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4
ABSTRACT 12
제1장 서론 28
제2장 전기차와 충전 인프라 간의 '닭과 달걀' 문제 분석 32
제1절 개관 32
제2절 세계 전기자동차 판매 및 정책 동향 34
1. 세계 전기자동차 판매 및 충전소 보급 동향 34
2. 주요국 전기자동차 및 충전소 보급 정책 42
3. 시사점 64
제3절 ABM(Agent Based Model) 시뮬레이션 분석 66
1. 전기자동차 사용자 이용 행태 66
2. 시뮬레이션(Simulation) 분석 72
3. 시사점 98
제3장 국내 전기차 충전서비스 시장 육성방안 101
제1절 개관 101
제2절 전기차와 충전 인프라 102
1. 전기차와 충전 인프라와의 관계 102
2. 전기차 충전방식의 유형 107
제3절 전기차 충전서비스 시장 구조분석 120
1. 전기차 충전 인프라 비즈니스 생태계 120
2. 전기차 충전서비스 시장에 대한 구조분석 128
제4절 국내 전기차 충전서비스 시장 현황 140
1. 정부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노력 140
2. 국내 민간 전기차 충전서비스 공급업체 현황 144
제5절 국내 전기차 충전서비스 시장 육성방안 153
1. 전기차 충전서비스 요금에 대한 한시적인 보조 155
2. 민간 충전소 운영자(EVSEO)의 육성 지원 156
제4장 결론 160
참고문헌 162
판권기 168
[그림 2-1] 세계 전기자동차 판매량 및 신차 판매 비중 34
[그림 2-2] 지역별 전기자동차 판매 비중 추이 35
[그림 2-3] 세계 공공 전기자동차 충전기 설치 동향 38
[그림 2-4] 미국의 DCFC 설치 예상 44
[그림 2-5] 중국 충전 인프라 설치 및 목표 50
[그림 2-6] E-Mobility 시스템 53
[그림 2-7] 2016년 4월 독일 전기자동차 지원 정책 57
[그림 2-8] 일본의 충전 인프라 정비에 관한 모델 플랜 63
[그림 2-9] 전기자동차 이용 후 만족도 조사 68
[그림 2-10] 전체 충전건수 중 장소별 충전비율 68
[그림 2-11] 전기차 충전기 활용 경험 69
[그림 2-12] 충전 행태별 주 평균 개인용 충전기 이용 빈도 70
[그림 2-13] 개인용 충전기 이용 시간대 70
[그림 2-14] 최근 1개월 이내 가장 많이 이용한 공용 충전기 이용 장소 71
[그림 2-15] 월평균 공용 충전기 이용 빈도 71
[그림 2-16] 공용 충전기 이용 이유 71
[그림 2-17] Silvia and Krause 모델의 전기자동차 구매 결정 과정 73
[그림 2-18] 연구모형의 개관 76
[그림 2-19] 소비자 의사결정 순서도 78
[그림 2-20] 자동차 현재 차령과 자동차구매차령 분포도 79
[그림 2-21] 프리미엄 α의 분포도 (예시) 80
[그림 2-22] 실효가격 차이 반응 곡선(예시) 82
[그림 2-23] 거주영역 반경 분포 곡선(예시) 82
[그림 2-24] 충전 인프라 규모에 따른 소비자 반응 함수 84
[그림 2-25] 충전소 공급자 의사결정 순서도 86
[그림 2-26] 폐쇄형 공간에서의 소비자 거주지 분포도 90
[그림 2-27] 프리미엄 α의 누적분포도 91
[그림 2-28] 자동차 현재 차령과 자동차구매차령 누적 적분포도2 92
[그림 2-29] p값에 따른 전기자동차와 충전소 공진화 94
[그림 2-30] p값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기충전소 공진화(p=0.1) 97
[그림 2-31] p값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기충전소 공진화(p=0.3) 97
[그림 3-1] 국내 보급대상 전기차 차종 (2016년 기준) 104
[그림 3-2]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구성 (모식도) 105
[그림 3-3] 전기차 충전장비 구성체계 106
[그림 3-4] 국내 구축 중인 공용 완속 충전기 예시 109
[그림 3-5] 국내 구축 중인 공용 급속 충전기 예시 110
[그림 3-6] 비접촉식 충전방식 112
[그림 3-7] 미국 자동차 주간 주차위치 비율(2001년 Natinal Household Travel Survey) 114
[그림 3-8] RFID 장착 콘센트와 이동형 충전기 115
[그림 3-9] 충전방식별로 구분한 보급의 중요도 피라미드 117
[그림 3-10] 대륙별 세부적인 상업용 충전장비 보급 실적 (2015년 기준) 119
[그림 3-11] 전기차 충전 인프라 생태계의 구조 123
[그림 3-12] 전기차 충전 인프라 생태계에서 식별 가능한 주요 사업유형 124
[그림 3-13] 전기차 충전서비스 비즈니스 생태계 모식도 128
[그림 3-14] 전기차 충전서비스 공급자의 기능 개념도 130
[그림 3-15] 전기차 충전서비스 공급시스템 모식도 131
[그림 3-16] 전기차 충전서비스 공급사업의 구성요소 간 관계 유형 비교 134
[그림 3-17] 다자간 로밍서비스 공급 시스템 139
[그림 3-18]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주)의 사업모형 소개 147
[그림 3-19] 포스코ICT의 전기차 충전서비스 공급 사업모형 소개 149
[그림 3-20] 광고가 게재된 OpConnect사의 충전기 15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291585 | 338.476292 -17-1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291586 | 338.476292 -17-1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