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개요 9
1. 배경 및 목적 10
1.1. 배경 및 필요성 10
1.2. 목적 10
2. 계획의 범위 11
2.1. 시간적 범위 11
2.2. 공간적 범위 11
2.3. 내용적 범위 11
3. 계획의 추진체계 12
4. 그간의 추진 경위 13
4.1. 추진 경위 13
4.2. 제2차 관리기본계획(2010) 이행여부 검토 16
제2장 관련 정책 여건 및 계획 18
1. 보호지역 관리 국내·외 정책 여건 20
1.1. 국내 보호지역 관리 정책 여건 20
1.2. 국외 보호지역 관리 정책 여건 22
2. 관련 계획 및 지침 26
2.1. 관련 상위 계획 26
2.2. 관련 지침 32
2.3. 관련 지역 계획 33
제3장 생태·경관보전지역 현황 40
1. 생태·경관보전지역 관리 여건 42
1.1. 자연환경 현황 42
1.2. 인문사회 환경 현황 53
1.3. 수달 서식 현황 63
2. 정밀조사(2014) 및 모니터링 결과(2011~2016) 분석 71
3.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 72
4. 종합분석 및 핵심 이슈 73
제4장 관리기본계획 76
1. 관리 목표 및 기본방향 78
1.1. 목표 78
1.2. 생태·경관보전지역 권역별 관리구역 설정 79
1.3. 관리구역별 방향 81
2. 세부 관리계획 82
2.1. 자연생태·경관과 생물다양성의 보전·관리 84
2.2. 주민 삶의 질 향상 및 이해관계인의 이익 보호 98
2.3. 자연자산 관리 및 생태계 보전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 106
제5장 투자계획 및 소요예산 114
1. 재원확보 방안 116
1.1. 크라우드펀딩 116
1.2. 직거래 판매장 117
1.3. 후원자 모집 프로그램 118
1.4. 국민신탁운동 118
2. 단계별 사업 운영 계획 121
3. 사업별 예산 산출 122
참고문헌 126
부록 128
1. 현장조사 사진 130
2. 관속식물 목록(2014, 국립생태원) 137
3. 어류 목록(2014, 국립생태원) 153
4. 육상곤충 목록(2014, 국립생태원) 154
참여 연구원 159
[그림 1] 구례 섬진강수달서식지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공간적 범위 11
[그림 2] 섬진강 생태탐방로 조성사업 내용 38
[그림 3] 구례군 연평균기온 및 강수량 전망 42
[그림 4] 대상지 내 고도 및 지형 분포도 43
[그림 5] 생태·경관보전지역 내·외 지형 44
[그림 6] 좀보리사초 및 남방바람꽃 위치도 44
[그림 7] 하천 및 수변 식생 군락 46
[그림 8] 봉소정 식생관리 전·후 비교 사진 46
[그림 9]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동물 서식 현황과 모래톱 전경 47
[그림 10] 모래톱(수달관찰대 전면) 동물 흔적 47
[그림 11]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외래종 출현 현황 49
[그림 12] 대상지 인근 수리·수문 현황 및 하계망도 50
[그림 13] 대상지 인근 하천 합수부 50
[그림 14] 수질측정 및 수질측정망 지점 51
[그림 15] 생태·경관보전지역과 연결된 배수통관과 인근 오염원 분포 현황 52
[그림 16] 생태·경관보전지역 인근 도로 현황과 유도울타리 설치 현황 54
[그림 17] 유도울타리 단절구간 54
[그림 18] 생태·경관보전지역 주변 역사·문화재 현황도 55
[그림 19] 생태·경관보전지역 내·외의 경관 56
[그림 20] 생태·경관보전지역 인근 주요 조망점 경관 모습 57
[그림 21] 안내판 설치 현황 및 개선 방향 58
[그림 22]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불법 행위 60
[그림 23] 사유지 현황 및 위치도 62
[그림 24] 2007년, 2013년 토지피복도 변화 63
[그림 25] 서식수변환경지수(HRI)를 이용한 섬진강 수계의 수생태계 건강성 변화 64
[그림 26] 대상지 내 어류종별 상대풍부도 및 먹이자원 분포도 66
[그림 27] 수달의 흔적 분포도 67
[그림 28] 자연굴(추정 위치) 전경 67
[그림 29] 수달의 인공굴, 자연굴 현황 68
[그림 30] 자연굴(추정 위치) 전경과 수달 배설물 69
[그림 31] 대나무 숲과 봉소정의 인공굴 모습 70
[그림 32] 관리 목표 및 기본방향 78
[그림 33] 생태·경관보전지역 토지용도지구 구상(안) 80
[그림 34] 관리구역별 방향 설정 81
[그림 35] 진양호 서식 수달의 혈연관계 입증(유사 사례) 89
[그림 36] 생태계 교란 야생생물 제거 모습 91
[그림 37] 대상지 내 생태계 교란 야생생물 제거 방법 및 시기 92
[그림 38] 유도울타리 설치 현황 및 단절 구간 94
[그림 39] 유도울타리(안) 94
[그림 40] 과속방지 시설물 설치 위치도(안) 95
[그림 41] 과속방지턱(안) 96
[그림 42] 야생동물 출현 경고... 96
[그림 43] 수질측정 위치 및 측정기기 98
[그림 44] 수달 영상 및 전시 관람 활용 예시 100
[그림 45] 홍보 예시 101
[그림 46] 생태관광 프로그램 구상안 103
[그림 47] 친환경 농산물 직거래 방안 104
[그림 48] 탐방로 조성 계획(안) 108
[그림 49] 대상지 내·외 사유지 현황 112
[그림 50] 위치도(지적도) 및 현지 모습 113
표제지
목차
제1장 개요 164
1. 배경 및 목적 165
1.1. 배경 및 필요성 165
1.2. 목적 165
2. 계획의 범위 166
3. 계획의 추진체계 167
4. 그간의 추진 경위 168
4.1. 추진 경위 168
4.2. 제3차 관리기본계획(2010) 이행여부 검토 169
제2장 관련 정책 여건 및 계획 171
1. 보호지역 관리 국내·외 정책 여건 173
1.1. 국내 보호지역 관리 정책 여건 173
1.2. 국외 보호지역 관리 정책 여건 174
2. 관련 계획 및 지침 175
2.1. 관련 상위 계획 175
2.2. 관련 지침 175
2.3. 관련 지역 계획 176
제3장 생태·경관보전지역 현황 177
1. 생태·경관보전지역 관리 여건 179
2. 정밀조사(2014) 및 모니터링 결과(2011~2016) 분석 181
3.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 181
4. 종합분석 및 핵심 이슈 182
제4장 관리기본계획 183
1. 관리 목표 및 기본방향 185
1.1. 목표 185
1.2. 생태·경관보전지역 권역별 관리구역 설정 185
1.3. 관리구역별 방향 186
2. 세부 관리계획 187
2.1. 자연생태·경관과 생물다양성의 보전·관리 188
2.2. 주민 삶의 질 향상 및 이해관계인의 이익 보호 193
2.3. 자연자산 관리 및 생태계 보전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 196
제5장 투자계획 및 소요예산 199
1. 단계별 사업 운영 계획 201
2. 사업별 예산 산출 202
참여 연구원 20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302911 | 599.769217 -17-1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302912 | 599.769217 -17-1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302913 | 599.769217 -17-1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302914 | 599.769217 -17-1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