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일러두기

목차

영조 4년 무신(1728, 옹정 6) 1월 27

17일(무진) 맑음 27

04-01-17_01 상이 창덕궁(昌德宮)에 있었고, 상참(常參)을 정지하고 주강(晝講)만 행하였다 27

04-01-17_02 진천 현감(鎭川縣監) 임상극(林象極) 등이 하직하였다 27

04-01-17_03 미시(未時)와 신시(申時)에 햇무리가 졌다 28

04-01-17_04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정석삼(鄭錫三)의 계 28

04-01-17_05 21일의 윤대(輪對)를 어떻게 할지 묻는 정석삼의 계 28

04-01-17_06 헌납 김시형(金始炯)이 물러나 물론을 기다린다는 정수기(鄭壽期)의 계 28

04-01-17_07 병조 낭청이 궐내(闕內) 각처의 입직 군사를 야순검(夜巡檢)하겠다는 데 대한 이중관(李重觀)의 계 28

04-01-17_08 육백별시(六百別試)를 볼 때 삼백별시에 진시(陳試)한 자를 어떻게 할지에 대해 대신(大臣)에게 의논한 결과를 보고하고 재결해 주기를 청하는 예조의 계 28

04-01-17_09 서재(西齋)의 담장을 넘어와 유생들을 욕한 무부(武夫) 장상경(張尙卿)을 수금(囚禁)할 것을 청하는 동지성균관사와 대사성의 계 30

04-01-17_10 추후에 발송하는 사은 겸 진주사(謝恩兼陳奏使)의 문서가 많으므로 별도의 말 등을 정해 보내도록 분부할 것을 청하는 승문원 도제조의 계 31

04-01-17_11 왕십리(往十里) 등에 투장(偸葬)한 무덤 2기를 금표(禁標) 밖으로 파내어 옮기게 할 것을 청하는 한성부의 계 31

04-01-17_12 격쟁(擊錚)한 기패관(旗牌官) 이진재(李震榟) 등을 수금할 것 등을 청하는 병조의 계 32

04-01-17_13 대사성 조문명(趙文命)을 도청 당상으로 도로 차하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 등을 청하는 실록청 총재관의 계 32

04-01-17_14 구년조(舊年條) 군포(軍布)와 군미(軍米)의 정봉(停捧)을 우선 놔둘 것을 청하는 비변사의 계 33

04-01-17_15 판결사 유수(柳綏)를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34

04-01-17_16 안치(安置)한 죄인 임징하(任徵夏)를 국법대로 처형할 것 등을 청하는 장령 유간(柳諫)의 계 34

04-01-17_17 관문(關文)을 금군이 가져갔다고 잘못 논계하였으므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헌납 김시형의 계 35

04-01-17_18 사헌부 장령 유간의 계사에 대한 비답 35

04-01-17_19 사간원 헌납 김시형의 계사에 대해 사직하지 말라는 비답 35

04-01-17_20 병조 참판 이정제(李廷濟)의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어미의 병을 간호하라는 비답 35

04-01-17_21 행 공조 판서 심단(沈檀)의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공무를 행하라는 비답 36

04-01-17_22 이조 참판 윤순(尹淳)의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직임을 살피라는 비답 36

04-01-17_23 수찬 박필기(朴弼夔)의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직임을 살피라는 비답 36

04-01-17_24 노모의 간호를 위해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병조 참판 이정제의 상소 36

04-01-17_25 늙고 병약하며 개인적인 의리로 직임을 모두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행 공조 판서 심단의 상소 37

04-01-17_26 경시관 등을 제대로 의망하지 못했고 사역(史役)을 지체하여 간신(諫臣) 등의 비난을 받았으므로 체직해 줄 것 등을 청하는 이조 참판 윤순의 상소 39

04-01-17_27 정세와 병으로 삭직해 줄 것을 청하는 수찬 박필기의 상소 42

04-01-17_28 희정당(熙政堂)에서 주강(晝講)을 행하는 자리에 지경연사 김동필(金東弼) 등이 입시하여 《중용(中庸)》을 강하고, 서소문(西小門)에 걸린 익명서(匿名書), 홍문관 하번(下番)의 차출(差出)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44

18일(기사) 잠깐 비가 왔다 눈이 내림 57

04-01-18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을 정지하고 주강만 행하였다 57

04-01-18_02 남원 부사(南原府使) 김유(金濰) 등이 하직하였다 57

04-01-18_03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정석삼(鄭錫三)의 계 57

04-01-18_04 감찰이 다시(茶時)를 한다는 이중관(李重觀)의 계 57

04-01-18_05 판결사 유수(柳綏)의 첫 번째 정사(呈辭)를 도로 내주라는 전교 58

04-01-18_06 수찬 박필기(朴弼夔)의 첫 번째 정사를 도로 내주라는 전교 58

04-01-18_07 판결사 유수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이중관의 계 58

04-01-18_08 수찬 박필기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58

04-01-18_09 수찬 박필기를 의금부에 내려 추고하라는 전지를 들이라는 전교 59

04-01-18_10 계자인(啓字印)을 잘못 찍은 장번 내관(長番內官) 박필장(朴弼章)을 추고하라는 비망기 59

04-01-18_11 이조와 병조가 각각 실록청 겸춘추와 부사정에 남태량(南泰良) 등을 단부하였다 59

04-01-18_12 보덕 정석오(鄭錫五)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시강원의 계 59

04-01-18_13 부친상을 당한 전라도 금산군(錦山郡)에 안치한 죄인 이구금(李九金)을 돌아가 장례를 치르도록 하라고 본도에 분부할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60

04-01-18_14 판결사 유수를 추고만 하고 내일 다시 패초하라는 전교 60

04-01-18_15 목시룡(睦時龍)을 형추하여 정배(定配)하라는 명을 도로 거두어들일 것 등을 청하는 정언 정우량(鄭羽良)의 계 60

04-01-18_16 이조 참의 윤혜교(尹惠敎)의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직임을 살피라는 비답 61

04-01-18_17 예조 판서 이집(李㙫)의 상소에 대해 사양하지 말고 공무를 행하라는 비답 61

04-01-18_18 장령 박준(朴 㻐)의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직임을 살피라는 비답 61

04-01-18_19 보덕 정석오의 상소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직임을 살피라는 비답 61

04-01-18_20 어사(御史)로 초계(抄啓)된 것이 구애됨을 모른 채 수령에 차출하였으므로 직임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이조 참의 윤혜교의 상소 62

04-01-18_21 신병을 이유로 겸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예조 판서 이집의 상소 63

04-01-18_22 직임을 감당할 재주가 없고 한덕후(韓德厚)에게 무함을 당하였으므로 직명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장령 박준의 상소 64

04-01-18_23 절박한 정세와 태묘(太廟) 전알(展謁)에 배종(陪從)하지 못했으므로 관직을 삭탈해 줄 것을 청하는 보덕 정석오의 상소 65

04-01-18_24 희정당에서 주강을 행하는 자리에 동지경연사 서명균(徐命均) 등이 입시하여 《중용(中庸)》을 강하고, 양역(良役) 문제, 찬배(竄配)된 사람의 탕척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68

19일(경오) 비가 옴 90

04-01-19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을 정지하고 주강만 행하였다 90

04-01-19_02 순창 군수(淳昌郡守) 조태기(趙泰耆) 등이 하직하였다 90

04-01-19_03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유만중(柳萬重)의 계 90

04-01-19_04 이조 낭청이 자리가 빈 수령의 정사를 어떻게 할지 물은 데 대한 이인복(李仁復)의 계 91

04-01-19_05 입직한 내삼청(內三廳) 등의 중일 습사(中日習射)를 위해 표신(標信)을 내줄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91

04-01-19_06 우승지 조원명(趙遠命)을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정석삼(鄭錫三)의 계 91

04-01-19_07 사헌부의 정고(呈告)한 인원 등을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유만중의 계 91

04-01-19_08 다시 택한 대왕대비전 등의 진연(進宴)을 위한 길일을 보고하는 예조의 계 92

04-01-19_09 장상경(張尙卿)이 본부에서 대명(待命)하고 있으니 잡아 가두겠다는 의금부의 계 92

04-01-19_10 보덕 정석오(鄭錫五)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시강원의 계 92

04-01-19_11 물에 빠져 죽은 고성(固城)의 격졸(格卒)인 사노(私奴) 익세(益世) 등에게 휼전(恤典)을 거행하라는 전교 93

04-01-19_12 연례(宴禮)를 두 차례 치르므로 진연청(進宴廳)에 진청미(賑廳米) 600섬을 더 보낼 것을 청하는 비변사의 계 93

04-01-19_13 말미를 받은 경묘조의 실록을 담당하는 등록 낭청 한사선(韓師善) 등의 후임에 전 장령 이저(李著) 등을 차하(差下)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실록청 총재관의 계 93

04-01-19_14 원찬(遠竄)한 죄인 김약로(金若魯)에게 말미를 주어 노모를 간병하게 한 뒤 배소로 돌려보내라는 내용으로 본도에 분부하겠다는 의금부의 계 94

04-01-19_15 보덕 정석오를 내일 패초하겠다는 조원명의 계 94

04-01-19_16 이조 판서 이태좌(李台佐)를 내일 패초하겠다는 정수기의 계 94

04-01-19_17 호조 참의 송인명(宋寅明)의 소장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속히 직임을 살피라는 비답 95

04-01-19_18 안치한 죄인 임징하(任徵夏) 등을 국법대로 처형할 것 등을 청하는 장령 유간(柳諫) 등의 계 95

04-01-19_19 사국(史局)의 직무를 게을리 한 죄를 꾸짖어 줄 것을 청하는 호조 참의 송인명의 상소 95

04-01-19_20 희정당(熙政堂)에서 주강을 행하는 자리에 동지경연사 윤순(尹淳) 등이 입시하여 《중용》을 강하고, 염치를 지나치게 중시하는 문제, 시종신 박치원(朴致遠) 등을 신문하는 문제, 실록 찬수의 진척 상황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97

20일(신미) 맑음 117

04-01-20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117

04-01-20_02 사시(巳時)와 미시(未時)에 햇무리가 졌다 117

04-01-20_03 예산 현감(禮山縣監) 민윤창(閔允昌)이 하직하였다 117

04-01-20_04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조원명(趙遠命)의 계 117

04-01-20_05 대신(大臣)과 비국 당상(備局堂上)을 인견하겠다는 전교 118

04-01-20_06 이조 낭청이 정사를 열 수 없다고 한 데 대해 참의 윤혜교(尹惠敎)도 패초하여 정사를 열게 할 것을 청하는 조원명의 계 118

04-01-20_07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관직 제수 내용 118

04-01-20_08 수찬 박필기(朴弼夔)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119

04-01-20_09 이조 판서 이태좌(李台佐)의 상소에 대해 사양하지 말고 속히 공무를 행하라는 비답 119

04-01-20_10 기필코 낙점을 받으려 했다는 송진명(宋眞明)의 비난으로 본직을 속히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행 이조 판서 이태좌의 상소 119

04-01-20_11 강화 유수 송성명(宋成明)의 소장에 대해 묘당으로 하여금 내게 물어 처리하게 하겠다는 비답 122

04-01-20_12 노쇠한 어미 곁을 떠날 수 없고 허위로 직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관직을 삭탈해 줄 것을 청하는 전 주부 윤동원(尹東源)의 상소 122

04-01-20_13 희정당에서 대신(大臣) 등을 인견하는 자리에 장령 박준(朴㻐) 등이 입시하여 왕세자의 상견례 및 회강(會講)의 시기, 괘서(掛書)의 범인을 잡는 일, 조태채(趙泰采) 등의 처리, 합계에 참여했던 자들의 탕척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125

21일(임신) 맑음 184

04-01-21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184

04-01-21_02 오시(午時)부터 유시(酉時)까지 햇무리가 졌다 184

04-01-21_03 함안 군수(咸安郡守) 박태신(朴泰新) 등이 하직하였다 184

04-01-21_04 이조 낭청이 비어 있는 대간(臺諫)의 정사를 어떻게 할지 물은 데 대한 유만중(柳萬重)의 계 184

04-01-21_05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이중관(李重觀)의 계 185

04-01-21_06 도총관 김동필(金東弼)이 한성부 판윤으로 본부의 좌기에 낮근무하러 나간다는 도총부의 계 185

04-01-21_07 성상의 체후와 대왕대비전 등의 기후를 묻고, 왕대비전이 상선(常膳)을 들 수 있도록 하기를 청하는 약방 도제조 이광좌(李光佐) 등의 계 185

04-01-21_08 대왕대비전 등에 약방이 문안하였다 186

04-01-21_09 왕대비전에 상선을 진어(進御)하기를 청하는 약방의 계 186

04-01-21_10 좌직(坐直)할 사람이 없고 윤대(輪對) 등을 위해 인원을 갖추어야하므로 우부승지 정수기(鄭壽期)를 패초할 것을 청하는 이중관의 계 186

04-01-21_11 탈이 있는 가주서 김상익(金尙翼) 대신에 이중경(李重庚)을 가주서로 삼았다 187

04-01-21_12 새로 제수된 부수찬 성덕윤(成德潤)을 역마를 타고 올라오도록 하유(下諭)할 것 등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187

04-01-21_13 정관(政官)을 패초한 다음 정사를 열어 홍문관의 궐원을 차출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의 계 187

04-01-21_14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지발(李枝發)에게 가자(加資)하라는 비망기 188

04-01-21_15 사재감의 첩정(牒呈)에, 주부 심육(沈錥)이 사신을 수행하여 연경(燕京)에 가서 언제 돌아올지 알 수 없으므로 변통해 줄 것을 청한 데 대해 개차(改差)할 것을 청하는 이중관의 계 188

04-01-21_16 병조 좌랑 이성효(李性孝)를 경묘조의 실록을 담당하는 등록 낭청 서명걸(徐命杰)의 후임에 차하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실록청 총재관의 계 188

04-01-21_17 하번에 변통할 인원이 없어 상번을 내려 입직하게 하겠다는 시강원의 계 189

04-01-21_18 거둥(擧動) 때 대신의 전도(前導)를 침범한 참하 도사 윤경룡(尹敬龍)을 체차하고 후임을 차출할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189

04-01-21_19 합천 군수(陜川郡守)로 옮겨 제수된 낭청 이성제(李誠躋)를 잉임(仍任)할 것을 청하는 진휼청의 계 189

04-01-21_20 전 목사 신경여(申慶汝)를 본부의 서리를 보내 교대한 뒤에 잡아오게 할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190

04-01-21_21 줄곧 고집을 부리는 이조 판서를 엄중하게 추고하고 패초하여 정사에 참석하게 하라는 비망기 190

04-01-21_22 이조 판서 등이 나오지 않아 혼자 정사하는 것은 온당치 않으므로 대책을 묻는 이비의 계 191

04-01-21_23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관직 제수 내용 191

04-01-21_24 새로 제수된 옥당(玉堂)을 내일 패초하겠다는 이중관의 계 191

04-01-21_25 이조가 이익겸(李益兼)을 금부 도사로 삼고 이성효(李性孝)를 실록청 겸춘추에 단부(單付)하였다 192

04-01-21_26 목시룡(睦時龍)을 왕부(王府)로 하여금 형률에 따라 처단하게 할 것 등을 청하는 장령 유간(柳諫)의 계 192

04-01-21_27 통증과 현기증으로 삭직해 줄 것을 청하는 설서 송징계(宋徵啓)의 상소 192

04-01-21_28 분의(分義)와 도리로 보아 변무(辨誣)의 글을 지으라는 명을 따를 수 없으므로 죄줄 것을 청하는 이조 참판 윤순(尹淳)의 상소 193

04-01-21_29 전조(銓曹)의 장관을 인책(引責)하고 들어가게 했으므로 파직하도록 명할 것을 청하는 대사간 송진명(宋眞明)의 상소 195

04-01-21_30 처치(處置)와 관련된 일로 간신(諫臣)의 비방을 받았으므로 직임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부수찬 임광(任珖)의 상소 197

04-01-21_31 효자가 아닌데 성상의 총명을 속여 과분한 은전을 받았으므로 명을 거두어 줄 것을 청하는 영원군(靈原君) 이헌(李櫶)의 상소 200

04-01-21_32 박치원(朴致遠)의 신문을 지체한 데 대해 해명하고, 본직 등을 삭탈해 줄 것을 청하는 병조 판서 오명항(吳命恒)의 상소 202

04-01-21_33 희정당(熙政堂)에서 윤대관(輪對官)을 인견하는 자리에 승지 이중관 등이 입시하였고, 의금부가 현고(現告)한 투비(投畀)하거나 삭출(削黜)한 신하들을 풀어 주라고 명하였다 204

22일(계유) 맑음 209

04-01-22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209

04-01-22_02 삼등 현령(三登縣令) 임상정(林象鼎)이 하직하였다 209

04-01-22_03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정수기(鄭壽期)의 계 209

04-01-22_04 이조 낭청이 비어 있는 대간(臺諫)의 정사(政事)를 어떻게 할지 물은 데 대한 정수기의 계 209

04-01-22_05 입직한 내삼청 등의 중일 습사(中日習射)를 위해 표신(標信)을 내줄 것을 청하는 이중관(李重觀)의 계 210

04-01-22_06 도총관 김동필(金東弼)이 비변사 당상으로서 본사(本司)의 좌기에 낮근무하러 나간다는 도총부의 계 210

04-01-22_07 읍호가 강등된 안릉 현감(安陵縣監) 등이 찰 병부(兵符)를 해당 도의 감사에게 내려보내 지급하게 하고 옛 병부는 올려보내 불태우도록 하라고 하유할 것을 청하는 이중관의 계 210

04-01-22_08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지 않은 참하 도사 이익겸(李益兼)을 바꾼 다음 나누어 차임하여 사명(使命)을 받들고 나가도록 할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211

04-01-22_09 제주목(濟州牧) 대정현(大靜縣) 절도에 위리안치(圍籬安置)한 죄인 임징하(任徵夏)를 도사를 보내어 잡아오게 할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211

04-01-22_10 양이(量移)하도록 승전(承傳)이 계하된 제주목 대정현 절도에 안치한 죄인 김유경(金有慶)을 서리를 보내 전라도 영광군(靈光郡)으로 압송하겠다는 의금부의 계 211

04-01-22_11 경상도 남해현(南海縣) 절도에 정배한 죄인 윤득징(尹得徵) 등을 풀어 주도록 각 도에 분부하겠다는 의금부의 계 212

04-01-22_12 수찬 임광(任珖)을 의금부에 내려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212

04-01-22_13 충청도 아산창(牙山倉)의 세곡(稅穀)을 미리 간검하기 위해 충청도사 겸 해운판관(忠淸都事兼海運判官) 서명걸(徐命杰)을 출발하도록 재촉하게 할 것을 청하는 호조의 계 212

04-01-22_14 변통하여 궐원을 차출하고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도록 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213

04-01-22_15 내일 정관(政官)을 패초하여 정사를 열어 홍문관의 궐원을 차출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의 계 213

04-01-22_16 조태채(趙泰采)에 대한 합계(合啓)가 나오지 않았다고 대신(大臣)의 비난을 받았으므로 체직해 줄 것을 청하는 장령 유간(柳諫)의 계 213

04-01-22_17 장령 유수(柳綏)가 물러나 물론을 기다린다는 이중관의 계 214

04-01-22_18 해당 관사에 분부할 일로 보낸 대루원(待漏院)의 사령(使令)에게 곤(棍)을 친 우변포도대장 남태징(南泰徵)을 엄하게 추고할 것을 청하는 이중관의 계 214

04-01-22_19 쇠병(衰病)이 심하므로 직명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도승지 여필용(呂必容)의 상소 215

23일(갑술) 맑음 217

04-01-23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217

04-01-23_02 신지도 만호(薪智島萬戶) 이상성(李相晟)이 하직하였다 217

04-01-23_03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정수기(鄭壽期)의 계 217

04-01-23_04 감찰이 다시(茶時)를 한다는 이중관(李重觀)의 계 217

04-01-23_05 사간원의 정고(呈告)한 인원을 모두 패초하여 장령 유간(柳諫)을 처치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이중관의 계 218

04-01-23_06 복제(服制)를 나흘 동안 행한 동부승지 유만중(柳萬重)을 출사하게 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의 계 218

04-01-23_07 계자인(啓字印)을 잘못 찍은 장번 내관(長番內官) 신필휘(申必輝)를 추고하라는 전교 218

04-01-23_08 묘시(卯時)와 유시(酉時)에 해 위에 관(冠)이 있었다 219

04-01-23_09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및 관직 제수 내용 219

04-01-23_10 새로 제수된 우승지 유수(柳綏)를 즉시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여필용(呂必容)의 계 219

04-01-23_11 교리 강박(姜檏)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220

04-01-23_12 겸문학 여선장(呂善長)을 의금부에 내려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220

04-01-23_13 대왕대비전 등에 대한 진연 날짜로 4일과 8일 사이에 길일(吉日)이 없는지 해당 조에 물은 결과를 보고하는 정수기의 계 220

04-01-23_14 원찬(遠竄)하라는 전지가 계하된 민진원(閔鎭遠)의 배소 단자(配所單子)에 원주(原州)로 부표(付標)하여 내렸으므로 원주는 중도(中道)가 아닌지 묻는 이중관의 계 221

04-01-23_15 부부인(府夫人)을 생각하여 민진원의 배소를 원주로 한 것이므로, 감히 중도가 아닌지를 물은 해당 승지를 파직하라는 전교 221

04-01-23_16 이중관이 파직되어 반직(伴直)할 사람이 없으므로 동부승지 유만중(柳萬重)을 패초하여 입직하게 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의 계 222

04-01-23_17 우승지 유수를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222

04-01-23_18 도당록(都堂錄) 등이 미뤄지고 있으므로 이조 판서 이태좌(李台佐) 등을 패초하여 행하게 할 것을 청하는 비변사의 계 222

04-01-23_19 제향(祭享)에 사용하는 포(脯)는 날짜를 한계 짓지 말고 정밀하게 만들 수 있게 할 것 등을 청하는 봉상시 도제조 등의 계 223

04-01-23_20 직무에 대해 책임을 저버려 대신(大臣)의 지척을 받았으므로 직임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헌납 김시형(金始炯)의 계 224

04-01-23_21 자신이 인혐한 일과 관련된 사헌부 신하의 처치에 대해 시비를 가릴 수 없으므로 직임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정언 정우량(鄭羽良)의 계 225

04-01-23_22 상소를 올리고 허락 없이 나간 홍문관 교리 강박(姜檏)을 추고하고 패초하여 입직하게 할 것을 청하는 이중관의 계 225

04-01-23_23 헌납 김시형과 정언 정우량이 물러나 물론을 기다린다는 이중관의 계 226

04-01-23_24 재주의 부족과 담벽증(痰癖症)으로 직임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함경 감사 권익관(權益寬)의 상소 226

04-01-23_25 황장목(黃腸木)을 담당하는 감색(監色)에 대한 일 등으로 문비(問備)의 벌을 받았으므로 관직을 삭탈하도록 명할 것을 청하는 경상 감사 황선(黃璿)의 상소 229

04-01-23_26 희정당(熙政堂)에서 주강(晝講)을 행하는 자리에 동지사 조문명(趙文命) 등이 입시하여 《중용(中庸)》을 강하고, 성균관 선비들에 대한 지공(支供)의 부족 문제, 장악원에 음률을 아는 낭청을 구임시키는 일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232

24일(을해) 맑음 247

04-01-24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247

04-01-24_02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유만중(柳萬重)의 계 247

04-01-24_03 이조 낭청이 자리가 비어 있는 승지의 정사를 어떻게 할지 물은 데 대한 이인복(李仁復)의 계 247

04-01-24_04 감찰이 다시(茶時)를 한다는 이인복의 계 248

04-01-24_05 사헌부에 공무를 행할 인원이 없으므로 집의 김중희(金重熙)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248

04-01-24_06 도당록(都堂錄)이 미루어지므로 이조 판서 이태좌(李台佐)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248

04-01-24_07 이조 판서 이태좌를 다시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249

04-01-24_08 시재 별견 어사(試才別遣御史) 성덕윤(成德潤)과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 김흡(金潝)을 인견하겠다는 전교 249

04-01-24_09 금오의 죄수 처리가 지체되었으므로 지의금부사 권이진(權以鎭)을 패초하여 개좌(開坐)하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249

04-01-24_10 우승지 유수(柳綏)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249

04-01-24_11 우승지 유수를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250

04-01-24_12 승지가 규례에 의거하여 품달(稟達)한 데 대한 지나친 처분을 속히 거두어 줄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250

04-01-24_13 이중관(李重觀)에 대한 처분에 이의를 제기한 승지를 모두 엄하게 추고하라는 비망기 250

04-01-24_14 도승지 여필용(呂必容) 등을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251

04-01-24_15 우부승지 정수기(鄭壽期)를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251

04-01-24_16 교리 강박(姜檏)을 패초하여 입직하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252

04-01-24_17 이조 판서 이태좌가 금오의 문밖에서 대명(待命)하고 있어 패초하지 못하므로 대책을 묻는 이인복의 계 252

04-01-24_18 우승지 유수를 패초하여 입직하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252

04-01-24_19 자리가 비어 있는 승지의 후임을 오늘 정사에서 서울에 있는 별 탈 없는 사람을 차출한 다음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252

04-01-24_20 탈이 있는 가주서 박필재(朴弼載) 대신에 권기언(權基彦)을 가주서로 삼았다 253

04-01-24_21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및 관직 제수 내용 253

04-01-24_22 출입할 때 언사(言辭)가 불손한 수문장청 조사(守門將廳曹司) 조평(趙評)을 태거(汰去)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254

04-01-24_23 새로 제수된 승지를 내일 패초하겠다는 이인복의 계 254

04-01-24_24 수찬 이광보(李匡輔)를 내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254

04-01-24_25 말미를 받은 기한이 지난 설서 송징계(宋徵啓)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시강원의 계 254

04-01-24_26 표문(表文) 등의 고칠 곳은 사행에 데리고 가는 사자관(寫字官)이 이전의 본(本)을 칼로 긁어내고 고쳐 써넣게 할 것 등을 청하는 승문원 도제조의 계 255

04-01-24_27 겸감목관(兼監牧官) 으로서 신미도(身彌島) 등의 마정(馬政) 등을 구관(句管) 해야 하므로 죽은 선사포 첨사(宣沙浦僉使) 홍득원(洪得源)의 후임을 차출하여 출발시킬 것을 청하는 사복시 도제조의 계 256

04-01-24_28 병조가 박당(朴鏜)을 선사포 첨사로 삼았다 256

04-01-24_29 고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 구굉(具宏)의 본가에 황해도 봉산군(鳳山郡)의 관둔전(官屯田) 50부 8속을 절급(折給)할 것을 청하는 호조의 계 257

04-01-24_30 고 의관 정두준(鄭斗俊)의 본가에 강원도 평해군(平海郡)의 가외(加外)의 관둔답(官屯畓) 22부 6속을 절급할 것을 청하는 호조의 계 257

04-01-24_31 어영청의 미(米)를 결정한 대로 군자감에 내주어 이번 달 급료를 폐단 없이 거행하도록 해당 청에 분부할 것을 청하는 호조의 계 257

04-01-24_32 이중관에게 민진원(閔鎭遠)의 배소 단자(配所單子)에 대해 미품(微稟)할 것을 권했으므로 삭직해 줄 것을 청하는 도승지 여필용의 상소 258

04-01-24_33 비방을 받았고 염우(廉隅)가 소중하므로 삭직하도록 명할 것을 청하는 우승지 유수의 상소 259

04-01-24_34 파직된 전 좌부승지 이중관의 품계(稟啓)에 간여했으므로 파직해 줄 것을 청하는 우부승지 정수기의 상소 262

04-01-24_35 승지 이중관을 파직한 데 대한 소회를 진달하고 명을 거두어들일 것을 청하는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의 차자 263

04-01-24_36 위태로운 정세를 이유로 해면(解免)하고 사적(士籍)에서 삭제해 줄 것을 청하는 공조 참판 이의만(李宜晩)의 상소 268

04-01-24_37 정세와 병세로 관직을 삭탈(削奪)하고, 민진원의 일을 품계한 승지에 대한 명을 거둘 것을 청하는 집의 김중희의 상소 269

04-01-24_38 병세로 직임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고, 북한산성(北漢山城)의 군향미와 수첩군(守堞軍)에 대한 대책을 진달하는 경기 감사 남취명(南就明)의 상소 272

04-01-24_39 웅대한 모략을 밝히고 지극한 뜻을 헤아릴 것 등을 당부하는 삼도통제사 김흡에게 내린 교서(敎書) 276

04-01-24_40 희정당(熙政堂)에서 시재 별견 어사 성덕윤 등을 인견하는 자리에 좌승지 이인복 등이 입시하여 성덕윤 등에게 선유(宣諭)와 별유(別諭)를 하고 납약(臘藥) 등을 주었다 280

25일(병자) 맑음. 사시(巳時)부터 신시(申時)까지 햇무리가 짐 284

04-01-25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284

04-01-25_02 여도 만호(呂島萬戶) 장경필(張景弼) 등이 하직하였다 284

04-01-25_03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유수(柳綏)의 계 284

04-01-25_04 비변사 낭청이 빈청의 좌기(坐起)를 하지 못한다고 한 데 대한 유수의 계 284

04-01-25_05 입직한 내삼청(內三廳) 등의 중일 습사(中日習射)를 위해 표신(標信)을 내줄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285

04-01-25_06 부총관 이익한(李翊漢)이 동지의금부사로서 본부의 좌기에 낮근무하러 나간다는 도총부의 계 285

04-01-25_07 집의 김중희(金重熙)를 패초하여 양사(兩司)의 인피(引避)한 관원들을 처치하게 할 것을 청하는 유수의 계 285

04-01-25_08 좌부승지 정수기(鄭壽期) 등을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유수의 계 286

04-01-25_09 우부승지 유만중(柳萬重)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286

04-01-25_10 도목 정사가 지체되므로 이조 판서 이태좌(李台佐)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유수의 계 286

04-01-25_11 지의금부사 권이진(權以鎭)을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유수의 계 286

04-01-25_12 면신례(免新禮)를 치르지 않은 가주서 권기언(權基彦)을 군직(軍職)에 붙여 사진하게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李仁復)의 계 287

04-01-25_13 교리 강박(姜檏)이 실록청 낭청으로 낮근무하러 나가며 이후로는 초기하지 않고 왕래하겠다는 홍문관의 계 287

04-01-25_14 본청 및 상평청의 낭청 2원을 15개월 동안 구임하도록 정식(定式)으로 삼아 시행할 것을 청하는 선혜청의 계 287

04-01-25_15 집의 김중희를 다시 패초하여 처치하게 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의 계 287

04-01-25_16 이조 판서 이태좌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유수의 계 288

04-01-25_17 수감 중인 유복명(柳復明)의 새로 지은 집을 적간(摘奸)한 결과를 보고하는 한성부의 계 288

04-01-25_18 본병(本兵) 등의 직임을 비워 두어서는 안 되므로 내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하라는 전교 290

04-01-25_19 수찬 이광보(李匡輔)를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290

04-01-25_20 집의 김중희를 내일 패초하겠다는 정수기의 계 291

04-01-25_21 수찬 이광보를 내일 패초하겠다는 유수의 계 291

04-01-25_22 도총부의 낭청이 궐내(闕內) 각처의 입직 군병을 야순검(夜巡檢)하겠다고 한 데 대한 정수기의 계 291

04-01-25_23 담화증(痰火症)과 특별히 추고하라는 명에도 직숙하여 염치를 실추하였으므로 관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좌승지 이인복의 상소 291

04-01-25_24 모친의 병세로 본직 등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동부승지 박사수(朴師洙)의 상소 292

04-01-25_25 송진명(宋眞明)의 소장에서 비방을 당해 전조(銓曹)의 직함을 벗기를 청하는 이조 판서 이태좌의 상소 294

04-01-25_26 민진원(閔鎭遠) 등의 배소(配所)에 대해 대신(大臣)의 지적을 받았으므로 본직 등을 삭탈해 줄 것 등을 청하는 병조 판서 오명항(吳命恒)의 상소 296

04-01-25_27 불효하고 선한 행실이 없으므로 자급을 올리라는 명을 거두어 줄 것을 청하는 영원군(靈原君) 이헌(李櫶)의 상소 298

04-01-25_28 헌신(憲臣)에게 종잇조각을 구한 이유를 진달하고 위의를 허물어뜨린 죄를 감처(勘處)해 줄 것을 청하는 수찬 이광보의 상소 301

26일(정축) 아침에는 맑고 저녁에는 비가 옴. 진시(辰時)부터 미시(未時)까지 햇무리가 짐 303

04-01-26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303

04-01-26_02 임치 첨사(臨淄僉使) 김경하(金景河) 등이 하직하였다 303

04-01-26_03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유수(柳綏)의 계 303

04-01-26_04 이조 낭청이 비어 있는 승지의 정사를 어떻게 할지 물은 데 대한 유수의 계 304

04-01-26_05 우부승지 유만중(柳萬重)을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유수의 계 304

04-01-26_06 수찬 남일명(南一明) 등을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304

04-01-26_07 병조 판서 오명항(吳命恒)을 다시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鄭壽期)의 계 304

04-01-26_08 탈이 있는 사변가주서 권집(權) 대신에 조진세(趙鎭世)를 사변가주서로 삼았다 305

04-01-26_09 하번 마군(馬軍)과 보군(步軍)의 시재(試才)에 대한 상격(賞格)은 본청의 목면(木綿)을 면급(面給)한 뒤에 별단(別單)에 써서 들이겠다는 어영청의 계 305

04-01-26_10 4월과 5월 입번할 중부(中部) 중사(中司)에 속한 전라 우도와 충청 우도의 5개 초(哨) 군병을 시기에 맞추어 징발해 보내도록 감사 등에게 통지하겠다는 어영청의 계 305

04-01-26_11 4월과 5월 입번할 해서(海西) 12번과 13번 별마대(別馬隊)를 달마다 시기에 맞춰 징발해 올려보내라고 본도의 감사와 병사에게 전례에 따라 통지하겠다는 어영청의 계 306

04-01-26_12 점고(點考)를 받고 대기하는 해서 10번 별마대 등을 2월 1일 동영(東營)에 입직한 9번 별마대와 교대시킨 뒤에 구군(舊軍)은 내려보내겠다는 어영청의 계 306

04-01-26_13 점고를 받고 대기하는 중부 좌사(左司) 소속 전라 우도 5개 초 군병을 2월 1일 전사(前司) 군병과 교대시킨 뒤에 구군은 내려보내겠다는 어영청의 계 306

04-01-26_14 농월(農月)에 관계되므로 9번 우부(右部) 좌사 소속 전라도 5개 초는 4월에, 우부 중사 소속 5개 초는 5월에 입번하되, 전달 25일에 서울에서 점고를 받을 것 등을 감사 등에게 통지할 것을 청하는 금위영의 계 306

04-01-26_15 점고하고 대기하는 8번 우부 전사 소속 전라도 5개 초의 군병들과 해서 별효위 등을 2월 1일에 내외 각처에 입직한 마군 등과 교대시킨 뒤에 구군은 내려보내겠다는 금위영의 계 307

04-01-26_16 석강(夕講)을 하겠다는 전교 307

04-01-26_17 의정부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에게 상의 말을 전한 결과를 보고하는 기사관 이종백(李宗白)의 계 307

04-01-26_18 음주를 경계하는 때이니 두 분 자전(慈殿) 이외에는 술을 2병씩 줄이도록 해당 원(院)에 분부하라는 전교 308

04-01-26_19 숙위하는 군병에게 드는 군수(軍需)도 관계가 막중하므로 호조에게 지급하도록 허락한 1700섬을 중지하기를 청하는 어영청의 계 308

04-01-26_20 목시룡(睦時龍) 등을 형률에 따라 처단하고 장령 유간(柳諫) 등을 체차하기를 청하는 집의 김중희(金重熙)의 계 309

04-01-26_21 처치한 말이 군부에게 소중히 여김을 받지 못했으므로 직임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집의 김중희의 계 314

04-01-26_22 일을 잘못 처리했고 염치를 무너뜨리는 혐의가 있으므로 직명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우부승지 유만중(柳萬重)의 상소 315

04-01-26_23 희정당(熙政堂)에서 주강을 행하는 자리에 지사 김동필(金東弼) 등이 입시하여 《중용》을 강하고, 민진원(閔鎭遠)의 일에 대해 미품한 승지를 파직한 일, 지방의 시험 기일에 맞춰 도사를 출발시키는 일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316

04-01-26_24 희정당에서 석강을 행하는 자리에 지사 김동필 등이 입시하여 《중용》의 강을 마치고, 계속해서 강할 《서전(書傳)》의 범위, 복습하는 기간에 대해 논의하였다 328

27일(무인) 맑음 337

04-01-27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337

04-01-27_02 강계 부사(江界府使) 이재항(李載恒) 등이 하직하였다 337

04-01-27_03 오는 1일의 윤대(輪對)는 국기일(國忌日)과 겹치므로 탈품(頉稟)한다는 유만중(柳萬重)의 계 337

04-01-27_04 감찰이 다시(茶時)를 한다는 유만중의 계 337

04-01-27_05 병조 판서 오명항(吳命恒)을 내일 패초하겠다는 유만중의 계 338

04-01-27_06 부총관 이익한(李翊漢)이 호조 참판으로서 본조의 좌기에 낮근무하러 나간다는 도총부의 계 338

04-01-27_07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을 인견(引見)하겠다는 전교 338

04-01-27_08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338

04-01-27_09 우부승지 유만중을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鄭壽期)의 계 339

04-01-27_10 동래 부사(東萊府使) 권부(權孚) 등은 머물러 대령하라는 전교 339

04-01-27_11 면신례(免新禮)를 행하지 않은 사변가주서 조진세(趙鎭世)를 군직에 붙여 사진하게 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의 계 339

04-01-27_12 병조 판서 오명항을 다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의 계 340

04-01-27_13 조현명(趙顯命)과 서명빈(徐命彬)을 본조록(本曹錄)의 후보자로 삼았다 340

04-01-27_14 전라도 영암군(靈巖郡) 추자도(楸子島)의 세전(稅錢)을 갖추어 납부하여 선비를 양성하는 수용에 보태게 할 것을 청하는 동지성균관사와 행 대사성의 계 340

04-01-27_15 하번을 우선 상번으로 올려 입직하도록 하겠다는 홍문관의 계 341

04-01-27_16 문과 초시에 사재감(司宰監)이 응판할 때 내섬시(內贍寺)를 덧붙여 주도록 하겠다는 예조의 계 342

04-01-27_17 입계하여 처치해 주기를 청한 강원 도사 이지성(李知聖)을 개차(改差)할 것을 청하는 이비의 계 342

04-01-27_18 말미를 받은 기한이 지난 사옹원 직장 구경훈(具景勳)을 개차할 것을 청하는 이비의 계 343

04-01-27_19 출사(出仕)할 기한이 지난 선공감 가감역관 이익(李瀷)을 개차할 것을 청하는 이비의 계 343

04-01-27_20 도목 정사(都目政事)를 언제쯤 할 것인지 물은 결과를 보고하는 유만중의 계 343

04-01-27_21 도목 정사를 행하는 날짜에 대해 이조에 물은 결과를 보고하는 유만중의 계 344

04-01-27_22 옥당을 지냈거나 새로 뽑은 사람이 대부분 파산(罷散) 상태에 있으므로 대책을 묻는 이비의 계 344

04-01-27_23 이비와 병비의 관직 제수 내용 344

04-01-27_24 담괴(痰塊)와 통증으로 직명을 해면해 줄 것을 청하는 충청 감사 권첨(權詹)의 상소 345

04-01-27_25 재해를 당했고 변방의 군향이므로 본도의 세곡을 호남에 떼어 주라는 명을 거두어 줄 것을 청하는 평안 감사 윤유(尹游)의 상소 347

04-01-27_26 대간의 논핵에 대해 해명하고,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지평 박사제(朴師悌)의 상소 352

04-01-27_27 원찬(遠竄)한 민진원(閔鎭遠)의 배소를 다시 정하고, 미품(微稟)한 이중관(李重觀)에 대한 명을 거두어 줄 것을 청하는 대사간 이정제(李廷濟)의 상소 355

04-01-27_28 노모의 구호를 위해 체차하고 작은 고을을 맡겨 봉양하게 해 줄 것을 청하는 교리 강박(姜檏)의 상소 358

04-01-27_29 희정당(熙政堂)에서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을 인견하는 자리에 좌부승지 정수기 등이 입시하여 도당록의 작성, 민진원과 미품한 승지의 일, 포상할 수령 등에 대해 논의하고, 동래 부사 권부 등을 인견하였다 360

28일(기묘) 맑음 376

04-01-28_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376

04-01-28_02 평신 첨사(平薪僉使) 여필원(呂必遠)이 하직하였다 376

04-01-28_03 감찰이 다시(茶時)를 한다는 유만중(柳萬重)의 계 376

04-01-28_04 송서(送西)할 일 등이 없어 병비에 정사가 없다는 정수기(鄭壽期)의 계 377

04-01-28_05 입직한 내삼청(內三廳) 등의 중일 습사(中日習射)를 위해 표신(標信)을 내줄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377

04-01-28_06 성상의 체후와 대왕대비전의 기후 등에 대해 묻고 의관들이 입진하여 세자궁의 기후를 살펴야 한다는 약방 도제조 이광좌(李光佐) 등의 계 377

04-01-28_07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 378

04-01-28_08 병조 판서 오명항(吳命恒)을 다시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의 계 378

04-01-28_09 새로 제수된 부수찬 박문수(朴文秀) 등을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378

04-01-28_10 부교리 조현명(趙顯命) 등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379

04-01-28_11 차임되지 않은 인원의 후임을 서울에 있는 별 탈 없는 사람으로 차출하여 왕세자의 상견례에 인원을 갖출 것 등을 청하는 시강원의 계 379

04-01-28_12 보덕 정석오(鄭錫五)를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380

04-01-28_13 모레는 국기(國忌)를 위해 재계하는 날이나 빈청(賓廳)에 모이라는 전교 380

04-01-28_14 부교리 조현명 등을 다시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의 계 380

04-01-28_15 청대(請對)한 좌부승지 유만중을 인견하겠고 대신 등도 함께 입시하라는 전교 380

04-01-28_16 정관(政官)을 패초하여 궁관의 궐원을 차출하되, 사서 윤상백(尹尙白)은 변통할 것 없이 패초할 것을 청하는 정수기의 계 381

04-01-28_17 이조 참의 윤혜교(尹惠敎)를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381

04-01-28_18 충청도 홍주(洪州)에 있는 우부승지 채팽윤(蔡彭胤)을 역마를 타고 올라오도록 하유할 것을 청하는 유만중의 계 381

04-01-28_19 부교리 조현명을 추고만 하고 내일 패초하라는 전교 381

04-01-28_20 비어 있는 옥당의 후임을 이어서 차출하라는 전교 382

04-01-28_21 비어 있는 춘방(春坊)의 후임을 서울에 있는 별 탈 없는 사람으로 차출하라는 전교 382

04-01-28_22 이비의 관직 제수 내용 382

04-01-28_23 필선 강박(姜檏)을 내일 패초하겠다는 유만중의 계 382

04-01-28_24 도목 대정(都目大政)이 지체되고 있으므로 병조 판서 오명항을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비변사의 계 383

04-01-28_25 의금부에서 대명하고 있는 병조 판서 오명항이 반납한 명소(命召)를 어떻게 할지 묻는 유만중의 계 383

04-01-28_26 유수 송성명(宋成明)의 집안에 재촉해서 혼인을 행하게 하되 상원군(商原君) 이공(李糼)과 정혼할지를 물어 아뢰라고 종부시에 분부하라는 비망기 383

04-01-28_27 노쇠하고 병들었으므로 직명을 속히 체차해 줄 것 등을 청하는 도승지 유중무(柳重茂)의 상소 384

04-01-28_28 정신과 근력이 노쇠했으므로 물러나 쉬게 해 줄 것을 청하는 좌참찬 강현(姜鋧)의 상소 386

04-01-28_29 정호(鄭澔) 등의 배소가 너무 가깝다고 대신의 비난을 받았으므로 직책을 개차하도록 명할 것을 청하는 동지의금부사 이만선(李萬選) 등의 상소 388

04-01-28_30 윤봉조(尹鳳朝)에 대한 논의를 정지한 일에서 동료들의 따돌림을 당한 것 등을 이유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헌납 홍상인(洪尙寅)의 상소 388

04-01-28_31 희정당(熙政堂)에서 좌부승지 유만중이 청대한 자리에 영의정 이광좌(李光佐) 등이 입시하여 청(淸)나라의 자문(咨文)에 대한 대처, 재자관(齎咨官)이 회답을 가져가는 일, 정문(呈文)을 지을 자, 도당록에 든 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390

판권기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