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1. 환경보건정책 현황 3
Ⅰ. 추진배경 5
Ⅱ. 현대사회와 환경ㆍ건강문제 7
1. 수용체와 건강중심의 환경정책 패러다임 변화 7
2. 환경성질환 현황 8
3. 국내 정책 현주소 10
4. 외국의 환경보건정책 현황 11
Ⅲ. 환경보건정책의 개요 11
1. 환경보건정책의 개념 12
2. 환경보건정책의 영역 12
3. 환경보건정책 추진체계 13
4. 환경보건법 체계 13
Ⅳ/Ⅵ. 어린이 환경보건 정책 16
1. 환경오염에 민감한 어린이 건강보호 필요 17
2. 어린이 건강영향 조사 17
3. 어린이 관련 환경유해물질 관리 강화 18
4. 어린이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 21
5. 어린이 환경보건 인식 제고를 위한 대내ㆍ외 소통 강화 24
6. 실내공기질 관리(실내공기질관리법) 24
7. 라돈관리 25
8. 석면안전관리(석면안전관리법) 25
9.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지원 26
10. 환경보건 기술 R&D 26
Ⅴ. 한계 및 향후 추진 방향 27
2. 실내공기질 환기ㆍ정화기술 및 유지관리방안 29
1. 실내공기질 및 개선기술 개요 31
실내공기질 문제의 등장 배경 31
Acceptable IAQ 32
실내공기오염 32
Sick Building Syndrome(SBS) 33
BRI & IEI 33
환경, 오염원, 인체의 상관관계 34
실내공기 오염물질 발생원의 분류 34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 및 발생원 35
건물의 단계별 실내공기질 35
건물의 단계별 실내공기질 36
실내공기질의 메커니즘 38
실내공기질 개선기술의 분류 38
2. 발생제어기술 39
발생제어 40
발생원의 제거 및 저감 41
발생원의 밀폐 및 차단 49
주위 환경의 정비 51
3. 환기기술 52
환기 53
환기의 분류 56
자연환기 57
기계환기 61
하이브리드 환기 70
4. 공기정화기술 74
공기정화(제거제어) 75
공기정화(기능성 자재) 79
5. 실내공기질 유지관리기술 84
일반적인 실내공기질(IAQ) 관리방안 84
실내 공기질 관리방안의 적용 85
관리방안별 특징 85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 86
국내외 실내공기질 대응 동향 87
실내공기질 문제 대응 방안의 활용 88
맺음말 89
3. 실내환경관리 정책방향 및 법령해설 90
1. 실내공기질 관리 필요성 92
2.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연혁 95
3. 실내공기질 관리체계 98
4. 실내공기질관리법 주요 내용 99
5. 주요 질의회신 사례 105
6. 2013년 점검결과 107
7. 향후 정책 추진방향 108
4. 실내환경 오염물질 측정분석방법 112
제1장 서론 113
제2장 본론 113
1. 구성 113
가. 실내공기 오염물질 시료채취 및 평가방법 113
나. 건축자재 및 목질판상제품 방출물질 시험방법 118
다. 실내공기 중 오염물질 측정방법-수동시험방법 123
라. 실내공기 중 오염물질 측정방법-연속자동측정방법 125
제3장 결론 127
참고문헌 128
5. 실내환경 오염물질 특성 및 건강영향 130
1. 서론 131
2. 실내공기오염 발생원 131
(1)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분류 132
(2) 입자상 오염물질 144
(3) 복합물질 145
3.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146
3-1. 정부 부처별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146
3-2. 주요국가별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148
4. 실내공기오염물질의 관리방안 150
5. 실내공기질 관리지침 151
가. 공동주택 151
나. 지하시설 154
참고문헌 157
6. 층간소음 현황 및 해소방안 160
층간소음이란? 161
층간소음 기준 162
층간소음 건설기준 163
층간소음으로 인한 신체의 영향 163
비교소음과 소음의 영향 164
'층간소음' 국민의 88%가 스트레스 받고 164
응답자의 54%는 층간소음으로 인해 이웃과 다퉈 165
층간소음 관련 사고 165
층간소음 관련 현황 167
공동주택 거주 현황 167
콜센터(1661-2642) 상담서비스 168
현장방문 진단ㆍ측정 서비스 접수현황 168
주거형태별 발생현황 169
준공연도별(추정) 발생현황 169
계절별 충간소음 상담 접수현황 170
층간소음 발생원인 170
층간소음 피해자 주거위치별 현황 171
층간소음 갈등, 왜 생기는가? 171
국가소음정보시스템 172
층간소음으로 인한 피해 172
층간소음 피해자 분석 173
갈등진행 단계 173
보복소음 사례 174
아래층 상담사례 175
위층 상담사례 175
층간소음 분쟁, 해결 방법은? 177
층간소음 해결단계 178
1단계 : 관리사무소 179
2단계 :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179
3단계 : 환경분쟁조정위원회 180
4단계 : 민사소송 180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소개 181
추진경과 181
운영조직 182
주요업무 182
전화 및 현장방문상담 183
사전예방을 위한 공동주택 맞춤형 서비스 183
홍보활동 및 저감물품 184
층간소음 줄이는 방법은? 185
어른들 발걸음 소음 186
아이들 뛰는 소음 186
가구 끄는 소음 187
문닫는 소음 187
악기(피아노) 소음 188
망치질, 소형기계, 운동기구 소음 188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소음이라면 시간과 장소를 바꾸자!! 189
이벤트 소음, 미리 양해를 구하자!! 189
이웃간에 서로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와 관계를 만들자!! 190
층간소음의 구조적 해결방법은? 190
공동주택의 구조 방식 191
바닥충격음 저감공법 192
욕실 급배수음 저감공법 193
층간소음 분쟁 상담사례 193
해외사례 196
7. 실내공기질 관련 유해영향 관리 200
배경 및 실내오염물질의 문제성 202
환경과 건강 202
환경성 질환의 위해 203
Environmental burden of disease(WHO, 2002) 203
실내공기오염으로 인한 질병의 기여위험도(WHO, 2002) 204
국내 환경성 질병 부담 204
John Griscom(surgeon), New York, 1850 205
실내공기 오염(Indoor Air Pollution)의 등장배경 205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발생원 206
실내공기오염원 관리의 중요성 206
실내공기오염의 실태 207
실내공기오염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들 207
실내 환경과 유해 영향 208
국내 실내공기 관련 유해 영향 현황 208
알레르기 질환 발행의 관련인자 209
주요 실내 오염 물질과 건강 영향 209
실내 환경으로 인한 건강 문제 210
실내공기오염 유발 요인들 218
오염물질의 발생 218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발생원 및 인체영향 225
실내공기 오염과 건강장해 225
오염물질의 발생 230
간접 흡연(environmental tobacco smoke : ETS) 231
여성흡연자와의 관련 질병 231
담배로 인한 증상 232
국내 실내 오염물질 평가 및 건강영향 연구 232
어린이와 실내환경 233
어린이는 어른의 축소형이 아니다 233
노출 시기별 주요 독성 영향 endpoint 234
노출 시기에 따른 암사망율 비교 234
실내먼지 및 VOCs와 알레르기 질환 235
어린이 민감성 유해물질의 증가(프탈레이트) 235
실내 프탈레이트 농도와 알레르기 질환 관련성(스웨덴, Bornehag et. al., 2004) 236
실내공기 오염과 건강장해 236
어린이 민감성 유해물질의 증가(PBDEs) 237
브롬화난연제와 건강 영향 237
국내 프탈레이트 및 PBDEs의 실내 오염 수준 238
어린이 민감성 유해물질의 증가(Pesticides) 239
Effect of redecoration 239
위해 기반의 실내공기질 관리 240
국외 실내공기질 관리 현황 240
국외 실내공기질 관리 현황 240
현대 사회는 "Risk Society" 242
위해성 평가(Risk Assessment) 243
허용가능 위해도 245
Risk Assessment & Management 245
KIAQ 설정을 위한 허용 위해 수준 제안 246
기준 설정 관련 사례 연구 246
실내공기질 유해영향 관리 대책 248
주기적인 KIAQ 기준 재검토 제도화 248
실내공기질 유해영향 관리 대책 249
결론 252
판권기 255
4. 실내환경 오염물질 측정분석방법 116
〈그림 1〉 신축 공동주택에서 시료채취세대 선정방법 116
〈그림 2〉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 채취 조건 117
〈그림 3〉 소형방출챔버장치의 일반적인 구성도 119
〈그림 4〉 방출셀 시스템의 구성도의 예 121
〈그림 5〉 실내 공기 중 총부유세균 채취 방법 125
5. 실내환경 오염물질 특성 및 건강영향 132
〈그림 1〉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분류 13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