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대구 월성동유적 주요 석기 사진 7

Ⅱ. 대구 월성동유적 흑요석제 석기 및 원산지 분석 18

Ⅰ. 유적 개요 19

Ⅱ. 흑요석제 석기의 분포와 출토양상 19

Ⅲ. 흑요석제 석기의 종류와 특징 21

1. 돌날 21

2. 새기개와 새기개 격지 22

3. 흑요석제 좀돌날 23

Ⅳ. 흑요석 산지 분석 24

1. 분석방법 24

2. 분석결과 25

Ⅴ. 정리 및 과제 25

참고문헌 27

[분석 참고 자료] 28

Ⅲ. 대구 월성동유적 출토 유물 쓴자국 분석 61

Ⅰ. 머리말 62

Ⅱ. 석기 쓴자국 분석 방법 62

Ⅲ. 월성동 구석기유적 출토 석기의 쓴자국 분석 68

1. 밀개 68

2. 긁개 71

3. 새기개 71

4. 돌날 78

5. 좀돌날 80

6. 새기개격지 84

Ⅳ. 석기에서 관찰된 흔적에 대한 해석 103

Ⅴ. 맺음말 107

참고문헌 108

[부록] 국립대구박물관 소장 대구 월성동유적 흑요석 목록 110

판권기 120

표목차

Ⅱ. 대구 월성동유적 흑요석제 석기 및 원산지 분석 31

표 1. SPECTRAL SHAPE DISCRIMINATION 방법에 의한 월성동 흑요석의 산지판별 결과 31

표 2. 월성동유적 출토 흑요석 분석 결과 수치 1 32

표 3. 월성동유적 출토 흑요석 분석 결과 수치 2 33

표 4. 월성동유적 출토 흑요석 분석 결과 수치 3 34

표 5. 월성동유적 출토 흑요석 분석 결과 수치 4 41

표 6. 대구 월성동유적의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 47

Ⅲ. 대구 월성동유적 출토 유물 쓴자국 분석 63

표 1. 쓴자국분석을 위한 선별 석기 63

표 2. 관찰 흔적의 형성 위치와 방향에 대한 기호 68

표 3. 좀돌날에서 관찰되는 흔적에 대한 해석 104

표 4. 월성동 유적 쓴자국 분석을 위한 선별 석기와 흔적이 관찰된 석기 106

그림목차

Ⅱ. 대구 월성동유적 흑요석제 석기 및 원산지 분석 20

그림 1. 월성동유적의 주 석기제작장(M1~M4)과 주변 석기제작장(S1~S8) 李在景(2008) 20

그림 2. 월성동유적의 흑요석 출토양상 20

그림 3. 흑요석 출토 비율 21

그림 4. 좀돌날의 너비와 길이 비율 23

Ⅲ. 대구 월성동유적 출토 유물 쓴자국 분석 105

그림 1. 새기개 격지에서 관찰되는 흔적의 위치와 특징 105

그림 2. 새기개격지에서 관찰되는 흔적 해석 105

그림 3. 돌감에 따른 분석석기와 흔적이 관찰된 석기 105

그림 4. 혼펠스 석기에서 관찰되는 흔적의 작업재료 106

그림 5. 흑요석 석기에서 관찰되는 흔적의 작업재료 106

그림 6. 혼펠스 석기 종류에 따른 작업재료 107

그림 7. 흑요석 석기 종류에 따른 작업재료 107

사진목차

사진 1. 대구 월성동유적 조사지역 위치도 5

사진 2. 새기개 및 긁개(1~3), 뚜르개(4), 찌르개(5~6), 긁개(7) 8

사진 3. 밀개(1~8) 9

사진 4. 새기개(1~14) 10

사진 5. 좀돌날몸돌(1~21) 11

사진 6. 좀돌날몸돌(22~44) 12

사진 7. 좀돌날몸돌(45~62) 13

사진 8. 좀돌날몸돌(63~86) 14

사진 9. 좀돌날몸돌(87~98), 좀돌날몸돌 예비소재(blank(99)) 15

사진 10. 좀돌날(1~60) 16

사진 11. 대구 월성동유적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1~9) 50

사진 12. 대구 월성동유적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10~18) 51

사진 13. 대구 월성동유적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19~27) 52

사진 14. 대구 월성동유적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28~36) 53

사진 15. 대구 월성동유적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37~45) 54

사진 16. 대구 월성동유적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46~54) 55

사진 17. 대구 월성동유적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55~63) 56

사진 18. 대구 월성동유적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64~72) 57

사진 19. 대구 월성동유적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73~81) 58

사진 20. 대구 월성동유적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82~90) 59

사진 21. 대구 월성동유적 분석에 사용된 흑요석제 석기(91~100) 60

사진 22/사진 1. 혼펠스와 흑요석의 보존 상태에 따른 표면의 양상 63

사진 23/사진 2. 쓴자국 분석과정에서 관찰되는 주요 흔적 64

사진 24/사진 3. 작업재료에 따른 흔적의 특징 확인을 위한 혼펠스, 흑요석을 이용한 실험 65

사진 25/사진 4. 혼펠스 실험 석기에서 관찰되는 주요 흔적과 특징 66

사진 26/사진 5. 흑요석 실험 석기에서 관찰되는 주요 흔적과 특징 67

사진 27/사진 6. 월성동유적 흑요석 새기개 손잡이 장착 추정 103

지도목차

지도 1. 대구 월성동 구석기유적 위치도(S = 1:25,000)(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08) 6

이용현황보기

대구 월성동유적 흑요석 원산지 및 쓴자국 분석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54811 951.99409 -17-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54812 951.99409 -17-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