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22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2
1.1. 연구 배경 22
1.2. 연구 필요성 32
2. 연구 목표 및 추진 방향 34
2.1. 연구 목표 34
2.2. 추진 방향 35
3. 연구 추진 체계 및 추진 전략 37
3.1. 추진 체계 37
3.2. 연구 추진 전략 39
제2장 국내외 연구동향 40
1. 기술동향 40
1.1. 국내 기술 동향 40
1.2. 국외 기술 동향 47
2. 법 제도 및 특허 동향 50
2.1. 국제 및 국내 법 제도 50
2.2. 방음벽 특허 동향 53
3. 시장동향 59
3.1. 방음벽 시장동향 59
3.2. 국외 시장 동향 62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64
1. 방음 패널용 소재선정 및 방음 패널 모형후보 예측(1차년도) 66
1.1. 도로 방음벽 관련 현황 조사 66
1.2. 기초 방음성능 시험을 통한 방음패널 소재 선정 74
1.3. 방음패널 모형후보 예측 88
2. 반사소음 저감형 방음패널 개발(2차년도) 96
2.1. 반사소음 저감형 방음패널 모형 개발 97
2.2. 태양광 기반 기능형 방음벽 적용성 검토 124
2.3. Double layer 방음패널 개발 130
3. 분진 제거모형 개발(3차년도) 143
3.1. 분진 제거장치 모형개발 및 성능평가 144
3.2. 기능강화형 방음벽 기술 개발 159
3.3. ANC 융합형 방음벽 설계 180
4. 분진 제거 기능을 갖는 기능형 방음벽(4차년도) 186
4.1. 분진 제거 필터 모듈 설계 및 제작 190
4.2. 분진 제거 필터 성능평가 192
4.3. 기능형 방음벽 제작 및 설치 204
4.4. 기능형 방음벽 성능평가 208
5. 기능형 방음벽 성능 평가 및 검증(5차년도) 214
5.1. 기능형 방음벽의 현장 성능평가 및 검증 215
5.2. 현장 실용화 방안 마련 228
제4장 연구 추진실적 및 목표 달성도 241
1. 연구 추진 실적 241
2. 대표 성과물 242
3. 임무 유형별 성과 지표 대표성과 244
제5장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245
1. 기대효과 및 성과 확산 245
1.1. 기술적 기대효과 245
1.2. 사회적 기대효과 245
2. 활용 방안 246
제6장 결론 247
참고문헌 249
부록 251
서지자료 256
Bibliographic Data 257
판권기 258
그림 1.1.1. 방음벽의 종류 26
그림 1.1.2. 서울의 PM-10 및 NOx의 대분류 배출원별 배출 기여도 30
그림 1.2.1. 최종 목표 및 타 세세부와의 연계 34
그림 1.2.2. 연구 추진 로드맵 36
그림 1.2.3. 연차별 연구목표 및 내용 37
그림 1.3.1. 연구 추진 체계 38
그림 1.3.2. 원내 연구 추진 체계 38
그림 1.3.3. 연구 추진 전략 39
그림 2.1.1. 기능형 방음벽의 종류 41
그림 2.1.2. 기능형 방음벽 기술 동향 1, 2 41
그림 2.1.3. 기능형 방음벽 기술 동향 3, 4 42
그림 2.1.4. 기능형 방음벽 기술 동향 5, 6 42
그림 2.1.5. 기능형 방음벽 기술 동향 7, 8 43
그림 2.1.6. 기능형 방음벽 기술 동향 9, 10 44
그림 2.1.7. 기능형 방음벽 기술 동향 11, 12 44
그림 2.1.8. Aerostick-T 48
그림 2.1.9. Una 방음벽 48
그림 2.1.10. Clean Screen 49
그림 2.1.11. 통풍식 펜스의 prototype 49
그림 2.2.1. 미세먼지 농도 관련 법규 및 정책 기준 53
그림 2.2.2. 연도별 분석 55
그림 2.2.3. 주요 국가별 출원건수 점유율 및 내·외국인 특허출원현황 56
그림 2.2.4. 주요국 내·외국인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57
그림 2.2.5. 기술시장 성장 단계의 해석 기준 57
그림 2.2.6. 각국 투명방음벽의 기술시장 성장단계 해석 58
그림 2.3.1. 방음벽 설치 동향 61
그림 3.1.1. 방음판 유형별 설치현황 67
그림 3.1.2. 콘크리트 방음벽 69
그림 3.1.3. 유리방음판 설치 사례 70
그림 3.1.4. 금속 방음벽 설치 사례 70
그림 3.1.5. PMMA 방음판을 이용한 방음벽 70
그림 3.1.6. FRP 방음판 설치사례 70
그림 3.1.7. 폴리우레탄 71
그림 3.1.8. 미네랄 울 71
그림 3.1.9. 목모보드 71
그림 3.1.10. 간이 방음시험장치 구조도 77
그림 3.1.11. 시험체 설치 위치 세부구조도 77
그림 3.1.12. 설치된 간이 방음시험장치 78
그림 3.1.13. 진공방음패널 실험사진 78
그림 3.1.14. 폴리머 종류별(두께 2mm) 주파수별 차음성능 82
그림 3.1.15. 폴리머 종류별(두께 4mm) 주파수별 차음성능 82
그림 3.1.16. 폴리머 종류별(두께 8mm) 주파수별 차음성능 83
그림 3.1.17. 시험체별 차음량 87
그림 3.1.18. 주파수별 LDPE(필름형) 방음패널의 방음효과 경향 88
그림 3.1.19. 방음벽 모델 89
그림 3.1.20. 방음벽 전면형상에 따른 예측 89
그림 3.1.21. 음선의 이동 및 반사 91
그림 3.1.22. 1차 거울이미지 및 반사경로 91
그림 3.1.23. 일반 투명형 방음벽의 반사소음 예측 91
그림 3.1.24. 10 cm 두께 반사소음 분포 예측 92
그림 3.1.25. 20 cm 두께 반사소음 분포 예측 92
그림 3.1.26. 30 cm 두께 반사소음 분포 예측 92
그림 3.1.27. 일반 반사형과 전면형상 방음벽에 의한 소음 차이 시뮬레이션 93
그림 3.1.28. 일반 방음벽과 10 cm 두께의 표면형상을 갖는 방음벽의 방음성능 비교 결과 94
그림 3.1.29. 일반 방음벽과 20 cm 두께의 표면형상을 갖는 방음벽의 방음성능 비교 결과 94
그림 3.1.30. 일반 방음벽과 30 cm 두께의 표면형상을 갖는 방음벽의 방음성능 비교 결과 95
그림 3.2.1. 수직 지향성 모델의 예 98
그림 3.2.2. 방음벽에 의한 차선별 소음 전달(65 Hz) 101
그림 3.2.3. 소음도 비교 지점 위치도 103
그림 3.2.4. 날개형 패널의 설계인자 및 형태 104
그림 3.2.5. 곡선형 패널의 설계인자 및 형태 105
그림 3.2.6. 지그재그형 패널의 설계인자 및 형태 106
그림 3.2.7. 돌기형 패널의 형태 107
그림 3.2.8. 병풍형 패널[직각형]의 형태 108
그림 3.2.9. 병풍형 패널[V자 형]의 형태 108
그림 3.2.10. 돌기형 + 곡선형 방음벽의 형태 109
그림 3.2.11. 평판형 방음벽의 소음 방사 결과 110
그림 3.2.12. W-1(a=0.4, b=0.64, θ=39˚)의 소음 방사 결과 111
그림 3.2.13. R-2(a=1.5, b=4) 모델의 소음 방사 결과 113
그림 3.2.14. Z-3(a=2, b=1, θ=90˚) 모델의 소음 방사 결과 114
그림 3.2.15. Z-4(a=1, b=0.5, θ=90˚) 모델의 소음 방사 결과 115
그림 3.2.16. Rec-1 모델의 예측위치 116
그림 3.2.17. Rec-3 모델의 예측위치 117
그림 3.2.18. 평판형 방음벽의 3차선 소음 방사 결과 118
그림 3.2.19. 날개형(W-1) 방음벽의 3차선 소음 방사 결과 120
그림 3.2.20. 지그재그형(Z-3) 방음벽의 3차선 소음 방사 결과 120
그림 3.2.21. 지그재그형(Z-4) 방음벽의 3차선 소음 방사 결과 121
그림 3.2.22. 곡선형(R-2) 방음벽의 3차선 소음 방사 결과 121
그림 3.2.23. 지그재그형 패널 122
그림 3.2.24. 날개형 패널 123
그림 3.2.25. 방음벽 주변 음압분포 및 방음벽 상단의 의미 125
그림 3.2.26. 흡음형 소음저감장치 솔라셀 적용방안 128
그림 3.2.27. 방음벽 하부의 우수저류조 129
그림 3.2.28. 실험용 방음패널 131
그림 3.2.29. 차음성능 실험실 132
그림 3.2.30. 4 mm와 8 mm 두께의 PC와 PMMA의 차음특성 비교 133
그림 3.2.31. double layer에서 PC의 두께별 차음성능 비교 134
그림 3.2.32. double layer에서 PMMA의 두께별 차음성능 비교 134
그림 3.2.33. double layer 진공층에서 PC와 PMMA의 성능시험 135
그림 3.2.34. PC에서 single layer와 double layer 공기 및 진공층 성능시험 136
그림 3.2.35. PMMA에서 single layer와 double layer 공기 및 진공층 성능시험 136
그림 3.2.26. 충진제 주입을 위한 방음패널 간이 시험장치 137
그림 3.2.27. 충진제 주입을 위한 방음패널 간이 시험장치 사진 137
그림 3.2.28. 충진 소재별 방음패널의 차음성능 변화 139
그림 3.2.29. Nano 입자 주입량별 방음패널의 차음성능 변화 140
그림 3.2.30. 진공압력별 방음패널의 차음성능 변화 141
그림 3.2.31. nano 입자를 주입한 패널의 진공압력별 차음성능 변화 141
그림 3.2.32. 공기층 및 충진 소재를 이용한 차음성능 변화(성능평가) 142
그림 3.3.1. 미세먼지 제거장치 개요도 144
그림 3.3.2. 미세먼지 제거장치 풍동 실험 장치 개요도 145
그림 3.3.3. 미세먼지 제거장치 146
그림 3.3.4. 미세먼지 포집 장치 및 유입펌프 147
그림 3.3.5. 물 분사에 의한 풍속별 PM10 제거 151
그림 3.3.6. 물 분사에 의한 노즐개수별 PM10 제거 152
그림 3.3.7. 물 분사에 의한 수압별 PM10 제거 152
그림 3.3.8. 물 분사에 의한 풍속별 NOx 제거 154
그림 3.3.9. 물 분사에 의한 노즐개수별 NOx 제거 154
그림 3.3.10. 물 분사에 의한 풍속별 SO₂,제거 156
그림 3.3.11. 물 분사에 의한 노즐개수별 SO₂ 제거 156
그림 3.3.12. 일체형 방음벽의 3D 모식도 161
그림 3.3.13. 기능형 방음벽 설계도 162
그림 3.3.14. 기능형 방음벽 설치 사진 164
그림 3.3.15. 소음원 발생장치 사진 165
그림 3.3.16. 반사소음 측정장비 사진 166
그림 3.3.17. 반사소음 측정 전경 166
그림 3.3.18. 소음원 발생지점별 반사소음 측정 결과, 소음원 발생지점 2 m 169
그림 3.3.19. 소음원 발생지점별 반사소음 측정 결과, 소음원 발생지점 4 m 169
그림 3.3.20. 소음원 발생지점별 반사소음 측정 결과, 소음원 발생지점 6 m 170
그림 3.3.21. 실험 재료의 단면도 172
그림 3.3.22. 음향감쇠계수(음향투과손실) 시험을 위한 시료설치 장면 173
그림 3.3.23. 음향감쇠계수(음향투과손실) 시험을 위한 시료설치 평면도 및 설치부 확대 173
그림 3.3.24. PC의 Single & Double Layer STL 비교 175
그림 3.3.25. 물을 채운 PC의 Double Layer STL 비교 176
그림 3.3.26. PMMA의 Single & Double Layer STL 비교 178
그림 3.3.27. 물을 채운 PMMA의 Double Layer STL 비교 179
그림 3.3.28. 상부 설치형 설계(안) 183
그림 3.3.29. 내부설치형 I 설계(안) 184
그림 3.3.30. 내부설치형 II 설계(안) 184
그림 3.3.31. 태양광 융합형 설계(안) 185
그림 3.4.1. 기능형 방음벽 188
그림 3.4.2. 필터 모듈의 개념도 189
그림 3.4.3. 필터 모듈 사진 192
그림 3.4.4. 개발 필터의 입경별 제거율 194
그림 3.4.5. ASHRAE 52.2에 의한 최소효율 보고 수치(MERV table) 195
그림 3.4.6. 입경 단계별 제거율(풍속 비교) 197
그림 3.4.7. 분진 포집 효율 및 흡착총량, 단위흡착량 199
그림 3.4.8. 개발필터의 재생 전후 흡착량 201
그림 3.4.9. 재생 전후의 흡착선도 202
그림 3.4.10. 기능형 방음벽 205
그림 3.4.11. 방음날개 205
그림 3.4.12. 기능형 방음벽의 구성 207
그림 3.4.13. 소음 측정 위치 208
그림 3.4.14. 성능평가 수행과정 209
그림 3.4.15. 필터+평판형 방음벽의 반사음 및 회절음 211
그림 3.4.16. 필터+입체형 방음벽의 반사음 및 회절음 212
그림 3.4.17. 필터 모듈 저감효과의 입체형·평판형 비교 213
그림 3.5.1. 방음벽 구성 별 주행차량 발생 소음 비교 220
그림 3.5.2. 방음벽 구성 별 주행차량 저감 효과 220
그림 3.5.3. 평판형 대비 거리 및 방음벽 조합별 저감 효과 비교 227
그림 3.5.4. SCRYU/Tetra 프로그램 228
그림 3.5.5. 매쉬 조건 229
그림 3.5.6. 지면으로부터 높이별 기류 분석 232
그림 3.5.7. 지면으로부터 높이별 먼지농도 분석 233
그림 3.5.8. 차량 진행방향에 대한 거리 별 YZ 축 먼지농도 분석 234
그림 3.5.9. 시뮬레이션 영역 표면에서의 먼지농도 분석 235
그림 3.5.10. 기능형 방음벽 제작 설계도 236
그림 3.5.11. 단일 및 앙단 방음벽 설정 조건 23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