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일러두기

목차

영조 3년 정미(1727, 옹정 5) 7월 31

25일(기묘) 맑음 31

03-07-25_01 상이 창덕궁(昌德宮)에 있었고, 상참(常參)과 경연(經筵)을 정지하였다 31

03-07-25_02 내일 대왕대비전에 문안해야 하는데 사직단(社稷壇)에 거둥하는 것과 겹치므로 대책을 묻는 약방의 계 31

03-07-25_03 태백성이 사지(巳地)에 나타났다 32

03-07-25_04 영월 부사(寧越府使) 이성조(李聖肇)가 하직하였다 32

03-07-25_05 감찰이 다시(茶時)를 한다는 송인명(宋寅明)의 계 32

03-07-25_06 비변사 낭청이, 빈청(賓廳)이 좌기(坐起)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송인명의 계 32

03-07-25_07 좌의정의 상소를 승정원에 그대로 둔다는 송인명의 계 33

03-07-25_08 성상의 체후와 대왕대비전 등의 기후를 묻는 약방 제조 심수현(沈壽賢) 등의 계 33

03-07-25_09 왕대비전에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을 5첩 더 지어 들이겠다는 약방의 두 번째 계 33

03-07-25_10 입직한 내삼청(內三廳) 등의 중일 습사(中日習射)를 위해 표신(標信)을 내줄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34

03-07-25_11 비궁(閟宮)에서 기우제를 지냈는데도 비가 내리지 않으므로 전례를 조사해 차례대로 기도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李仁復)의 계 34

03-07-25_12 입직한 내삼청 등의 중일 습사를 기우제의 재계와 겹쳐 설행하지 못한다는 도총부의 계 34

03-07-25_13 홍문관 제학 이집(李㙫)을 패초하여 사직단 기우제의 제문을 지어 올리도록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35

03-07-25_14 비어 있는 승지의 후임을 즉시 차출하여 영의정에게 수서(手書)를 전하게 하고, 좌부승지를 개차한 뒤 그 후임을 오늘 정사에서 차출하라는 전교 35

03-07-25_15 사서(司書) 조적명(趙迪命)에게 속히 역마를 타고 올라오도록 하유(下諭)할 것을 청하는 시강원의 계 35

03-07-25_16 좌승지 정석삼(鄭錫三)을 패초해야 하는데 본청의 규례에 구애되므로 대책을 묻는 이인복의 계 36

03-07-25_17 사직단에서 친히 지낼 기우제의 시각을 개정(改定)하여 들이라는 전교 36

03-07-25_18 사직단에 거둥할 때의 절목(節目) 등을 남교(南郊)에 거둥할 때의 전례를 따라 거행하라는 전교 36

03-07-25_19 사직단 기우제와 관련하여 오늘부터 치재(致齋)할 것 등을 청하는 예조의 계 37

03-07-25_20 동부승지 유정(柳綎)을 변통해야 하는데 대책을 묻는 이정제(李廷濟)의 계 37

03-07-25_21 내일 기우제를 지낼 때의 시위(侍衛) 등에 인원을 갖추어야 하므로 정랑 한사득(韓師得)을 우선 개차하고 그 후임 등을 차출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38

03-07-25_22 동부승지 유정을 추고(推考)만 하고 다시 패초하라는 전교 38

03-07-25_23 종묘나 사직단에서 친히 제사를 지낼 때는 예(禮)를 줄인 경우가 없으므로 대책을 묻는 예조의 계 39

03-07-25_24 기우제와 관련하여 홍상용(洪尙容) 등을 군직(軍職)에 붙인 다음 차임할 것을 청하는 이조의 계 39

03-07-25_25 어영청 교련관이, 사직단에 거둥할 때 유진(留陣)하는 일을 겸 중군별장(兼中軍別將) 남익화(南益華)로 대신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송인명의 계 40

03-07-25_26 사직단 기우제에 거둥할 때 어영청의 군병을 중군으로 하여금 대신 유진하게 할지 묻는 병조의 계 40

03-07-25_27 사직단 기우제에 거둥할 때 경기의 역마(驛馬)를 보충해 입파(入把)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41

03-07-25_28 사직단에 거둥한 뒤 대왕대비전 등의 문안에 어느 승지가 나아갈지 묻는 이정제의 계 41

03-07-25_29 사직단에 동가(動駕)할 때 배종(陪從)하는 승지의 인원을 갖추어야하므로 대책을 묻는 송인명의 계 41

03-07-25_30 영중추부사 조도빈(趙道彬)이 녹패(祿牌)를 내주지 않으므로 대책을 묻는 호조의 계 42

03-07-25_31 강원 감사의 장계와 관련하여 호랑이에게 물려 죽은 사람들에게 휼전을 거행하라는 전교 42

03-07-25_32 사직단에 거둥할 때 대가(大駕)의 각 차비 도사(差備都事)를 갖출 수 없으므로 가도사(假都事) 3원을 차출할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43

03-07-25_33 보방(保放)한 죄인 신겸제(申兼濟) 등을 도로 수감한다는 의금부의 계 43

03-07-25_34 사직단 기우제와 관련하여 시신(侍臣)에 관한 절차 등을 줄여 들인다고 아뢰고, 궁을 나가고 들어올 때 상이 탈 것 등을 전례대로 할지 묻는 예조의 계 43

03-07-25_35 사직단 기우제와 관련하여 모든 절목 등을 줄이는 일은 남교에 거둥할 때의 전례대로 거행하겠다는 병조의 계 44

03-07-25_36 영의정 이광좌(李光佐)에게 전유(傳諭)한 결과를 보고하는 이정걸(李廷傑)의 서계(書啓) 45

03-07-25_37 어미의 병을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도승지 이정제(李廷濟)의 상소 46

03-07-25_38 근자에 내린 상의 처분과 관련하여 소회를 진달하고 파직해 줄 것 등을 청하는 개성 유수(開城留守) 조영복(趙榮福)의 상소 47

03-07-25_39 아비의 묘소를 개축해야 한다는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예조 판서 이집(李㙫)의 상소 53

03-07-25_40 근자에 내린 상의 처분과 관련하여 소회를 진달하고 삭직해 줄 것을 청하는 예조 참판 김유경(金有慶)의 상소 55

03-07-25_41 정세(情勢)를 이유로 삭직해 줄 것을 청하는 부수찬 윤용(尹容)의 상소 57

03-07-25_42 연석에서 아뢴 내용과 관련하여 상의 질책을 받았다는 이유 등으로 삭탈해 줄 것을 청하는 수찬 강박(姜檏)의 상소 60

03-07-25_43 이비(吏批) 및 병비(兵批)의 관원 현황과 관직 제수 내용 63

03-07-25_44 내일의 시사(視事)를 어떻게 할지 묻는 이인복의 계 64

26일(경진) 아침에는 흐리고 저녁에는 비가 옴 65

03-07-26_01 상이 사직단(社稷壇)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65

03-07-26_02 대가(大駕)가 사직단에 이르러 막차(幕次)에 들어간 뒤 정원(政院) 등이 대전 등에 문안하였다 65

03-07-26_03 재전(齋殿)으로 이어(移御)할 것을 청하는 약방의 계 65

03-07-26_04 내일의 시사(視事)를 탈품(頉稟)한다는 이인복(李仁復)의 계 66

03-07-26_05 이조 낭청이 비어 있는 대간(臺諫)에 대한 정사를 어떻게 할지 물은 데 대한 여필용(呂必容)의 계 67

03-07-26_06 백관(百官)이 자리에 나아가는 것에 대해 상의 뜻을 묻는 이인복의 계 67

03-07-26_07 대왕대비전 등에 문안하러 나아가기 위해 하직(下直)한다는 정석삼(鄭錫三)의 계 67

03-07-26_08 훈련도감 지구관(訓鍊都監知彀官) 등이 등을 달고 내리는 등의 일을 보고한 데 대한 송인명(宋寅明)의 계 67

03-07-26_09 원도(遠道)에 있는 사헌부 관원을 개차하고 그 후임을 오늘 정사에 서 차출하라는 전교 68

03-07-26_10 새로 제수된 승지를 패초할 것을 청하는 정석삼의 계 68

03-07-26_11 집의 이보욱(李普昱) 등을 개차하겠다는 송인명의 계 68

03-07-26_12 제주(濟州)의 유생 변시중(邊是重)에게 전시(殿試)에 곧바로 응시할 자격을 주라는 전교 69

03-07-26_13 새로 제수된 집의 강필경(姜必慶) 등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송인명의 계 69

03-07-26_14 장령 김호(金浩)를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69

03-07-26_15 사직단 기우제와 관련하여 배종(陪從)하는 신하들이 어떤 방법으로 궁을 나가고 돌아올지 묻는 이인복의 계 69

03-07-26_16 시위(侍衛)하는 신하들도 보종(步從)할지 묻는 송인명의 계 70

03-07-26_17 이번 친제(親祭)와 관련하여 목욕재계하는 등의 일을 각별히 신칙(申飭)하라는 전교 70

03-07-26_18 내일 궁으로 돌아올 때 상언(上言)을 받으라는 전교 70

03-07-26_19 상언을 받는 일에 대해 백성이 환히 알게 하라는 전교 71

03-07-26_20 단비가 내렸으나 집사(執事)들을 각별히 신칙하라는 전교 71

03-07-26_21 홍문관 제학과 승지를 인견(引見)하겠다는 전교 71

03-07-26_22 상번(上番)을 내려 입직하게 하겠다는 시강원의 계 71

03-07-26_23 사직단 기우제 때의 아헌관(亞獻官)을 낙창군(洛昌君) 이탱(李樘)으로 고쳐 부표(付標)하여 들인다는 이조의 계 72

03-07-26_24 사직단 기우제와 관련하여 외사(外司)는 도안청 낭청(都案廳郎廳)을 직숙(直宿)하게 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72

03-07-26_25 태묘(太廟)에서 지낼 보사제(報謝祭)를 오는 28일에 거행하도록 각 해당 관사에 분부할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 73

03-07-26_26 입직한 병조 등의 당상과 낭청에게 분부하여 각 색의 숙위(宿衛)하는 장사(將士)를 순검(巡檢)하도록 신칙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73

03-07-26_27 병조 낭청이 궐내 각처의 입직 군사를 야순검(夜巡檢)하겠다고 보고한 데 대한 가승지의 계 73

03-07-26_28 도총부 낭청이 궐내 각처의 입직 군사를 야순검하겠다고 보고한 데 대한 가승지의 계 73

03-07-26_29 사관 1원(員)을 대명(待命)시키라는 전교 74

03-07-26_30 사관 1원을 대명시켰다는 이인복의 계 74

03-07-26_31 이비 및 병비의 관원 현황과 관직 제수 내용 74

03-07-26_32 정세와 병세를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조태억(趙泰億)의 상소 75

03-07-26_33 사직단 기우제에 거둥할 때 파자전교(把子前橋)에서 좌승지 정석삼(鄭錫三) 등이 입시하였는데, 상이 충익위로 하여금 살개(撒蓋)를 봉지(捧持)하게 하였다 79

03-07-26_34 사직단 기우제에 거둥할 때 사직단 문밖에서 좌승지 정석삼(鄭錫三) 등이 입시하여, 언제쯤 연(輦)에서 내릴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80

03-07-26_35 사직단에서 기우제를 지내기 위해 장전(帳殿)에 있을 때 인견하는 자리에 홍문관 제학 이집(李㙫) 등이 입시하여, 보사제 및 기우제를 설행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81

27일(신사) 맑음 86

03-07-27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86

03-07-27_02 대왕대비전 등에 승지 등을 보내 문안하였다 86

03-07-27_03 기우제를 마친 뒤에 정원(政院) 등이 문안하였다 86

03-07-27_04 대가(大駕)가 궁으로 돌아온 뒤에 정원 등이 문안하였다 87

03-07-27_05 전례대로 연여(輦輿)를 대령하겠다는 이인복(李仁復)의 계 87

03-07-27_06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이인복의 계 87

03-07-27_07 오는 1일의 윤대(輪對)를 어떻게 할지 묻는 이인복의 계 87

03-07-27_08 대왕대비전 등에 문안하러 나아가기 위해 하직한다는 정석삼(鄭錫三)의 계 87

03-07-27_09 대왕대비전 등에 문안을 입계하였다는 정석삼의 계 88

03-07-27_10 영의정을 데리러 나아가기 위해서 하직한다는 여필용(呂必容)의 계 88

03-07-27_11 사직단에서 기우제를 지낸 뒤에 도승지 여필용(呂必容) 등이 입시하여 대감(臺監)을 추고하여 경책하기를 청하였다 88

03-07-27_12 사직단에서 제사 지낸 뒤 어가 앞에 약방 제조 심수현(沈壽賢) 등이 입시하여 궁으로 돌아갈 때 상이 무엇을 탈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89

03-07-27_13 기우제를 지낸 뒤 궁으로 돌아오면서 혜정교(惠政橋)에서 판의금부사 심수현(沈壽賢) 등이 입시하여 수도안(囚徒案)을 읽고, 죄수를 소결(疏決)하여 풀어 주기 위해 논의하였다 90

28일(임오) 맑음 107

03-07-28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107

03-07-28_02 영변 현감(寧邊縣監) 신덕하(申德夏)가 하직하였다 107

03-07-28_03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이인복(李仁復)의 계 107

03-07-28_04 이조 낭청이 비어 있는 대간에 대한 정사를 어떻게 할지 물은 데 대한 이인복의 계 107

03-07-28_05 성상의 체후와 대왕대비전 등의 기후를 묻는 약방 제조 심수현(沈壽賢) 등의 계 108

03-07-28_06 대왕대비전 등에 약방이 구전(口傳)으로 문안하였다 108

03-07-28_07 입직한 내삼청 등의 중일 습사(中日習射)를 위해 표신을 내줄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108

03-07-28_08 아직 숙배하지 않았거나 정고(呈告)한 양사의 관원을 패초하여 수령을 서경(署經)하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109

03-07-28_09 태묘(太廟) 등에서 지낸 제사와 관련하여 아헌관(亞獻官) 이하를 서계(書啓)하라는 전교 109

03-07-28_10 장성 부사(長城府使) 강계부(姜啓溥)를 파출(罷黜)할 것을 청하는 이비의 계 109

03-07-28_11 이비 및 병비의 관원 현황과 관직 제수 내용 110

03-07-28_12 새로 제수된 보덕 조익명(趙翼命)에게 속히 역마를 타고 올라오도록 하유할 것을 청하는 시강원의 계 110

03-07-28_13 경상도의 8월 치 진상(進上)과 관련하여 고성 현령(固城縣令) 양취달(楊就達) 등을 죄줄 것을 청하는 사옹원 감선 제조(司饔院監膳提調)의 계 111

03-07-28_14 충청 감사가 장계를 올려 경기 감사 권이진(權以鎭)이 위중하여 올라가지 못한다고 한 데 대해 속히 올라오라고 회유(回諭)하라는 전교 111

03-07-28_15 휘릉(徽陵) 및 혜릉(惠陵)을 개수하는 일과 관련하여 정원으로 하여금 상의 뜻을 물어 처리하게 할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 111

03-07-28_16 휘릉을 개수한 뒤에 차례로 혜릉에 나아가 개수하고 함께 복명(復命)할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 112

03-07-28_17 휘릉 및 혜릉을 개수하는 일과 관련하여 전례대로 중신이 나아가게 할지 묻는 이인복의 계 112

03-07-28_18 조영석(趙榮祏)이 산원(算員)에게 채찍을 친 일에 대해 물어서 아뢰라는 전교 113

03-07-28_19 교리 오명신(吳命新) 등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113

03-07-28_20 전후의 거둥 때 병을 핑계로 나오지 않은 한성부 주부 정곤하(鄭崑河) 등을 태거(汰去)할 것을 청하는 이조의 계 113

03-07-28_21 전 예천 군수(醴泉郡守) 이사일(李思一)에게 준직(準職)을 제수할 것 등을 청하는 이조의 계 114

03-07-28_22 해서(海西)의 4번 별마대(別馬隊) 등을 동영(東營)의 3번 별마대와 교대시킨 뒤에 구군(舊軍)은 내려보내겠다는 어영청의 계 114

03-07-28_23 하번(下番)인 마군(馬軍) 등에게 목면(木棉)을 면급(面給)한 뒤에 별단(別單)에 써서 들이겠다는 어영청의 계 114

03-07-28_24 좌부(左部) 우사(右司)에 속한 전라 좌도의 군병을 중사(中司)의 군병과 교대시킨 뒤에 구군은 내려보내겠다는 어영청의 계 115

03-07-28_25 오는 10월과 11월에 입번해야 할 해서의 별마대를 시기에 맞춰 징발해 보내도록 본도의 감사 등에게 통지하겠다는 어영청의 계 115

03-07-28_26 오는 10월과 11월에 입번해야 할 전라 좌도와 우도의 군병을 징발해 보내도록 본도의 감사 등에게 통지하겠다는 어영청의 계 115

03-07-28_27 7번(番) 중부(中部) 중사에 속한 경기 4개 초(哨) 등의 군병을 내외의 각처에 입직한 마군(馬軍) 등과 교대시킨 뒤에 구군은 내려보내겠다는 금위영의 계 115

03-07-28_28 오는 10월에 입번해야 할 7번 중부 우사에 속한 강원도의 군병이 점고를 받도록 하는 등의 일에 대해 양도의 감사 등에게 미리 통지할 것을 청하는 금위영의 계 116

03-07-28_29 이재후(李載厚)를 가주서로 삼았다 116

03-07-28_30 미품(微稟)할 바를 즉시 진달하지 않은 해당 내관을 엄하게 추고하라는 비망기 116

03-07-28_31 부사과에 정석오(鄭錫五)를 단부하였다 117

03-07-28_32 휘릉과 혜릉을 개수하는 일과 관련하여 어느 중신이 나아갈지 묻는 이인복의 계 117

03-07-28_33 교리 오명신(吳命新) 등을 즉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117

03-07-28_34 좌랑 조영석이 산원에게 채찍을 친 일과 관련하여 공무를 수행하지 않은 산원들을 엄히 다스릴 것 등을 청하는 호조의 계 117

03-07-28_35 조영석이 산원에게 채찍을 친 일과 관련하여 호조에 물어본 결과를 보고하는 김상규(金尙奎)의 계 119

03-07-28_36 임징하(任徵夏)를 처형할 것 등과 사직단 기우제 때 태만했던 관원을 태거할 것 등을 청하는 집의 강필경(姜必慶)의 계 120

03-07-28_37 노모의 병을 이유로 체차를 청하고, 장령 김호(金浩)가 올린 소본(疏本)과 관련하여 변론하는 좌부승지 송인명(宋寅明)의 상소 124

03-07-28_38 다른 신하와 똑같이 감단(勘斷)해 줄 것을 청하는 판중추부사 조도빈(趙道彬)의 상소 126

03-07-28_39 사적인 의리를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고 충신과 역적을 구분하는 문제 등에 대한 소회를 진달하는 장령 김호의 상소 130

29일(계미) 맑음 141

03-07-29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141

03-07-29_02 내일의 시사를 탈품한다는 이인복(李仁復)의 계 141

03-07-29_03 비변사 낭청이, 빈청이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인복의 계 141

03-07-29_04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이인복의 계 142

03-07-29_05 병조 판서 심수현(沈壽賢)이 명소(命召)를 바치기를 청하였는데 어떻게 할지 묻는 김상규(金尙奎)의 계 142

03-07-29_06 심수현이 내일 능을 개수한 뒤 들어와 군병을 영솔해야 하는데 대책을 묻는 김상규의 계 142

03-07-29_07 어영대장 이봉상(李鳳祥)을 패초하여 전교를 듣게 하겠다는 김상규의 계 143

03-07-29_08 한성부 당상 신광하(申光夏)를 추고하여 경책(警責)할 것을 청하는 김상규의 계 143

03-07-29_09 대장 이봉상이 조련하지 못한다는 어영청의 단자와 관련하여 도로 내주라는 전교 143

03-07-29_10 충청 감사 조정만(趙正萬)을 즉시 패초하여 하직 인사 하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144

03-07-29_11 사직단 기우제 때의 아헌관인 낙창군(洛昌君) 이탱(李樘) 등에게 내구마(內廏馬)를 면급(面給)하고, 진폐작주관(進幣爵酒官)인 판서 오명항(吳命恒) 등에게 반숙마(半熟馬) 등을 사급(賜給)하라는 전교 144

03-07-29_12 태묘 기우제 때의 아헌관인 낙창군 이탱 등에게 내구마를 면급하고, 진폐찬작관(進幣瓚爵官)인 판서 오명항 등에게 숙마(熟馬) 등을 사급하라는 전교 145

03-07-29_13 영녕전(永寧殿) 기우제 때의 궁위령 내관(宮闈令內官) 안만령(安萬齡) 등에게 아마(兒馬)를 사급하라는 전교 146

03-07-29_14 영녕전 기우제 때의 초헌관인 밀창군(密昌君) 이직(李樴)에게 숙마를 면급하고, 아헌관인 여천군(驪川君) 이증(李增) 등에게 숙마 등을 사급하라는 전교 146

03-07-29_15 태묘 기우제 때의 제시 내관(祭侍內官) 최만유(崔萬裕) 등에게 반숙마를 사급하라는 전교 146

03-07-29_16 사직단 기우제 때의 제시 내관 김수억(金壽億) 등에게 반숙마를 사급하라는 전교 147

03-07-29_17 한 사람에게 중첩하여 상을 주지 말라는 전교 147

03-07-29_18 교리 오명신(吳命新) 등을 다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147

03-07-29_19 교리 오명신 등을 의금부에 내려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147

03-07-29_20 유생(儒生)의 상순 윤차(上旬輪次)를 기한 안에 하지 못한다는 성균관의 계 147

03-07-29_21 정사를 잘못하였으므로 체직해 줄 것과 말을 사급하라는 명을 회수해 줄 것을 청하는 이조 판서 오명항(吳命恒)의 상소 148

영조 3년 정미(1727, 옹정 5) 8월 152

1일(갑신) 맑음 152

03-08-01_01 상이 창덕궁(昌德宮)에 있었고, 상참(常參)과 경연(經筵)을 정지하였다 152

03-08-01_02 태백성(太白星)이 사지(巳地)에 나타났다 152

03-08-01_03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이인복(李仁復)의 계 153

03-08-01_04 장령 김호(金浩)가 물러나 물론을 기다리겠다고 한 데 대한 김상규(金尙奎)의 계 153

03-08-01_05 익양군(益陽君) 이단(李檀)에게 유마(由馬)와 요전상(澆奠牀)을 지급하라는 전교 153

03-08-01_06 좌부승지 송인명(宋寅明)을 즉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정석삼(鄭錫三)의 계 153

03-08-01_07 좌부승지 송인명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153

03-08-01_08 정고(呈告)하였거나 아직 숙배하지 않은 양사의 관원을 즉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상규의 계 154

03-08-01_09 지평 이춘제(李春躋) 등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154

03-08-01_10 충청 감사 조정만(趙正萬)을 다시 패초하여 하직 인사 하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154

03-08-01_11 가을에 전알(展謁)하는 일과 관련하여 어느 능(陵)으로 정하며 언제로 날을 잡을지 묻는 예조의 계 154

03-08-01_12 숭릉(崇陵)에 전알하는 일을 이달 16일로 정하여 행할지 묻는 예조의 계 155

03-08-01_13 숭릉에 전알하는 일을 무자년 가을의 예대로 마련할지 묻는 예조의 계 155

03-08-01_14 평안 도사 등의 장계와 관련하여 물에 빠져 죽은 사람들에 대해 휼전을 거행하라는 전교 156

03-08-01_15 소대(召對)를 하겠다는 전교 156

03-08-01_16 각 청 당하 무신들의 7월분 시사(試射)를 설행하지 못한다는 병조의 계 157

03-08-01_17 숙녕옹주(淑寧翁主)의 봉사손(奉祀孫) 박창문(朴昌門) 등이 정단(呈單)한 것과 관련하여 낭청을 보내어 적간하게 한 뒤 묘소의 경계를 분명히 정해 줄 것을 청하는 종친부 유사 당상의 계 157

03-08-01_18 영의정 이광좌(李光佐)에게 수서(手書)를 전한 결과를 보고하는 행 도승지 이정제(李廷濟)의 서계(書啓) 165

03-08-01_19 대신(大臣)이 현의 옥문 밖에서 대명한다는 행 도승지 이정제의 서계 167

03-08-01_20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에게 비답을 전한 결과를 보고하는 우부승지 조최수(趙最壽)의 서계 168

03-08-01_21 더 이상 인책(引責)하지 말라는 내용으로 영의정에게 다시 돈유(敦諭)하라는 비망기 169

03-08-01_22 더 이상 사양하지 말고 올라오라는 내용으로 좌의정에게 전유(傳諭)하라는 전교 170

03-08-01_23 임징하(任徵夏)의 일 등을 아뢰고, 그 당시 이의를 제기한 승지 등을 극변(極邊)에 원찬(遠竄)할 것 등을 청하는 집의 강필경(姜必慶)의 계 171

03-08-01_24 성상의 비답 내용에 대해 소회를 진달하고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장령 김호(金浩)의 계 173

03-08-01_25 대사헌을 의망한 일과 관련하여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이조 참의 조문명(趙文命)의 상소 176

03-08-01_26 조정에 나아갈 수 없는 세 가지 이유 등을 진달하고 본직과 겸직을 삭탈해 줄 것 등을 청하는 우의정 홍치중(洪致中)의 상소 178

03-08-01_27 희정당(熙政堂)에서 소대를 행하는 자리에 참찬관 김상규(金尙奎) 등이 입시하여 《황명통기(皇明通紀)》를 진강하고, 충청 감사 조정만(趙正萬)을 패초하는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182

2일(을유) 맑음 197

03-08-02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주강(晝講)만 행하였다 197

03-08-02_02 정주 목사(定州牧使) 박명우(朴溟羽)가 하직하였다 197

03-08-02_03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이인복(李仁復)의 계 197

03-08-02_04 집의 강필경(姜必慶)이 물러나 물론을 기다리겠다고 한 데 대한 정석삼(鄭錫三)의 계 197

03-08-02_05 성상의 체후와 대왕대비전 등의 기후를 묻는 약방 제조 심수현(沈壽賢) 등의 계 198

03-08-02_06 왕대비전에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을 5첩 더 지어 들이겠다는 약방의 두 번째 계 198

03-08-02_07 대왕대비전 등에 약방이 구전(口傳)으로 문안하였다 199

03-08-02_08 입직한 내삼청(內三廳) 등의 중일 습사(中日習射)를 위해 표신(標信)을 내줄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199

03-08-02_09 아직 숙배하지 않았거나 정고(呈告)한 양사의 관원을 패초하여 수령을 서경(署經)하게 할 것을 청하는 김상규(金尙奎)의 계 199

03-08-02_10 정언 이도겸(李道謙)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199

03-08-02_11 이조 판서 오명항(吳命恒) 등을 즉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상규(金尙奎)의 계 199

03-08-02_12 주강할 때 이조 판서 오명항을 입시하게 하겠다는 정석삼의 계 200

03-08-02_13 새로 제수된 회양 부사(淮陽府使) 김도협(金道浹)을 개차(改差)할 것을 청하는 이비의 계 200

03-08-02_14 이비(吏批)와 병비(兵批)의 관원 현황과 계 및 관직 제수 내용 201

03-08-02_15 자리를 비운 관원을 오늘 정사에서 차출하고 즉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201

03-08-02_16 숭릉(崇陵)에 제사 지낸 뒤 각 능에 전알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로 대차(大次)에 들어가는 일을 의주(儀註)에 마련하지 말 것인지 묻는 예조의 계 202

03-08-02_17 석전제(釋奠祭) 때 제관에 차출할 문관이 부족하므로 생원 등으로 변통하여 차출하겠다는 이조의 계 202

03-08-02_18 숭릉에 행행할 때 경유할 도로로 원오현(遠於峴)을 간심하여 서계할지 묻는 병조의 계 202

03-08-02_19 숭릉에 행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주정소(晝停所)를 전례대로 마련하겠다는 병조의 계 203

03-08-02_20 숭릉에 행행할 때 어느 영(營) 군병이 유도(留都)할지 묻는 병조의 계 203

03-08-02_21 임징하(任徵夏)를 논죄한 데 대한 상의 답과 관련하여 변론하고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집의 강필경(姜必慶)의 계 204

03-08-02_22 목시룡(睦時龍) 등의 일을 아뢰는 사간 조상경(趙尙慶) 등의 계 207

03-08-02_23 정세(情勢)를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의 상소 207

03-08-02_24 상전(賞典)을 거두어 줄 것을 청하는 낙창군(洛昌君) 이탱(李樘)의 상소 210

03-08-02_25 상전을 거두어 줄 것을 청하는 밀창군(密昌君) 이직(李樴)의 상소 211

03-08-02_26 역적을 두둔한 죄를 지었으므로 삭직해 줄 것을 청하는 형조 참판 김상옥(金相玉)의 상소 212

03-08-02_27 정세와 병세를 이유로 개차해 줄 것을 청하는 지평 이춘제(李春躋)의 상소 214

03-08-02_28 선정전(宣政殿)에서 주강을 행하는 자리에 지사 이태좌(李台佐) 등이 청대하여 입시하고 특진관 이익한(李翊漢) 등이 입시하여 《중용》을 진강하고, 도목 정사 및 가례를 행하는 문제, 호남(湖南)에 어사(御史)를 파견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216

3일(병술) 맑음 248

03-08-03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주강만 행하였다 248

03-08-03_02 태백성이 사지(巳地)에 나타났다 248

03-08-03_03 시사(視事)를 탈품(頉稟)한다는 조석명(趙錫命)의 계 248

03-08-03_04 충청 감사 조정만(趙正萬)을 다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조석명의 계 249

03-08-03_05 오늘 주강 때, 아직 숙배하지 않았거나 정고(呈告)한 인원을 입시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조석명의 계 249

03-08-03_06 이종성(李宗城)을 가주서로, 남위로(南渭老)를 사변가주서로 삼았다 249

03-08-03_07 우승지 이인복(李仁復)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정석삼(鄭錫三)의 계 249

03-08-03_08 하번(下番) 겸춘추 김성발(金聲發)을 감하(減下)하고 그 후임을 오늘 정사에서 차출할 것을 청하는 조석명의 계 250

03-08-03_09 우승지 이인복의 후임을 오늘 정사에서 차출한 다음 패초할 것을 청하는 조석명의 계 250

03-08-03_10 이비 및 병비의 관원 현황과 관직 제수 내용 250

03-08-03_11 좌랑 임경(任敬) 등을 개차할 것을 청하는 이비의 계 251

03-08-03_12 제릉 참봉(齊陵參奉) 한사철(韓師喆)을 개차할 것을 청하는 김상규(金尙奎)의 계 251

03-08-03_13 심정보(沈廷輔)의 상례(喪禮) 및 장례(葬禮)에 소용되는 물품 등을 마련해 제급(題給)하라는 전교 251

03-08-03_14 장생전의 쓰다 남은 관판(棺板)을 내수사에 가려 보내라고 해당 조에 말하라는 전교 251

03-08-03_15 숭릉(崇陵)에 거둥하는 일과 관련하여 각 지방 역에서 보충하여 입파하는 말은 각별히 가려 정해 점고받도록 각 도의 감사에게 통지할 것 등을 청하는 병조의 계 252

03-08-03_16 임징하(任徵夏)를 처형할 것 등과 장령 김호(金浩) 등을 출사시킬 것을 청하는 지평 이춘제(李春躋)의 계 252

03-08-03_17 정호(鄭澔)와 민진원(閔鎭遠)에 대한 처벌을 청하는 집의 강필경(姜必慶) 등의 계 253

03-08-03_18 목시룡(睦時龍)을 처단할 것 등을 청하는 사간 조상경(趙尙慶) 등의 계 256

03-08-03_19 좌승지 정석삼(鄭錫三)이 올린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어미의 병을 간호하라는 비답 256

03-08-03_20 부제학 서명균(徐命均)이 올린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직임을 살피라는 비답 257

03-08-03_21 강원 감사 김진옥(金鎭玉)이 올린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직임을 살피라는 비답 257

03-08-03_22 우승지 이인복(李仁復)이 올린 상소에 대해 본직(本職)을 체차해 준다는 비답 257

03-08-03_23 호조 참판 이정신(李正臣)이 올린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직임을 살피라는 비답 257

03-08-03_24 부교리 이광덕(李匡德)이 올린 상소에 대해 아비의 병을 살피고 속히 돌아오라는 비답 257

03-08-03_25 예조 참판 김동필(金東弼)이 올린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직임을 살피라는 비답 258

03-08-03_26 어미의 병을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좌승지 정석삼의 상소 258

03-08-03_27 정세를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부제학 서명균의 상소 259

03-08-03_28 병세를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강원 감사 김진옥의 상소 261

03-08-03_29 부모의 병과 의리를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우승지 이인복의 상소 263

03-08-03_30 정세와 병세를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호조 참판 이정신의 상소 265

03-08-03_31 아비의 병을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홍문관 교리 이광덕의 상소 268

03-08-03_32 연석에서 비난하는 말이 나왔다는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예조 참판 김동필의 상소 270

03-08-03_33 선정전(宣政殿)에서 주강을 행하는 자리에 지사 오명항(吳命恒) 등이 입시하여 《중용》을 진강하고, 승지의 망(望)을 변통하는 문제, 권규(權珪)의 관작을 회복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271

4일(정해) 맑음 279

03-08-04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279

03-08-04_02 태백성이 사지(巳地)에 나타났다 279

03-08-04_03 심성진(沈星鎭)을 가주서로 삼았다 279

03-08-04_04 가주서 이종성(李宗城) 등을 군직(軍職)에 붙일 것을 청하는 윤유(尹游)의 계 279

03-08-04_05 의릉(懿陵)의 앞길을 지날 때 능상이 바라보이는 곳을 가로지르는 일은 없는지 조사해 내일 주강할 때 보고하라는 전교 280

03-08-04_06 합계(合啓)에 대한 비답과 관련하여 인혐하고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집의 강필경(姜必慶) 등의 계 280

03-08-04_07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조석명(趙錫命)의 계 283

03-08-04_08 집의 강필경 등이 물러나 물론(物論)을 기다리겠다고 한 데 대한 조석명의 계 283

03-08-04_09 충청 감사 조정만(趙正萬)을 다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윤유의 계 283

03-08-04_10 사관을 대명(待命)시키고 기마를 대기시키라는 비망기 283

03-08-04_11 8월 7일에 도목 정사를 하겠다는 김상규(金尙奎)의 계 284

03-08-04_12 금호문(金虎門)에 입직한 훈련도감 초관 이민행(李敏行)이 위중하므로 원래의 단자에 고쳐 부표(付標)하여 들인다는 병조의 계 284

03-08-04_13 영의정 이광좌(李光佐)에게 전유한 결과를 보고하는 도승지 여필용(呂必容)의 서계 284

5일(무자) 맑음 285

03-08-05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주강만 행하였다 285

03-08-05_02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김상규(金尙奎)의 계 285

03-08-05_03 비변사 낭청이, 빈청(賓廳)이 좌기(坐起)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윤유(尹游)의 계 285

03-08-05_04 감찰이 다시(茶時)를 한다는 윤유의 계 286

03-08-05_05 입직한 내삼청 등의 중일 습사를 위해 표신을 내줄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286

03-08-05_06 부수찬 임광(任珖)에게 역마를 타고 올라오도록 하유할 것 등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286

03-08-05_07 부제학 서명균(徐命均)을 즉시 패초할 것 등을 청하는 윤유의 계 287

03-08-05_08 은율 현감(殷栗縣監) 유학기(兪學基)를 파출할 것을 청하는 이비의 계 287

03-08-05_09 금군 별장(禁軍別將) 오중주(吳重周)를 개차하고 그 후임을 즉시 차출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287

03-08-05_10 출신 이한준(李漢俊)을 잡아올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288

03-08-05_11 궁가(宮家)와 주원(廚院)에서 청한 일은 모두 시행하지 말 것을 청하는 호조의 계 288

03-08-05_12 이비 및 병비의 관원 현황과 관직 제수 내용 289

03-08-05_13 부수찬 신치운(申致雲)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290

03-08-05_14 봉교 윤상백(尹尙白) 등에게 속히 역마를 타고 올라오도록 하유할 것을 청하는 조석명(趙錫命)의 계 290

03-08-05_15 집의 강필경(姜必慶) 등을 출사하게 할 것을 청하는 수찬 윤광익(尹光益)의 차자 290

03-08-05_16 정호(鄭澔)와 민진원(閔鎭遠)에 대한 처벌을 청하는 집의 강필경 등의 합계 291

03-08-05_17 목시룡(睦時龍)을 처단할 것 등을 청하는 사간 조상경(趙尙慶) 등의 계 및 임징하(任徵夏)를 처형할 것 등을 청하는 집의 강필경 등의 계 291

03-08-05_18 배종(陪從)하는 일과 관련하여 속히 변통해 줄 것을 청하는 경기 감사 권업(權업)의 상소 292

03-08-05_19 정호, 민진원과 똑같이 국법을 시행해 줄 것을 청하는 영돈녕부사 어유귀(魚有龜)의 상소 293

03-08-05_20 정세를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대사간 송인명(宋寅明)의 상소 299

03-08-05_21 헌관으로서 지은 죄에 대해 문책해 줄 것과 노병을 이유로 체차해 줄 것 등을 청하는 호조 판서 이태좌(李台佐)의 상소 300

03-08-05_22 성묘(省墓)를 위해 휴가를 청하는 전라 감사 정사효(鄭思孝)의 상소 302

03-08-05_23 선정전(宣政殿)에서 주강을 행하는 자리에 지사 심수현(沈壽賢) 등과 종신(宗臣) 평원도정(平原都正) 이표(李標) 등이 입시하여 《중용》을 진강하고, 숭릉(崇陵)에 거둥하는 일과 관련하여 포장을 설치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302

6일(기축) 맑음 322

03-08-06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322

03-08-06_02 봉교 윤상백(尹尙白)을 즉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조석명(趙錫命)의 계 322

03-08-06_03 부교리 강박(姜檏)에게 역마를 타고 올라오도록 하유할 것 등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322

03-08-06_04 부수찬 신치운(申致雲)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323

03-08-06_05 부수찬 신치운을 파직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323

03-08-06_06 함원부원군(咸原府院君) 어유귀(魚有龜)가 올린 소장의 내용에 대해 변론하고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집의 강필경(姜必慶) 등의 계 323

03-08-06_07 도목 대정(都目大政)을 마칠 동안 시사를 탈품한다는 조석명의 계 325

03-08-06_08 집의 강필경(姜必慶) 등이 물러나 물론을 기다리겠다고 한 데 대한 조석명의 계 325

03-08-06_09 양사의 관원을 처치(處置)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지방에 있는 동료를 즉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325

03-08-06_10 무과 초시의 시관으로 망단자(望單子)마다 각 2원을 갖추어 들이겠다는 병조의 계 325

03-08-06_11 무과 초시의 일소 시관(一所試官)인 이봉상(李鳳祥) 등을 다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조석명의 계 326

03-08-06_12 부사직 이봉상 등을 다시 패초해야 하는데 하루에 세 번 패초하는 것은 일의 체모가 손상되므로 대책을 묻는 김상규(金尙奎)의 계 326

03-08-06_13 세 번 패초하였는데 나오지 않은 시관을 모두 파직하라는 비망기 327

03-08-06_14 권경(權顈)을 겸춘추로 차출할 것을 청하는 윤유(尹游)의 계 327

03-08-06_15 이조가 겸춘추에 권경을 단부하였다 327

03-08-06_16 내일 무과 초시 때 감시관(監試官)을 갖추어야 하는데 대책을 묻는 조석명의 계 328

03-08-06_17 집의 강필경 등을 출사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 수찬 윤광익(尹光益)의 차자 328

03-08-06_18 이비 및 병비의 관원 현황과 관직 제수 내용 328

03-08-06_19 새로 제수된 대간을 감시관으로 패초할 것을 청하는 조석명의 계 329

03-08-06_20 함경 감사에게 대죄하지 말라고 회유(回諭)하라는 전교 329

03-08-06_21 출신 윤임세(尹任世)에게 가자(加資)하라는 비망기 329

03-08-06_22 정언 이도겸(李道謙)을 내일 아침에 패초하겠다는 조석명의 계 330

03-08-06_23 장령 김성발(金聲發)을 내일 아침에 패초하겠다는 김상규의 계 330

03-08-06_24 전 재령 군수(載寧郡守) 최유태(崔裕泰)를 즉시 잡아 가두겠다는 의금부의 계 330

03-08-06_25 의릉(懿陵)의 앞길을 가로지를 때 말에서 내릴 곳을 간심(看審)한 결과를 보고하고 포장을 설치하는 일을 어떻게 할지 묻는 병조의 계 330

03-08-06_26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에게 비답을 전한 결과를 보고하는 우부승지 조최수(趙最壽)의 서계 332

03-08-06_27 금오 당상의 직임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예조 판서 이집(李㙫)의 상소 333

03-08-06_28 좌의정을 데리러 간 승지가 올린 서계에 대해 지나치게 사양하지 말고 올라오라는 내용으로 다시 전유하라는 전교 334

03-08-06_29 예조 판서 이집이 올린 상소에 대해 금오 당상의 직임을 체차해 주겠다는 비답 334

03-08-06_30 성묘(省墓)를 위해 말미를 청하는 황해 감사 김시혁(金始 㷜)의 상소 335

7일(경인) 맑음 336

03-08-07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336

03-08-07_02 상의 체후와 대왕대비전 등의 기후를 묻는 약방 제조 심수현(沈壽賢) 등의 계 336

03-08-07_03 왕대비전에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을 5첩 더 지어 들이겠다는 약방의 두 번째 계 337

03-08-07_04 오는 11일의 윤대(輪對)를 어떻게 할지 묻는 윤유(尹游)의 계 337

03-08-07_05 연풍 현감(延豐縣監) 심보현(沈寶賢)을 파출할 것을 청하는 이비의 계 337

03-08-07_06 고양 군수(高陽郡守) 신사영(申思永)을 파출할 것을 청하는 이비의 계 338

03-08-07_07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및 관직 제수 내용 338

03-08-07_08 검열 정형복(鄭亨復)을 즉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조석명(趙錫命)의 계 344

03-08-07_09 경기 감사가 장계에서 영중추부사 조도빈(趙道彬)이 월름(月廩)을 받지 않는다고 한 일과 관련하여 다시 실어 보내라고 회유(回諭)하라는 전교 344

03-08-07_10 모레 간택(揀擇)과 관련하여 각별히 신칙(申飭)하라는 전교 345

03-08-07_11 훈련대장 이삼(李森)의 숙배 단자(肅拜單子)와 관련하여 머물러 대령하게 하라는 전교 345

03-08-07_12 훈련대장 이삼을 인견하겠다는 전교 345

03-08-07_13 능침 근처에는 포장을 설치하지 말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345

03-08-07_14 훈련원 부정 신사성(申思聖)을 변통해 줄 것을 청하는 무일소(武一所) 시관의 계 346

03-08-07_15 참시관 신사성을 변통하도록 윤허하였으므로 원래의 단자에 고쳐 부표하여 들인다는 조석명의 계 346

03-08-07_16 예조 참판 김동필(金東弼)을 변통해 줄 것을 청하는 무이소(武二所) 시관의 계 347

03-08-07_17 군기시 첨정 한명두(韓命斗)의 후임을 첨정 이희화(李喜華)로 고쳐 부표하여 들인다는 호조의 계 347

03-08-07_18 내자시 직장 구경훈(具景勳)을 사옹원 직장과 서로 바꿀 것을 청하는 사옹원 제조의 계 347

03-08-07_19 영의정 이광좌(李光佐)에게 전유한 결과를 보고하는 도승지 여필용(呂必容)의 서계 348

03-08-07_20 영돈녕부사 어유귀(魚有龜)가 올린 상소에 대해 안심하고 사직하지 말라는 비답 349

03-08-07_21 정황을 이유로 삭직해 줄 것을 청하는 영돈녕부사 어유귀(魚有龜)의 상소 350

03-08-07_22 직임을 감당하지 못할 이유 등을 진달하고 개차해 줄 것을 청하는 대사간 송인명(宋寅明)의 상소 353

03-08-07_23 훈련원 첨정 윤택정(尹宅鼎)을 개차할 것을 청하는 병비의 계 357

03-08-07_24 훈련대장에 제수한 명을 거두어 줄 것을 청하는 부호군 이삼(李森)의 상소 358

03-08-07_25 훈련대장 이삼을 즉시 패초하여 명소(命召)를 전해 줄 것을 청하는 조석명의 계 361

03-08-07_26 훈련대장 이삼의 숙배 단자와 관련하여 머물러 대령하게 하라는 전교 361

03-08-07_27 훈련대장 이삼을 인견하겠다는 전교 362

03-08-07_28 희정당(熙政堂)에서 훈련대장 이삼을 인견하는 자리에 동부승지 조석명(趙錫命) 등이 입시하여 패초를 어긴 시관을 처벌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362

8일(신묘) 아침에는 맑고 저녁에는 잠깐 비가 옴 377

03-08-08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377

03-08-08_02 양주 목사(楊州牧使) 이징휴(李徵休) 등이 하직하였다 377

03-08-08_03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및 도목 정사 내용 377

03-08-08_04 내일의 시사를 탈품한다는 우승지의 계 383

03-08-08_05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동부승지의 계 383

03-08-08_06 입직한 내삼청 등이 중일 습사를 하지 못한다는 도총부의 계 384

03-08-08_07 계하된 상언(上言)을 각 관사에 나누어 내리거나 도로 들이겠다는 우승지의 계 384

03-08-08_08 신귀중(愼龜重)을 가주서로 삼았다 384

03-08-08_09 이중경(李重庚)을 가주서로 삼았다 384

03-08-08_10 성균관 사예 임익빈(林益彬)을 태거할 것을 청하는 이조의 계 384

03-08-08_11 숭릉(崇陵) 등에 차례로 나아가 역을 마친 뒤에 한꺼번에 복명할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 385

03-08-08_12 숭릉에 거둥할 때 입파할 역마를 각 역에 통지하여 곧바로 입파하게 할 것을 청하는 사복시 제조의 계 385

03-08-08_13 간택과 관련하여 한성부에서 보내온 공문에 대한 예조의 계 386

03-08-08_14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에게 전유한 결과를 보고하는 좌부승지 조최수(趙最壽)의 서계 386

03-08-08_15 전후로 지은 죄를 나열하고 삭직해 줄 것 등을 청하는 대사헌 윤순(尹淳)의 상소 389

9일(임진) 맑음 393

03-08-09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393

03-08-09_02 용인 현령(龍仁縣令) 송성원(宋性源)이 하직하였다 393

03-08-09_03 시관 이봉상(李鳳祥)을 변통해 줄 것을 청하는 무일소(武一所) 시관의 계 393

03-08-09_04 시관 이봉상을 변통하는 일과 관련하여 고쳐 의망한 이소 시관의 단자를 들일지 묻는 조석명(趙錫命)의 계 394

03-08-09_05 새로 제수된 교리 여선장(呂善長) 등에게 즉시 역마를 타고 올라오도록 하유할 것 등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394

03-08-09_06 세자빈 간택을 위해 단자를 봉입할 때 소홀하게 한 경기 감사를 추고할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 394

03-08-09_07 이제조(二提調) 심수현(沈壽賢)을 패초해야 하는데 말미 중이므로 대책을 묻는 조석명의 계 395

03-08-09_08 가주서 이중경(李重庚)을 군직에 붙일 것을 청하는 윤유(尹游)의 계 396

03-08-09_09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윤유의 계 396

03-08-09_10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조석명의 계 396

03-08-09_11 병조 낭청이 궐내 각처의 입직 군사를 야순검(夜巡檢)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조석명의 계 397

03-08-09_12 신하가 거취(去就)를 결정하는 중요한 제방(堤防)과 관계된다는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의 상소 397

03-08-09_13 병세와 나이를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경기 감사 남취명(南就明)의 상소 402

03-08-09_14 병세를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동지의금부사 황이장(黃爾章)의 상소 403

03-08-09_15 아비 김시환(金始煥)과 상피(相避)해야 할 혐의가 있으므로 규례를 살펴 처치해 줄 것을 청하는 김상규(金尙奎)의 상소 406

03-08-09_16 우부승지 김상규가 맡고 있는 춘추관의 직임을 감하(減下)할 것을 청하는 이조의 계 407

10일(계사) 맑음 408

03-08-10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408

03-08-10_02 임징하(任徵夏)를 처벌할 것 등을 청하는 장령 임광필(林光弼)의 계 408

03-08-10_03 비변사 낭청이, 빈청이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상규(金尙奎)의 계 409

03-08-10_04 내승(內乘)이, 기군세마(旗軍洗馬)를 하기 위해 나아간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상규의 계 409

03-08-10_05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윤유(尹游)의 계 409

03-08-10_06 이조 낭청이 비어 있는 대간에 대한 정사를 어떻게 할지 물은 데 대한 윤유의 계 410

03-08-10_07 아직 숙배하지 않은 사헌부의 관원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조석명(趙錫命)의 계 410

03-08-10_08 새로 제수된 경기 감사 남취명(南就明)을 즉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상규의 계 410

03-08-10_09 참의 조문명(趙文命)의 딸 등의 혼인을 금하고 그 나머지는 혼인을 허락하라는 전교 411

03-08-10_10 각 능과 각 전(殿)의 추석 제사를 감독할 감찰을 변통할 길이 없으므로 해당 조로 하여금 전례를 상고하여 거행하게 할 것을 청하는 조석명의 계 411

03-08-10_11 가례(嘉禮) 때 들일 기명(器皿)을 써서 들이라는 전교 412

03-08-10_12 새로 제수된 설서 한사선(韓師善) 등을 내일 아침에 즉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시강원의 계 412

03-08-10_13 경기 감사의 장계는 도사 임진하(任震夏) 등을 파출해 줄 것을 청하는 일이었다는 조석명의 계 412

03-08-10_14 사간원 사간 조상경(趙尙慶)을 변통해 줄 것을 청하는 무이소(武二所) 시관의 계 413

03-08-10_15 감시관인 조상경을 변통하도록 윤허가 내렸으므로 원래의 단자에 고쳐 부표하여 들인다는 김상규의 계 413

03-08-10_16 비어 있는 장관(將官) 중에 한 자리는 본청에서 이송한 성책에 이름을 올린 군관을 차정하도록 금위영에 신칙할 것을 청하는 호위청 대장 영돈녕부사의 계 413

03-08-10_17 영의정 이광좌(李光佐)가 사직 상소를 올리고 돌아갔으므로 따라가겠다고 보고하는 여필용(呂必容)의 서계 414

03-08-10_18 전후로 받은 비방에 대해 변론하고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영의정 이광좌의 상소 414

03-08-10_19 새로 제수된 지춘추관사 김시환(金始煥)과 상피해야 할 혐의가 있으므로 규례를 살펴 처리해 줄 것을 청하는 호조 참판 이정신(李正臣)의 상소 428

03-08-10_20 호조 참판 이정신이 올린 상소에 대해 재결(裁決)해 줄 것을 청하는 이조의 계 428

03-08-10_21 김일경(金一鏡) 등의 잔당을 엄히 징계할 것을 청하고, 양사의 합계에 대한 소회를 진달하는 함경 도사 민원(閔瑗)의 상소 429

03-08-10_22 노병(老病) 등을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호조 참의 이형상(李衡祥)의 상소 434

03-08-10_23 백골징포(白骨徵布)를 이정(釐正)해야 하는 10가지 이유 등을 진달하는 창녕(昌寧)의 유학(幼學) 배진삼(裵晉三)의 상소 435

03-08-10_24 경기 감사가 장계를 올려 형조 참판 김상옥(金相玉)이 위중하여 올라가지 못한다고 한 데 대해 본직을 우선 체차해 주겠다고 회유하라는 전교 447

판권기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