재 ; 2016년 신규관측공 분석 제외) 163

6.9. 경상남도·울산광역시 권역 166

6.9.1. 설치운영 현황 : 총 18개 지구에 29개소 관측공 설치 운영 중 166

6.9.2. 시·군 별 지구명과 관측공 수 166

6.9.3. 관측결과 167

6.9.4. 해수침투 영향 지구 분석(2016.09 현재 ; 2016년 신규관측공 분석 제외) 168

제7장 농어촌지하수관리 관측망 관측결과 관리기준 변경(안) 175

7.1. 현재 관리 기준 175

7.1.1. 농촌지하수관리 175

7.1.2. 해수침투 176

7.2. 변경(안) 관리기준 177

7.2.1. 개선 의견 177

7.2.2. 변경(안) 관리 기준 178

참고문헌 181

과업참여자 183

부록 184

부록 1. 해수침투 관측망 설치내역 185

부록 2. 지구별 관측 194

부록 2.1. 경기도·인천광역시 권역 196

2.1.1. 숭뇌지구(인천광역시 강화군) 198

2.1.2. 흥왕지구(인천광역시 강화군) 209

2.1.3. 상방지구(인천광역시 강화군) 218

2.1.4. 영흥지구(인천광역시 용진군) 228

2.1.5. 대부지구(안산시) 236

2.1.6. 서신지구(화성시) 249

2.1.7. 제부지구(화성시) 257

2.1.8. 포승지구(평택시) 265

2.1.9. 시흥지구(시흥시) 274

2.1.10. 월곶지구(김포시) 281

2.1.11. 장단지구(파주시) 288

2.1.12. 문산지구(파주시) 293

2.1.13. 교동지구(인천광역시 강화군) 298

부록 2.2. 강원도 권역 304

2.2.1. 토성지구(고성군) 306

2.2.2. 연곡지구(강릉시) 314

2.2.3. 조양지구(속초시) 323

2.2.4. 대포지구(속초시) 329

2.2.5. 초구지구(동해시) 336

2.2.6. 송정지구(동해시) 342

2.2.7. 강현지구(양양군) 348

2.2.8. 근덕지구(삼척시) 355

2.2.9. 초당지구(강릉시) 364

2.2.10. 포남지구(강릉시) 369

부록 2.3. 충청남도 권역 376

2.3.1. 난지지구(당진군) 378

2.3.2. 팔봉지구(서산시) 386

2.3.3. 서부지구(홍성군) 394

2.3.4. 장곡지구(보령시) 402

2.3.5. 선도지구(서천군) 410

2.3.6. 인주지구(아산시) 418

2.3.7. 근흥지구(태안군) 426

2.3.8. 남면지구(태안군) 434

2.3.9. 대산지구(서산시) 440

2.3.10. 주교지구(보령시) 446

2.3.11. 천북지구(보령시) 452

부록 2.4. 전라북도 권역 460

2.4.1. 대창지구(김제시) 462

2.4.2. 변산지구(부안군) 470

2.4.3. 자룡지구(고창군) 478

2.4.4. 금평지구(고창군) 484

2.4.5. 내흥지구(군산시) 490

부록 2.5. 전라남도 권역 498

2.5.1. 손불지구(함평군) 500

2.5.2. 효지지구(신안군) 511

2.5.3. 당촌지구(신안군) 519

2.5.4. 자동지구(신안군) 524

2.5.5. 감정지구(신안군) 532

2.5.6. 나리지구(진도군) 541

2.5.7. 신기지구(진도군) 549

2.5.8. 지막지구(진도군) 557

2.5.9. 오산지구(진도군) 565

2.5.10. 평호지구(해남군) 570

2.5.11. 화흥지구(완도군) 578

2.5.12. 정도지구(완도군) 590

2.5.13. 고금지구(완도군) 596

2.5.14. 갈문지구(완도군) 604

2.5.15. 안양지구(장흥군) 610

2.5.16. 벌교지구(보성군) 617

2.5.17. 진월지구(광양시) 625

2.5.18. 해룡지구(순천시) 632

2.5.19. 화양지구(여수시) 639

2.5.20. 소라지구(여수시) 646

2.5.21. 지산지구(영광군) 653

2.5.22. 신학지구(무안군) 660

2.5.23. 마량지구(강진군) 667

2.5.24. 연산지구(목포시) 674

2.5.25. 포두지구(고흥군) 681

2.5.26. 삼호지구(영암군) 688

2.5.27. 염산지구(영광군) 695

2.5.28. 망주지구(고흥군) 701

2.5.29. 군곡지구(해남군) 708

부록 2.6. 경상북도 권역 716

2.6.1. 평해지구(울진군) 718

2.6.2. 곡강지구(포항시) 729

2.6.3. 강구지구(영덕군) 737

2.6.4. 병곡지구(영덕군) 743

2.6.5. 하서지구(경주시) 751

2.6.6. 연일지구(포항시) 758

2.6.7. 감포지구(경주시) 764

부록 2.7. 경상남도·울산광역시 권역 770

2.7.1. 북구지구(울산광역시 북구) 772

2.7.2. 하동지구(하동군) 779

2.7.3. 갈화지구(남해군) 788

2.7.4. 서상지구(남해군) 799

2.7.5. 가인지구(남해군) 809

2.7.6. 송지지구(사천시) 817

2.7.7. 동해지구(고성군) 826

2.7.8. 도산지구(통영시) 834

2.7.9. 덕호지구(거제시) 843

2.7.10. 사등지구(거제시) 851

2.7.11. 시방지구(거제시) 858

2.7.12. 해운지구(창원시) 865

2.7.13. 수정지구(창원시) 871

2.7.14. 남양지구(창원시) 879

2.7.15. 감천지구(창원시) 885

2.7.16. 진북지구(창원시) 891

2.7.17. 악양지구(하동군) 897

2.7.18. 고전지구(하동군) 903

부록 3. 신규 관측공 주상도 908

부록 4. 이동 설치 관측공 주상도 920

표목차

〈표 1-1〉 해수침투조사 관측망 사업의 법적 시행근거 29

〈표 1-2〉 우리나라 지하수 관측망 운영현황 30

〈표 1-3〉 해수침투조사 사업 관측공 설치 현황 32

〈표 1-4〉 해역별 관측망 설치 현황 34

〈표 1-5〉 도서지역 및 해안지역 으로 구분된 해수침투 관측공 35

〈표 1-6〉 해수침투 관측공 심도 및 해안거리 36

〈표 3-1〉 관측망 유형과 센서 현황 51

〈표 3-2〉 관측망 유형과 센서의 변천 52

〈표 3-3〉 각 인자별 가중치 및 자료 출처 55

〈표 3-4〉 농지면적 등급 기준 55

〈표 3-5〉 지하수 이용량 등급 기준 55

〈표 3-6〉 농업인구 수 등급 기준 56

〈표 3-7〉 농업용 관정 수 등급 기준 56

〈표 4-1〉 전기전도도에서의 셀상수와 측정범위 관계 74

〈표 4-2〉 TDS를 이용한 물 분류표 75

〈표 4-3〉 파이퍼 다이아그램 상의 영역별 수질 유형 76

〈표 5-1〉 신규 관측공 등급 결정 결과 83

〈표 5-2〉 2016년도 신규 해수침투조사 관측공 내역 84

〈표 5-3〉 2016년도 신규 해수침투조사 관측공 현장조사 결과 85

〈표 5-4〉 2016년도 신규 해수침투조사 관측공 센서 설치 86

〈표 5-5〉 신규 관측공 전기전도도 값 87

〈표 5-6〉 신규 관측공 전기전도도와 식물생육과의 관계 88

〈표 5-7〉 신규 관측공 지하수 수질 유형 90

〈표 5-8〉 신규 관측공 Cl/HCO₃ 몰비 90

〈표 5-9〉 신규 관측공 Cl/HCO₃ 몰비에 따른 분류 91

〈표 5-10〉 2016년도 이동 설치 해수침투 관측공 현황 91

〈표 5-11〉 2016년도 이동 설치 해수침투조사 관측공 내역 93

〈표 5-12〉 2016년도 이동 설치 해수침투조사 관측공 현장조사 결과 93

〈표 5-13〉 2016년도 이동 설치 해수침투조사 관측공 센서 설치 94

〈표 5-14〉 이동 설치 관측공 전기전도도 값 94

〈표 5-15〉 이동 설치 관측공 전기전도도와 식물생육과의 관계 95

〈표 5-16〉 이동 설치 관측공 지하수 수질 유형 95

〈표 5-17〉 이동 설치 관측공 Cl/HCO₃ 몰비 96

〈표 5-18〉 이동 설치 관측공 Cl/HCO₃ 몰비에 따른 분류 96

〈표 6-1〉 해수침투 관측공 전기전도도와 식물생육과의 관계 99

〈표 6-2〉 장기관측 자료의 추세변화가 발견되는 관측공 101

〈표 6-3〉 농어촌지하수관리단계 기준 적용 결과 105

그림목차

〈그림 1-1〉 해수침투 관측망 현황 33

〈그림 2-1〉 해안지역의 담수체 및 해수체의 이론적 모형 38

〈그림 2-2〉 양수에 의한 경계면의 상승추 형성 모식도 40

〈그림 3-1〉 해수침투 관측시설 모식도 48

〈그림 3-2〉 해수침투 관측시설 안내판 51

〈그림 3-3〉 다중심도 지하수 모니터링 장치의 구조 63

〈그림 4-1〉 파이퍼 다이아그램을 이용한 유형분류 77

〈그림 6-1〉 숭뇌지구(좌) 담염수 경계면 분석사례(우) 110

〈그림 6-2〉 포승지구(좌) 담염수 경계면 분석사례(우) 111

〈그림 6-3〉 서부지구(좌) 담염수 경계면 분석사례(우) 111

〈그림 6-4〉 대창지구(좌) 지하수위 감소 분석(우) 112

〈그림 6-5〉 경기도·인천광역시 권역 관측망 설치현황 113

〈그림 6-6〉 경기도·인천광역시 권역 이온분석 결과 114

〈그림 6-7〉 경기도 안산시 대부지구 117

〈그림 6-8〉 경기도 화성시 제부지구 118

〈그림 6-9〉 경기도 시흥시 시흥지구 119

〈그림 6-10〉 인천광역시 강화군 숭뇌지구 120

〈그림 6-11〉 강원도 권역 관측망 설치현황 121

〈그림 6-12〉 강원도 권역 이온분석 결과 122

〈그림 6-13〉 강원도 강릉시 연곡지구 124

〈그림 6-14〉 강원도 강릉시 초당지구 125

〈그림 6-15〉 강원도 속초시 조양지구 126

〈그림 6-16〉 강원도 삼척시 근덕지구 127

〈그림 6-17〉 충청남도 권역 관측망 설치현황 128

〈그림 6-18〉 충청남도 권역 이온분석 결과 129

〈그림 6-19〉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지구 130

〈그림 6-20〉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지구 131

〈그림 6-21〉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지구 132

〈그림 6-22〉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지구 132

〈그림 6-23〉 전라북도 권역 관측망 설치현황 133

〈그림 6-24〉 전라북도 권역 이온분석 결과 134

〈그림 6-25〉 전라북도 김제시 대창지구 135

〈그림 6-26〉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지구 136

〈그림 6-27〉 전라북도 고창군 자룡지구 137

〈그림 6-28〉 전라북도 군산시 내흥지구 138

〈그림 6-29〉 전라남도 권역 관측망 설치현황 139

〈그림 6-30〉 전라남도 권역 이온분석 결과 140

〈그림 6-31〉 전라남도 신안군 당촌지구 141

〈그림 6-32〉 전라남도 신안군 자동지구 142

〈그림 6-33〉 전라남도 신안군 감정지구 143

〈그림 6-34〉 전라남도 진도군 신기지구 144

〈그림 6-35〉 전라남도 진도군 오산지구 145

〈그림 6-36〉 전라남도 해남군 평호지구 146

〈그림 6-37〉 전라남도 완도군 화흥지구 148

〈그림 6-38〉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지구 149

〈그림 6-39〉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지구 150

〈그림 6-40〉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지구 151

〈그림 6-41〉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지구 152

〈그림 6-42〉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지구 153

〈그림 6-43〉 전라남도 영광군 지산지구 154

〈그림 6-44〉 전라남도 영광군 염산지구 155

〈그림 6-45〉 전라남도 무안군 신학지구 156

〈그림 6-46〉 전라남도 강진군 마량지구 157

〈그림 6-47〉 전라남도 목포시 연산지구 158

〈그림 6-48〉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지구 159

〈그림 6-49〉 전라남도 고흥군 망주지구((구) 남양지구) 160

〈그림 6-50〉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지구 161

〈그림 6-51〉 경상북도 권역 관측망 설치현황 162

〈그림 6-52〉 경상북도 권역 이온분석 결과 163

〈그림 6-53〉 경상북도 포항시 곡강지구 164

〈그림 6-54〉 경상북도 포항시 연일지구 165

〈그림 6-55〉 경상남도·울산광역시 권역 관측망 설치현황 166

〈그림 6-56〉 경상남도 권역 이온분석 결과 167

〈그림 6-57〉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지구 169

〈그림 6-58〉 경상남도 남해군 갈화지구 169

〈그림 6-59〉 경상남도 남해면 서상지구 170

〈그림 6-60〉 경상남도 남해면 가인지구 171

〈그림 6-61〉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지구 172

〈그림 6-62〉 경상남도 창원시 해운지구 173

이용현황보기

(2016) 해수침투조사 보고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47754 628.11 -17-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