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 진로 일이 행복한가, 돈 쓰며 행복한가 _ 012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겠다면 _ 014 나다움을 찾는 것이 재능 _ 016 삶을 온전하게 사는 방법 _ 021 왜 여행이 가장 하고 싶은 것 중 1위일까? _ 024 다섯 가지 기준을 찾아라 _ 027 세 가지 공부 _ 030 씨알의 본질을 되새기다 _ 032 전문직 자살과 우리 시대의 역설 _ 034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돈을 많이 벌고 싶다 _ 038 당신의 핵심가치는 무엇인가? _ 040 돈을 좇지 말고 욕구를 좇으라 _ 042 자기사용설명서 _ 044
제2장 | 마음 선택의 두려움 _ 048 자유로울수록 행복하다 _ 050 실천이 어려운 이유 _ 054 진정한 자신감을 얻는 비결 _ 056 즉시 결정하는 힘 _ 059 우울함과 열등감은 어디서 오는가? _ 063 간절함은 상황이 만든다 _ 065 왜 불안한 마음이 생길까? _ 067 문제를 대하는 태도 _ 069 늘 부족하다는 사람과 늘 풍족한 사람 _ 071 성공하는 사람들의 여덟 가지 두뇌습관 _ 074 슬픔, 걱정, 분노와 친해지기 _ 077 집중력은 건강한 신체로부터 _ 079
제3장 | 관계 성격을 바꾸려 노력하지 말자 _ 082 인간관계를 잘하는 세 가지 비결 _ 084 행복의 90%는 인간관계다 _ 086 생각이 너무 많은 사람 _ 088 나는 이상한 사람인가? _ 091 주변에 사람이 모이는 이유 _ 093 행동은 반복되는 패턴을 갖는다 _ 095 누구도 단점은 없다 _ 097 미움받을 용기 _ 099 대접받고 싶은 만큼 대접하라 _ 102 한 사람을 만난다는 것 _ 104 어떤 행동이든 모두 옳다 _ 106 인맥 만들기, 이제 그만하자 _ 108
제4장 | 연애 연애를 할까 말까, 고민하는 그대에게 _ 112 카리스마 넘치는 남자와 다정다감한 남자 _ 114 성격에 따라 달라지는 사랑의 방식 _ 116 아내와 나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다 _ 118 성숙한 사랑이란 _ 120 외로움에 남자를 만난다면 _ 122 사랑의 여섯 가지 유형 _ 124 이별하기 전 반드시 해야 할 일 _ 127 사랑은 소통이다 _ 129 결혼 적령기는 언제인가? _ 131 이상적인 부부 스타일 _ 133 성적매력이 있다는 의미 _ 135
제5장 | 글쓰기 나에게 글쓰기란 _ 138 글쓰기는 요령보다 내용이 먼저다 _ 141 우뇌로 시작해서 좌뇌로 마무리하기 _ 144 모든 문서의 초안은 끔찍하다 _ 146 자신의 생각을 글로 옮기지 못하는 세 가지 이유 _ 151 처음부터 글쓰기가 즐거울 수는 없다 _ 154 세 가지 습관 _ 156 표현력을 높이기 위한 세 가지 방법 _ 158 버려야 더 나은 글이 나온다 _ 162 글쓰기를 통해 나만의 의식적인 시간을 갖자 _ 164 글의 주제를 찾는 다섯 가지 방법 _ 166 생각은 지식으로부터 나온다 _ 168 말하듯이 쓰는 글이 좋다 _ 170 쉽게 글을 쓰는 4단계 방법 _ 172 글쓰기는 가장 훌륭한 자기계발 방법이다 _ 174
제6장 | 창업 제2의 인생은 반드시 온다 _ 178 가장 작은 이야기로 시작하다 _ 181 나에게 맞는 아이템 _ 185 무조건 갑이 되는 비결 _ 187 올바른 사고방식의 중요성 _ 189 고객을 버려야 내가 산다 _ 192 창업성공, 마인드의 중요성 _ 195 어느 95세 어른의 수기 _ 198
에필로그 _ 200
이용현황보기
나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 지치지 않는 마인드 up 전략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14883
650.1 -17-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14884
650.1 -17-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한번뿐인 인생, 나답게 사는 것이 진정한 행복이다! 재능코치연구소장 안상현이 알려주는 6가지 행복의 법칙
행복해지기 위해 돈이 필요한 것일까, 아니면 돈을 쓰면서 행복해지는 것일까? 각박한 현실에 매몰된 대한민국 소시민들에게는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냐에 버금가는 난제다. 행복은 돈에 좌우되지 않는다는데 막상 눈앞의 현실은 그렇지 않으니 답답할 따름이다. 그렇다면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하버드대 출신 268명의 삶과 인생을 70년간 추적 조사한 ‘행복의 조건’에서는 사람의 행복을 좌우하는 조건이 돈과 권력이 아닌 인간관계라고 말한다. 그 오랜 세월 동안 연구해서 내린 결론이 인간관계라니 다소 허무하기까지 하다. 가족, 친구, 직장 동료 등 모든 인간관계는 서로에 대한 신뢰, 믿음, 사랑이 전제되어 있고 이러한 바탕이 약하면 쉽게 무너지고 만다. 그렇다면 인간관계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400여 명의 고객과 만나며 상담 및 코칭을 진행했다. 그러던 중 ‘나만의 개성’이 바로 재능이고 이를 바탕으로 나답게 사는 것이 진정한 행복임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나다움을 알고 이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사람을 모으고 탄탄한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성숙한 사회 구성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알게 되었다. 남들 눈치를 보고 비교하며 우울해지거나 열등감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나는 그저 나일 뿐’이라는 마인드로 스스로를 격려하며 오늘을 열심히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바뀌지 않는 외부에서 문제를 찾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문제를 찾고, 그렇다고 이것을 채찍질하거나 비난하지 않으며, 내일의 더 나은 나를 위해 오늘 하루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 이것이 저자가 말하는 행복의 조건이자 요즘 말하는 진정한 ‘욜로’가 아닐까?
책속에서
[P.20] 하늘은 모든 사람에게 재능을 주었다. 하지만 그 재능을 믿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으로 나뉜다. 누구나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할 만한 재능은 타고난다. 나다움을 찾는 것이 재능이고, 나답게 사는 것이 진정한 행복이다. 용기 내서 함께 해보겠는가? (20쪽)
[P. 66] 간절한 상황은 본인이 만든다. 인생 목표도 스스로 정한다. 꿈과 비전도 내가 정한다. 보여주기식의 비전보드는 더 이상 필요 없다. 꿈이 커야 간절한 것이 아니다. 꿈을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가 중요할 뿐이다 (66쪽)
[P. 142] 글을 잘 쓰고 싶다면 어떤 삶을 살 것인지 먼저 선택해야 한다. 나의 생각이 나의 삶이 되고, 그런 나의 삶이 글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말하듯 글을 쓰면 된다. 좋은 글을 쓰고자 한다면 좋은 삶을 살아야만 가능하다. (14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