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5

제1장 서론 16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7

1.2. LID 기법 관련 법ㆍ제도 및 기준 21

제2장 LID 기법 관련 최신 개정 기준 24

2.1. 우수유출저감대책 세부수립 기준 25

2.1.1. 사업시행으로 인한 우수유출영향 및 저감목표 검토 25

2.1.2. 우수유출저감대책의 수립 및 효과분석 검토 26

2.1.3.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유지관리계획 32

2.2. 사전재해영향성 검토시 침투저류시설 적용 33

2.2.1. 투수성 보도블록 CN 37

2.2.2. 침투트렌치의 CN 44

2.2.3. 침투집수정의 CN 45

제3장 LID형 우수유출저감시설 적용효과 분석 46

3.1.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 47

3.2. SWMM-LID 모형의 개요 51

3.2.1. SWMM 모형 내 RUNOFF 블록 53

3.2.2. SWMM 모형 내 LID 모듈의 개요 76

3.3. SWMM 모형 구축을 위한 입력자료 수집 92

3.3.1. SWMM 모형 구축을 위한 가상자료 수집 92

3.3.2. SWMM 모형 구축을 위한 유역입력자료 96

3.3.3. SWMM 모형 구축을 위한 관거입력자료 99

3.3.4. LID 시설의 입력 103

3.4. 대상지구 내 침투율 측정을 통한 절성토 반영 107

3.4.1. 토양 침투율 측정 107

3.4.2. 침투율 측정 수행 및 결과 112

3.5. SWMM 모형 구축 및 보정 116

3.5.1. SWMM 모형 구축 116

3.5.2. SWMM 모형의 보정 120

3.6. SWMM 모형을 통한 LID형 우수유출저감시설 효과분석 125

3.6.1. 절성토를 고려한 SWMM 모형 모의 결과 126

3.6.2. LID 시설 적용에 따른 SWMM 모형 모의 결과 126

3.6.3. 기존 모의분석과 비교 검토 130

제4장 테스트베드 저류지 적용성 및 개선방안 검토 132

4.1. 테스트베드 내 영구저류지 현황 및 개선 필요성 133

4.2. 테스트베드 내 영구저류지 개선방안 검토 및 개선(안) 135

4.3. 테스트베드 내 저류지 현장 답사 138

4.4. 테스트베드 유출 모니터링 수행 141

4.5. 영구저류지 개선을 위한 방안 설정 143

제5장 신규 사업지구 개발계획에 따른 LID 기법 적용 및 효과 분석 144

5.1. 지구단위계획에서 LID 기법의 계획 147

5.1.1. 목표점감량 설정 147

5.1.2. 토지이용별 적용 가능한 LID 기법 설정 148

5.1.3. 토지이용별 적용 LID 기법의 목표저감량 설정 151

5.2. LID 기법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 152

5.2.1. 개략적 LID 기법의 효과 분석 152

5.2.2. 모형모의를 통한 효과 분석 153

제6장 침투저류시설의 적용 및 성능평가 156

6.1. 침투저류시설의 개요 157

6.2. 침투저류시설의 현장 적용 및 점검 159

제7장 결론 163

참고문헌 166

[부록] 169

1. SWMM 모형 입력자료 170

1.1.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개발 후) 170

1.2.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LID 기법 적용) 187

2.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 침투율 측정 207

판권기 3

표목차

[표 1-1] 국내 LID 관련 주요 법과 제도 22

[표 2-1] 저류시설의 저류량 산정 및 여유고 규모 29

[표 2-2] 자연재해대책법 내용(「자연재해대책법」, 법률(10384호), 2010년 7월 23일 시행) 33

[표 2-3] 지역내 저류시설에 따른 저류한계수심(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제도의 내용) 37

[표 2-4] 투수성보도블록의 투수계수별 CN 38

[표 2-5] 하부토양 투수계수별 CN(투수성보도블록 투수계수=0.587㎝/s) 41

[표 2-6] 하부토양 투수계수별 CN(투수성보도블록 투수계수=0.026㎝/s) 42

[표 2-7] AMG-Ⅰ 조건의 경사별 침투트렌치 CN 44

[표 2-8] AMG-Ⅲ 조건의 경사별 침투트렌치 CN 44

[표 2-9] AMC-Ⅰ 조건의 침투집수정 CN 45

[표 2-10] AMC-Ⅲ 조건의 침투집수정 CN 45

[표 3-1] SWMM 특징 52

[표 3-2] 세부유역의 분류 55

[표 3-3] 지표면 유츌(overland flow)의 조도계수 추정 값 61

[표 3-4] 유럽 지역의 지면 저류 자료 63

[표 3-5] 지면 저류 추정 값 64

[표 3-6] 침투량 계수(이종태 등, 1996) 66

[표 3-7] Green-Ampt 침투 매개변수 68

[표 3-8] SWMM에서 구현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 기법의 요소기술 77

[표 3-9] LID 기법별 입력 항목 80

[표 3-10] 표면층의 매개변수 81

[표 3-11] 토양층의 매개변수 83

[표 3-12] 토양의 종류에 따른 토양층 매개변수의 값 84

[표 3-13] 저류층의 매개변수 85

[표 3-14] 저류층의 매개변수 87

[표 3-15] 배수 매트의 매개변수 91

[표 3-16] 천안관측소의 연평균 강수량 93

[표 3-17] 월 평균 증발량 96

[표 3-18] 개수로 및 관거의 Manning 조도계수 추정값(Chow 등, 1988) 99

[표 3-19] 대상유역의SWMM5 모형 내 유역입력자료 100

[표 3-20] 적용된 LID 시설별 개소수 104

[표 3-21]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 내 소유역별 LID 시설 적용 개소수 105

[표 3-22] 토양 Type 분류 기준 111

[표 3-23] 절토층 침투율 측정 결과 113

[표 3-24] 성토층 침투율 측정 결과 114

[표 3-25] 절ㆍ성토로 인한 CN 값 변화 115

[표 3-26] 구축된 관망 및 유출모의 결과(2005.09.17. 23:00) 117

[표 3-27] 절성토를 고려한 물순환 개선효과분석 126

[표 3-28] LID 적용에 따른 물순환 개선효과분석 127

[표 3-29] LID 적용에 따른 첨두유출 SWMM 모의 결과 127

[표 3-30] SWMM 모형 모의결과(확률강우량) 129

[표 3-31] 관거별 LID 적용에 따른 저감효과 129

[표 3-32]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에 대한 과거 모의 결과(실시설계) 130

[표 3-33]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내 두 관거(C33, C41) 유역에 대한 모의 결과 130

[표 3-34]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에 대한 과거 모의 결과(LHI, 2011)) 131

[표 4-1] 행정중심복합도시 내 저류지 저감량 산정 135

[표 4-2] 행정중심복합도시 내 영구저류지 검토결과 137

[표 5-1] 백분위수(percentile) 강우사상에 의한 세종 6-4 생활권 목표저감량 설정 148

[표 5-2] 세종 6-4생활권 토지이용별 적용가능 LID 기법 149

[표 5-3] 개략적 토지이용별 적용가능 LID 기법 150

그림목차

[그림 1-1] 빗물관리 체계의 변화 17

[그림 1-2] 개발 및 우수유출저감시설 적용에 따른 물순환 체계 18

[그림 2-1] 시설별 적용가능시설 선정 절차(국민안전처, 2016) 26

[그림 2-2] 배치 및 규모계획 절차(국민안전처, 2016) 28

[그림 2-3] 목표저감량 할당 방법 및 절차 31

[그림 2-4] 투수성 보도블록 투수계수별 CN 40

[그림 2-5] 하부토양 투수계수별 CN 40

[그림 3-1] 아산탕정 시범지구 위치도 48

[그림 3-2] 아산탕정 시범지구 현황 49

[그림 3-3]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 토지이용계획 49

[그림 3-4]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 조감도 50

[그림 3-5] 지구단위별 빗물관이시설 설치기준 51

[그림 3-6] 소유역의 세부유역 54

[그림 3-7] 소유역의 폭을 설명하는 이상화된 소유역-배수로의 형상(Huber and Dickinson, 1988) 56

[그림 3-8] 유역 폭의 영향을 설명하는 여러 가지 폭의 유역 57

[그림 3-9] 소유 폭에 따른 유츌 수문곡선(Huber and Dickinson, 1988) 58

[그림 3-10] 가상의 소유역 59

[그림 3-11] 소유역 추적에 적용하는 비선형 저수지 모형(Huber and Dickinson, 1988) 69

[그림 3-12] RUNOFF 블럭에서 사용하는 수로/관의 형상(Huber and Dickinson, 1988) 72

[그림 3-13] 지하수 매개변수와 개념도(Huber and Dickinson, 1988) 73

[그림 3-14] 생태 저류지가 가지는 수직층과 물수지(Rossman, 2016) 79

[그림 3-15] 연구대상유역의 Thissen망(아산탕정 사전재해영향성검토서, 2009) 92

[그림 3-16] 천안 관측소의 연강수량 95

[그림 3-17] 천안 관측소의 월평균 강수량 분포 95

[그림 3-18] 대상유역의 수유역분할도 97

[그림 3-19] 대상유역의 토지이용계획도 98

[그림 3-20] SWMM 모형 내 적용가능 LID 요소기술 103

[그림 3-21]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 내 적용 LID 시설 위치도 104

[그림 3-22] Guelph Permeameter 107

[그림 3-23] 침투율 측정 지점 109

[그림 3-24] 침투율 측정 수행 사진 112

[그림 3-25] 개발에 따른 연구대상유역의 토양군 변화 115

[그림 3-26] SWMM 모형 구축화면 116

[그림 3-27] 대상지구 유출모니터링 수행 및 모형의 보정 120

[그림 3-28] 대상지구의 우수배제 시스템 및 모니터링 지점 121

[그림 3-29] SWMM 모형의 건기시 유출 보정 결과(C_OUT,2006.08.09~2016.08.21) 122

[그림 3-30] SWMM 모형의 건기시 유출 보정 결과(C41, 2006.08.09~2016.08.21) 122

[그림 3-31] SWMM 모형의 건기시 유출 보정 결과(C33, 2006.08.09~2016.08.21) 123

[그림 3-32] SWMM 모형의 강우시 유출 보정 결과(C_OUT,2006.07.29) 123

[그림 3-33] SWMM 모형의 강우시 유출 보정 결과(C41, 2006.07.29) 124

[그림 3-34] SWMM 모형의 강우시 유출 보정 결과(C33, 2006.07.29) 124

[그림 3-35] 저류지로 유출되는 지점의 관거(C33) 및 해당 유역 125

[그림 3-36] 장재천으로 유출되는 지점의 관거(C41) 및 해당 유역 125

[그림 3-37] LID 적용에 따른 SWMM 모형 모의 결과(2007.08.04) 128

[그림 4-1] 금강 수변공원 내 저류지 현황 133

[그림 4-2] 4-1생활권 내 저류지(R38) 133

[그림 4-3] 영구저류지 대표 단면도 134

[그림 4-4] 3-2생활권 내 저류지(RG07) 134

[그림 4-5] 수문통합모의를 통한 첨두유출 및 저감량 재산정 136

[그림 4-6]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계획도 138

[그림 4-7] 행정중심복합도시 6생활권 내 저류지 위치도 139

[그림 4-8] 6생활권 내 R15 저류지 현황도 140

[그림 4-9] 6생활권 내 R24 저류지 계획부지 현황도 140

[그림 4-10] R15 저류지 인근 하천 유출 모니터링 수행 141

[그림 4-11] R24 저류지 계획부지 인근 하천 유출 모니터링 수행 142

[그림 5-1] 지구단위계획에서 LID 기법 적용 및 효과 분석 방안 146

[그림 5-2] 행정중심복합도시 6-4 생활권 내 LID 기법 적용계획 150

[그림 5-3] 토지이용별 적용 LID 기법의 목표저감량 설정 기준 151

[그림 5-4] 개략적 LID 기법 효과분석 방안 153

[그림 5-5] 모형모의를 통한 효과분석 방안 154

[그림 5-6] 지구단위계획에서 LID 기법의 적용 및 효과분석 방안 제시 155

[그림 6-1] 침투저류시설의 개요 158

[그림 6-2] 시설 내 토사억제 시스템 158

[그림 6-3] 침투저류시설의 설계도면 159

[그림 6-4] 침투저류시설의 현장적용 160

[그림 6-5] 침투저류시설의 현장 점검 162

이용현황보기

LID시설의 유출효과 정량화에 따른 합리적 우수유출저감시설 적용방안 연구 =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ational rainfall-runoff reduction facilities by quantification of runoff effect on LID facilities. 1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04320 711.42 -17-7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04321 711.42 -17-7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