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발간사 3
Ⅰ. 머리말 11
1. 실험 개요 13
1) 연구 목적 13
2) 연구 개요 14
2. 국내 제철기술 복원실험 검토 16
1) 한국과학기술원의 실험 16
2) 국립청주박물관의 실험 17
3) 세연 철박물관의 실험 17
4)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실험 18
5) 중원문화재연구원의 실험 19
6) 전통제철기술연구단의 실험(1차)과 울산 쇠부리 고대 원형로 복원실험(1차) 20
7)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의 실험 22
Ⅱ. 제련실험 25
1. 실험 준비 27
1) 원료 및 연료의 선정 27
2) 철광석 배소 27
(1) 철광석 배소실험 27
(2) 철광석 배소 31
3) 송풍관의 제작과 설치 31
2. 3차 실험 33
1) 3차 예비실험 33
(1) 실험 준비 33
(2) 3-1차 예비실험 과정 및 결과 38
(3) 3-2차 예비실험 과정 및 결과 41
(4) 3-3차 예비실험 과정 및 결과 43
(5) 자연과학적 분석 49
2) 3차 본 실험 69
(1) 실험 준비 69
(2) 실험 과정 및 결과 71
(3) 자연과학적 분석 78
3. 4차 실험 89
1) 4차 예비실험 89
(1) 실험 준비 89
(2) 4-1차 예비실험 92
(3) 4-2차 예비실험 94
(4) 4-3차 예비실험 96
(5) 4차 예비실험 결과 98
(6) 자연과학적 분석 101
2) 4차 본 실험 123
(1) 실험 준비 123
(2) 실험 과정 및 결과 127
(3) 자연과학적 분석 131
Ⅲ. 정련ㆍ단련 단야 140
1. 예비 실험 142
2. 1차 실험 144
1) 실험 개요 144
2) 실험 준비 144
(1) 실험 시료 144
(2) 노의 설계 및 축조 145
(3) 송풍관 제작 및 설치 146
(4) 조업준비물 146
3) 실험 결과 149
(1) 1-1차 실험 149
(2) 1-2차 실험 153
(3) 1-3차 실험 157
3. 자연과학적 분석 160
1) 시료 수습 160
2) 분석시료 및 채취 160
3) 미세조직 및 SEM-EDS 분석결과 161
(1) 예비실험 철괴① 161
(2) 예비실험 철괴② 161
(3) 1-1차 실험 철정 162
(4) 1-2차 실험 정련과정 철괴① 162
(5) 1-2차 실험 정련과정 철괴② 163
(6) 1-2차 실험 철정① 163
(7) 1-2차 실험 철정② 164
(8) 1-3차 실험 정련과정 철괴 164
(9) 1-3차 실험 철정 165
4) 고찰 165
Ⅳ. 고찰 166
1. 조업 168
1) 제련 조업의 공정 168
(1) 3차 실험 168
(2) 4차 실험 170
2) 향후 제련 조업에 있어서 검토사항 171
(1) 철광석의 준비(배소) 171
(2) 노의 축조와 송풍관의 제작 172
(3) 첨가제 문제 174
(4) 조업메뉴얼의 선정 175
(5) 송풍관의 장착과 철광석 대비 목탄의 사용량 문제 175
(6) 슬래그의 유출과 조업의 끝 176
(7) 제련생산물의 생성 177
3) 정련 및 단련단야 177
2. 자연과학적 분석 178
1) 3, 4차 제련실험 178
(1) 제련실험 슬래그의 주성분 분석결과 178
(2) 제련실험 슬래그의 화합물 분석결과 180
(3) 유출 슬래그 181
(4) 제련실험 철괴의 미세조직 관찰 182
(5) 송풍관 분석결과 182
2) 정련ㆍ단련단야 실험 183
Ⅴ. 맺음말 184
참고문헌 187
국문초록 188
Abstract 188
摘要 190
抄録 190
[부록] 191
용어 해설 191
3차 예비실험 조업기록지 202
3차 본 실험 조업기록지 220
4차 예비실험 조업기록지 225
4차 본 실험 조업기록지 233
정련ㆍ단야 실험 조업기록지 237
판권기 254
도면 1. 최주 박사팀(1991) 1차 실험로 16
도면 2. 최주 박사팀(1993) 2차 실험로 16
도면 3. 한국과학기술원(1994) 쇠부리 가마 조업 1차 실험로 17
도면 4. 한국과학기술원(1994) 쇠부리 가마 조업 2ㆍ3차 실험로 17
도면 5. 국립청주박물관 실험(1997) 원형로 17
도면 6. 세연 철박물관 실험로(2002) 18
도면 7.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복원실험 상형로 18
도면 8.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복원실험 원형로 18
도면 9. 중원문화재연구원 2차 실험 제련로 19
도면 10. 울산 쇠부리 고대 원형로 1차 실험 제련로 20
도면 11.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1차(2014) 실험 제련로 21
도면 1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차(2015) 실험 제련로 21
도면 13. 중국의 제동ㆍ제철기술 복원실험 노 21
도면 14.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1차(2014) 실험 송풍관(진천 석장리 출토 송풍관 참고) 32
도면 15. 차수별 예비실험로의 설계 33
도면 16. 진천 석장리 B-23호로 평단면도(左) 및 3차 본 실험 제철로 도면(右) 70
도면 17. 4차 예비실험 제련로 89
도면 18. 4차 본 실험 제련로 124
도면 19. 단야 예비실험 노(한정욱 장인) 143
도면 20. 정련ㆍ단련 단야로 모델 및 설계도 145
도면 21. 밀양 사촌유적 제련로 벽체의 지지대흔 173
도면 22. 소탄ㆍ중탄ㆍ대탄의 크기 176
사진 1. 자문회의 모습('15. 3. 13.) 15
사진 2. 자문회의 모습('15. 3. 13.) 15
사진 3. 국립청주박물관 실험(1997) 전경 17
사진 4. 세연 철박물관 실험(2002) 전경 18
사진 5. 노 내부 절개면 전경 19
사진 6. 철광석 코어 시료 준비 및 실험과정 28
사진 8. 철광석 배소 과정 30
사진 9. 본 실험 철광석 배소 과정 31
사진 10. 송풍관 제작순서 32
사진 11. 3-1차 예비실험 노 축조 과정 34
사진 12. 3-2차 예비실험 노 축조 과정 35
사진 13. 3-3차 예비실험 노 축조 과정 37
사진 14. 3-1차 예비실험 40
사진 15. 3-2차 예비실험 43
사진 16. 3-3차 예비실험 44
사진 17. 3-3차 예비실험 후 노 절개양상 45
사진 18. 내부생성물 분석 시료 위치 46
사진 19. 3차 예비실험 노 내부와 생성물 수습 후 모습 50
사진 20. 3차 예비실험 분석시료 52
사진 21. 3차 예비실험 분석시료 단면 52
사진 22. 3-1차 예비실험 슬래그 및 송풍관 화합물 분석결과 66
사진 23. 3-2차 예비실험 슬래그 및 송풍관 화합물 분석결과 67
사진 24. 3-3차 예비실험 슬래그 및 송풍관 화합물 분석결과 67
사진 25. 3차 본 실험 조업과정 72
사진 26. 3차 본 실험 조업과정 73
사진 27. 3차 본 실험로 노 절개 76
사진 28. 3차 본 실험 노 절개 과정 및 생성물 77
사진 29. 3차 본 실험 노 절개와 노 내 생성물 78
사진 30. 3차 본 실험 분석시료 79
사진 31. 3차 본 실험 분석시료 단면 79
사진 32. 3차 본 실험 슬래그 및 송풍관 화합물 분석결과 86
사진 33. 4차 예비실험 노 제작 90
사진 34. 4-1차 예비실험 93
사진 35. 4-2차 예비실험 95
사진 36. 4-3차 예비실험 97
사진 37. 송풍관의 상태비교 100
사진 38. 4차 예비실험 노 내 생성물과 슬래그 유출 101
사진 39. 4차 예비실험 분석시료 104
사진 40. 4차 예비실험 분석시료 단면 104
사진 41. 4-1차 예비실험 슬래그 및 송풍관 화합물 분석결과 120
사진 42. 4-2차 예비실험 슬래그 및 송풍관 화합물 분석결과 121
사진 43. 4-3차 예비실험 슬래그 및 송풍관 화합물 분석결과 121
사진 44. 4차 본 실험 노 제작 126
사진 45. 4차 본 실험 조업과정 128
사진 46. 4차 본 실험 시료 수습과 생성물 131
사진 47. 4차 본 실험 분석시료 132
사진 48. 4차 본 실험 분석시료 단면 132
사진 49. 4차 본 실험 슬래그 및 송풍관 화합물 분석결과 138
사진 50. 예비실험 과정 143
사진 51. 2호 정련 단야로 축조 모습 146
사진 52. 정련ㆍ단련 단야 조업준비물 147
사진 53. 조선후기 회화에서 나타난 대장간의 모루 148
사진 54. 제작한 모루와 모루통 148
사진 55. 1-1차 실험 조업상황(1일차) 150
사진 56. 1-1차 실험 조업상황(2일차) 151
사진 57. 1-2차 실험 조업준비 153
사진 58. 1-2차 실험 조업상황(1일차) 154
사진 59. 1-2차 실험 조업상황(2일차) 155
사진 60. 1-3차 실험 송풍방식의 변경 157
사진 61. 1-3차 실험 조업상황 158
사진 62. 정련ㆍ단련 단야실험 분석시료 160
사진 63. 철광석의 배소 전후 양상 비교 172
사진 64. 울산 쇠부리 축제 고대 원형로 1차 실험 철광석 배소 전경 172
사진 65. 충주 칠금동 392-5번지 유적 출토 골조흔 173
사진 66. 전통제철기술연구단(1차) 노 축조 전경 174
사진 67.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3차) 노 축조 전경 174
사진 68. 울산 쇠부리 고대 원형로 실험(1차) 패각의 준비와 장입 174
사진 69. 완성된 실험용 송풍관 17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374460 | 951.3309 -18-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374461 | 951.3309 -18-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