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한국고전선집을 펴내며
목차
김종직은 누구인가 16
제1장 구름 구경, 대나무 구경 29
진주 사람 권양구의 청풍정 시에 화답하다 33
매포루에 올라 쌍매당 선생의 시에 차운하다 35
동쪽 성의 참새들 37
금강산에 올라 해돋이를 구경하다 39
한밤중에 양산의 징심헌에 앉아서 본 것을 기록하다 43
서읍령 46
여흥에 정박하다 49
새끼 원숭이 51
초봄에 대궐에서 53
고열암에서 자다 55
추석날 천왕봉에서 달을 보지 못하다 57
산을 내려와서 읊다 59
쾌청한 날 제운루에서 61
여주의 청심루에 오르다 63
밤에 보은사 아래에 배를 대 놓고 시를 써서 주지 지우 선사에게 드리다 66
창랑정 69
충주의 공신루를 읊은 시에 차운하다 72
한식날 어느 시골집에서 75
8월 1일 아침에 일찍 영암을 출발하여 월출산을 지나다 78
추석날 능성현의 봉서루에 오르다 80
복룡 가는 도중에 83
여름날 산수풍경을 그린 병풍 두 폭에 시를 적다 85
관어대부 88
두류산을 유람한 기행록 94
제2장 찾아오는 발소리 반가웠지 99
김선원이 찾아오다 103
허사악이 홍겸선에게 주려던 벼루를 빼앗고는 시를 지어 사과하다 106
불국사에서 김세번과 함께 이야기하다 109
손봉산이 부쳐 준 연아체 시에 다시 화답하다 111
나월헌의 옥명 스님에게 주다 115
일본산 벼루를 유극기에게 주었는데, 그가 사례한 시에 차운하다 119
고령부원군 신숙주 어르신의 시를 받들어 화답하다 121
김굉필과 곽승화 두 수재에게 답하다 124
밀양 부사 임수창의 시집에 있는 사가재의 시에 화운하다 128
진산군께서 서울에서 부친 시에 차운하다 132
과거를 보러 떠나는 제자들에게 시를 써서 전송해 주다 134
김선원에 대한 만사 137
광한루에서 김계운과 조태허에게 화답하다 141
추강에게 부쳐 주다 144
김 승지에게 답하다 147
형재 선생의 시집에 대한 서문 150
윤상 선생의 시집에 대한 서문 156
제3장 산 사람은 이제 누구를 의지할꼬 163
수군이 금산으로 가다 167
목아를 애도하다 170
보천탄 가에서 어머니를 맞이하다 172
생원 권처지의 시에 차운하다 175
과거에 급제한 생질 강백진에게 시를 지어 주다 178
손자 희손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다 182
10월 11일에 아들 곤이 세상을 떠나, 15일에 일현에 임시로 매장하다 185
7월 22일에 아들이 태어난 기쁨을 기록하다 190
중용 형을 전송하다 193
죽은 아내 숙인 조씨에 대한 제문 196
조카 치에게 답하는 편지 202
『이준록』 - 선공의 사업 208
『이준록』 - 제후(題後) 212
제4장 옛일 슬퍼하며 홀로 길게 읊조리네 217
탁라가 14수 221
예안을 지나다가 우탁을 회고하다 227
「동도악부」 회소곡 229
「동도악부」 우식곡 233
「동도악부」 치술령 236
「동도악부」 달도가 239
「동도악부」 양산가 243
「동도악부」 방아 타령 247
「동도악부」 황창랑 251
포석정 255
계림의 옛일을 생각하다 258
황산 261
승려 윤료가 선산지리도를 만들었으므로, 그 위에 절구를 쓰다 264
태인의 연못가에서 최치원을 생각하다 270
탄현에서 성충을 회고하다 272
송도록에 대한 발문 275
제5장 백성들이야 무슨 잘못 있으랴 283
동래현의 온천 287
호랑이 사냥에 나섰다가 중단하다 290
가흥참 293
아산현에 묵다 296
낙동강 노래 299
길가의 소나무 껍질이 다 벗겨지다 303
비가 오지 않아 걱정하다 306
범어역의 길가에서 본 것을 기록하다 308
장맛비를 걱정하다 310
비가 오자 기뻐하다 312
차밭 315
함양성 초소의 지붕 공사 318
성모묘에 기우제를 드리고 돌아오는 길에 비가 내리다 320
성 쌓는 공사 322
우물이 말라 버리다 325
쌀을 건져 내는 것을 탄식하다 327
영천의 소루에 대한 기문 330
제6장 점필재, 그에 대한 후대의 평가 335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실린 졸기(卒記) 337
2. 조선왕조실록의 여러 평가 342
3.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평가 349
4. 『점필재집』 후서 353
5. 신도비명 359
6. 신도비명 후지 370
7. 점필재 선생 묘갈문 373
연보 379
참고문헌 390
판권기 39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257770 | 811.081 -17-18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EM0000071575 | 811.081 -17-18 | 전자자료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