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1장. 서론 20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1
1. 연구 배경 21
2. 연구 목적 25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6
1. 연구 범위 26
2. 연구 방법 27
2장. 국내 패션산업 유통 구조 및 동향 30
제1절 국내 패션산업 현황 및 유통 구조 31
1. 국내 패션산업 및 시장 현황 31
2. 국내 패션 유통 구조의 특성 57
제2절 국내 디자이너 패션 유통의 특성과 변화 69
1. 국내 디자이너 패션 유통의 특성과 변화 69
2. 디자이너 브랜드 전개 과정에서의 고려사항 75
3장. 해외 패션산업 유통 구조 및 동향 :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83
제1절 해외 패션 산업 및 시장 현황 :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84
1. 해외 패션 산업 및 시장 동향 84
2. 전략 지역으로서 미국 패션 시장의 현황 및 특성 93
제2절 미국 패션 유통의 특성과 변화 104
1. 미국 패션 유통의 특성 104
2. 미국 패션 유통의 변화 118
4장. 디자이너 브랜드 해외 시장 진출 정책 126
제1절 해외 정책 사례 분석 127
1. 국가별 지원 정책 사례 검토 127
2. 시사점 146
제2절 국내 정책 및 법ㆍ제도 분석 149
1. 디자이너 패션 산업 진흥 관련 법ㆍ제도 분석 149
2.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 해외 진출 지원 사업 검토 158
3. 시사점 및 개선사항 173
5장. 시사점 및 정책제언 179
제1절 디자이너 브랜드 성장 지원을 위한 전략 180
1. 디자이너 브랜드 성공을 위한 전략 수립 180
2. 해외 진출 사업 통합/보증 브랜드 전략 184
제2절 현지화 지원 강화 방안 :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190
1. 현지 상설 쇼룸을 통한 현지화 지원 체계 구축 방안 190
2. 현지 상설 쇼룸의 단계별 지원 및 운영 방안 205
제3절 결론 221
1. 법ㆍ제도적 측면의 개선 방향 222
2. 디자이너 패션 브랜드 지원 사업의 체계화 방향 224
참고문헌 225
판권기 227
[그림 2-1] 국내 의류산업(제조업)의 생산 및 부가가치 추이(자료: 통계청 광업ㆍ제조업 조사 보고서, 출처: 박훈(2017.1) 동대문 패션시장 구조 고도화 전략, 산업연구원) 39
[그림 2-2] 국내 의류산업(제조업)의 사업체 및 종사자 수 추이(자료: 통계청 전국 사업체 조사 보고서, 출처: 박훈(2017.1) 동대문 패션시장 구조 고도화 전략, 산업연구원) 39
[그림 2-3] 국내 패션의류시장 현황(자료: 통계청, 소매판매통계, 출처: 산업연구원(2017.1) 동대문 패션시장 구조 고도화 전략) 41
[그림 2-4] 패션산업 업종별 매출액 추이(출처: 한국섬유산업연합회(2016.12), Korea Fashion Trend 2016) 42
[그림 2-5] 소비지출 구성비 추이(출처: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 가계소득지출조사 중 가계동향조사) 42
[그림 2-6] 패션 복종별 시장 비중 추이(출처: 한국섬유산업연합회(2016.12), Korea Fashion Trend 2016, 2016년 11월 1일 기준 추정 전망) 43
[그림 2-7] 패션 복종별 시장 규모 추이(출처: 한국섬유산업연합회(2016.12), Korea Fashion Trend 2016, 2016년 11월 1일 기준 추정 전망) 44
[그림 2-8] 패션제품 구매전망지수(출처: 한국섬유산업연합회(2016.12), Korea Fashion Trend 2016, 자료: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소비자동향조사(CSI)) 44
[그림 2-9] 온-오프라인 유통업체별 판매액 증감율 추이(출처: 한국섬유산업연합회(2016.12), Korea Fashion Trend 2016, 산업통상자원부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을 바탕으로 재구성) 45
[그림 2-10] 유통경로별 의복 판매액지수 추이(자료: 통계청, 출처: 한국섬유산업연합회(2016.12), 2016 FW Korea Fashion Market Trend, 48쪽) 48
[그림 2-11] 국내 온라인 패션시장 현황(자료: 통계청, 온라인 쇼핑몰 통계, 출처: 산업연구원(2017.1) 동대문 패션시장 구조 고도화 전략) 49
[그림 2-12] 의류제품 선호 유통채널(2016년 하반기) 50
[그림 2-13] SPA 브랜드의 국내 패션시장 점유율(출처: 삼성패션연구소(2016), 국내패션시장 동향) 50
[그림 2-14] 국내 패션의류 수출 추이(자료: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통계, 출처: 산업연구원(2017.1) 동대문 패션시장 구조 고도화 전략) 51
[그림 2-15] K 소비재 품목별 수출 증가 추이(자료: 한국무역협회, 출처: 한국무역협회(2016.11). 2016년 수출입 평가 및 2017년 전망) 52
[그림 2-16] 세계 의류시장 점유율('14년 기준)(자료: Marketline(2015.5) "Global apparel retail", 출처: KDB산업은행(2016) 5대 유망 소비재산업 현황 및 전망) 53
[그림 2-17] 한국 패션 기업의 해외진출 브랜드 추이(출처: 김효정(2016).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 전략 연구 : 세일즈 쇼룸의 기획과 운영을 바탕으로 이화여자대학교. p. 25.) 54
[그림 2-18] 의류 유통구조의 시대별 변화(자료: 한국섬유연합회) 61
[그림 2-19] 성장기의 국내 의류 제품 유통 경로(자료: 한국의류학회) 63
[그림 2-20] 유통채널 패러다임의 변화(출처: 국민일보(2014.9.12.)) 68
[그림 2-21] 리테일 시대의 패션 생태계와 비즈니스 모델 변화(출처: 展示로 브랜딩, 쇼룸으로 실질적인 수주회(Fashion Insight, 2017.3.15)) 74
[그림 3-1] 2010-2014 영국 패션리테일 규모(자료: Marketline(2015),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2015).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해외진출 전략 연구) 87
[그림 3-2] 2010-2014 이탈리아 패션리테일 규모(자료: Marketline(2015),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2015).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해외진출 전략 연구) 88
[그림 3-3] 2010-2014 중국 패션리테일 규모(자료: Marketline(2015),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2015).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해외진출 전략 연구) 89
[그림 3-4] 2015-2016년간 일반상품, 의류상품 온라인 매출증가 속도 비교(자료: 중국 국가통계국(2017), 중국의류협회산업부, 출처: 장수혜(2017.4.6.) 2016년 중국 의류산업 총 결산 보고서 요약) 90
[그림 3-5] 2010-2014 미국 패션리테일 규모(자료: Marketline(2015),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2015).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해외진출 전략 연구) 91
[그림 3-6] 2016-2020 글로벌 의류(apparel)시장 가치(출처: https://shenglufashion.wordpress.com/2016/10/16/statistics-globa-apparel-market-2016-2018/) 92
[그림 3-7] 실질 GDP : 이전 분기 대비 변동율(출처: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www.bea.gov)) 93
[그림 3-8] 미국 소득 점유율(좌) 및 인구비중(우) 변화(출처: 코트라 2017 미국 진출전략) 96
[그림 3-9] 국가별 일인당 의류 지출규모(2015-2025)(출처: statista) 97
[그림 3-10] 미국 상인 도매상의 의류, 옷감, 면직물 등 물품잡화의 판매추이(1992-2015)(출처: statista) 98
[그림 3-11] 미국 소비자의 도시 별 선호 브랜드 구매 성향(출처: https://www.shopittome.com(2012)) 102
[그림 3-12] 2010-2015년 5년간의 연간성장률과 비교한 2015-2016년 패션분야 성장률(출처: Mckinsey(2017), The State of Fashion 2017) 103
[그림 3-13] 전통적인 미국 의류도매시장 유통구조(출처: 김효정(2015). 국내 디자이너브랜드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 전략 연구 p.75) 105
[그림 3-14] 세일즈 쇼룸의 업무 흐름 프로세스(출처: 김효정(2015). 국내 디자이너브랜드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 전략 연구 p.86) 106
[그림 3-15] 주요 인디매거진 사례 116
[그림 3-16] 패션 글로벌 부분 규모와 성장률(출처: statista(2016), e-Commerce-Fashion Report 2016) 119
[그림 3-17] 아마존 의류 구매자 합계비율(출처: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5-07-20/cowen-amazon-will-be-the-number-one-u-s-clothingretailer-very-soon) 120
[그림 3-18] TGT와 WMT C&A 구매자가 아마존 의류 구매자와 중복(출처: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5-07-20/cowen-amazon-will-be-the-number-one-u-s-clothingretailer-very-soon) 120
[그림 3-19] Tommy Now 2017 Spring 여성 런웨이 쇼(출처: http://global.tommy.com/ko/kr/collections/runway-show/13) 121
[그림 3-20] 2016 Tommy Now 122
[그림 3-21] 2016 오피셜 페이크 캡슐 컬렉션(VETMENTS) 124
[그림 3-22] C&A Like Fashion 124
[그림 4-1] 도쿄아이 프로젝트(Tokyoeye Project) 사업체계도 129
[그림 4-2] Tokyoeye 2017 project Individual advice sessions(출처: http://amazonfashionweektokyo.com/jp/topics/information/art 20170201 01/) 131
[그림 4-3] BFC의 디자이너 단계별 지원(Designers Support at Different Stages)(출처: BFC Annual Repor 2015) 133
[그림 4-4] 콘텐츠진흥원 5개 패션 지원 사업 체계 및 관계도(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163
[그림 5-1] 컨셉코리아 통합/보증브랜드 개념도 187
[그림 5-2] 컨셉코리아 브랜드 활용 해외 진출 지원사업 구조도 188
[그림 5-3] 패션 진흥 정책 목표 및 디자이너 브랜드 성장 단계에 따른 지원사업의 위치 190
[그림 5-4] 단계별 지원 측면에서 본 현지 쇼룸의 사업 범위 191
[그림 5-5] 컨셉코리아 쇼룸의 목표 공중(Target Public)의 구성 197
[그림 5-6] 컨셉코리아 쇼룸의 목표 공중과 기능 199
[그림 5-7] 단계별 브랜드 성장 목표 및 지원 방식 206
[그림 5-8] 단계별 쇼룸 사업의 기능별 흐름도 208
[그림 5-9] 연차별 사업전개 흐름 209
[그림 5-10] 입점 디자이너 지원 프로그램 210
[그림 5-11] 컨셉코리아 쇼룸 사업의 운영 체계도 211
[그림 5-12] 컨셉코리아 쇼룸의 담당 주체 및 역할 212
[그림 5-13] 미트패킹 지도(출처: http://www.meatpacking-district.com/neighborhood/) 213
[그림 5-14] 하이라인 파크가 끝나는 곳에 자리잡은 휘트니 미술관(photograph by Nic Lehoux 2015, 출처: 월간미술) 215
[그림 5-15] 미크패킹 디스트릭트에 위치한 삼성전자 마케팅 센터 837/NYC(출처: 이데일리) 215
[그림 5-16] 소호(SOHO) 지역(출처: https://www.google.com/maps) 216
[그림 5-17] 가먼트 지역(Garment District)(출처: https://www.google.com/maps) 217
[그림 5-18] 패션 관련 협력 업체들이 모여 있는 가먼트 지구의 거리 풍경 218
[그림 5-19] 윌리엄스버그 지역(출처: https://www.google.com/maps) 219
[그림 5-20] 윌리엄스버그 지역의 편집숍(Urban Outfitters) 22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338410 | 338.47687 -17-8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338411 | 338.47687 -17-8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