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제1장 연구의 개요 3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1
1.1. 연구배경 31
1.2. 연구목적 및 체계 35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6
2.1. 연구기간 및 조사범위 36
2.2. 주요 연구내용 38
제2장 한강의 여건변화 41
1. 여건변화 및 언론보도 43
1.1. 기후변화 43
1.2. 토지이용 45
1.3. 언론보도 동향 47
2. 한강이용 및 관리 48
2.1. 한강이용 48
2.2. 한강관리현황 및 관련 계획 50
3. 한강모니터링 현황 59
3.1. 수환경 모니터링 59
3.2. 생태 모니터링 68
3.3. 시민단체 모니터링 및 관리 80
제3장 한강의 생태환경 83
1. 유역환경 및 특성 85
1.1. 유역환경 85
1.2. 기상 및 수문환경 91
1.3. 토양 및 지질 98
1.4. 토지이용 현황 102
1.5. 유역 특성 104
2. 수리 수문 110
2.1. 유출 및 유황 110
2.2. 한강 수자원 이용실태 113
2.3. 수방시설물 현황 120
2.4. 한강 하상변동 121
2.5. 한강 수위 124
3. 수질 및 환경오염 131
3.1. 본류 및 지천 수질 131
3.2. 수질오염 147
3.3. 오염원별 부하량 분석 154
3.4. 기타 생활환경오염 160
4. 수변환경 및 변화 171
4.1. 연구의 개요 171
4.2. 연구의 방법 171
4.3. 연구결과 181
4.4. 결과분석 및 관리방향 215
제4장 한강의 생물상 223
1. 일차생산 및 동식물플랑크톤 225
1.1. 일차생산 및 유기물분해 225
1.2. 동·식물플랑크톤 241
2. 세균 270
2.1. 연구개요 270
2.2. 연구방법 271
2.3. 연구결과 272
2.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분석 277
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80
3.1. 연구개요 280
3.2. 연구방법 280
3.3. 연구결과 284
3.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분석 313
4. 어류 및 어도개선 모니터링 334
4.1. 어류 334
4.2. 어도개선 모니터링 355
5. 수생 및 육상식물 377
5.1. 연구개요 377
5.2. 조사방법 377
5.3. 연구결과 380
5.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분석 428
6. 육상곤충 442
6.1. 연구개요 442
6.2. 연구방법 442
6.3. 연구결과 445
6.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분석 452
7. 양서파충류 458
7.1. 연구개요 458
7.2. 연구방법 458
7.3. 연구결과 461
7.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분석 464
8. 조류 및 포유류 468
8.1. 연구개요 468
8.2. 조사방법 468
8.3. 연구결과 470
8.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 분석 487
8.5. 종합고찰 501
제5장 한강생태계의 상호영향 분석 및 변화예측 509
1. 생태환경 변화분석 및 평가 511
1.1. 수질변화분석 및 예측 511
1.2. 팔당방류량에 따른 영향 및 자정효과 532
1.3. 생태환경 분석 및 평가 534
2. 생물상 변화분석 및 평가 536
2.1. 생물상 DB구축 및 평가 536
2.2. 생물상 변화분석 및 예측 542
3. 생태환경과 생물상간의 상호관계 분석 546
3.1. 부영양화 현황 및 대책 546
3.2. 한강수질 환경요인과 생물상과의 관계 549
3.3. 서식환경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상호영향 552
3.4. 먹이연쇄에 의한 물질농축 조사 및 분석 555
제6장 생태환경 및 생물상 평가 575
1. 하천생태평가 사례 분석 577
1.1. 해외사례 577
1.2. 국내사례 605
1.3. 사례조사의 시사점 611
2. 한강생태평가 612
2.1. 한강생태평가 개요 612
2.2. 한강생태평가 결과 614
제7장 GIS-DB 구축 및 생태지도 제작 619
1. 국내외 생태환경정보 서비스 현황 및 추세 621
1.1. 생태환경정보 서비스 현황 621
1.2. 네트워크와 집중화 622
1.3. 생태계서비스와 생태계자산의 지도화 625
1.4. 다양한 시민 참여 생태정보 서비스 부상 627
2. 한강 생태환경 GIS-DB 구축 및 지도 제작 633
2.1. Data 수집 및 조사기본도 제작 634
2.2. 한강 생태환경 GIS-DB 구축 638
3. 생태지도 및 모바일웹 제작 649
3.1. 생태지도 제작 649
3.2. 모바일웹 제작 651
제8장 한강생태계의 보전 및 향상방안 653
1. 국내외 생태적인 하천관리 사례 분석 655
1.1. 해외사례 655
1.2. 국내사례 665
2. 생물다양성 증진 및 하천생태 서식처 보전 방안 684
2.1. 생물다양성 증진 및 관리 684
2.2. 하천생태 서식처 보전 및 개선 712
3. 연구결과 활용 및 시민참여관리 활성화 786
3.1. 생태조사 결과 활용 786
3.2. 시민참여관리 활성화 791
3.3. 향후 연구방향 794
참고문헌 795
판권기 812
(그림 1-1) 한강 관련 주요 계획(1968~2016) 32
(그림 1-2) 제8차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33
(그림 1-3) 제8차 한강생태계 조사 연구 체계 35
(그림 1-4) 조사범위 및 구역 36
(그림 1-5) 주요 연구내용 39
(그림 1-6) 주요 연구방법 및 결과 40
(그림 2-1) 여름철 기온변화(1960~2015) 43
(그림 2-2) 겨울철 기온변화(1960~2015) 43
(그림 2-3) 서울시 연강수량(1970~2015) 44
(그림 2-4) 서울시 여름철(6~8월) 강수량 44
(그림 2-5) 조류경보가 발령된 성산대교 인근(2015) 44
(그림 2-6) 주요 비오톱 변화구역(2010~2015) 46
(그림 2-7) 조사구간 내 하천 및 습지비오톱, 조경녹지비오톱 분포(2015) 46
(그림 2-8) 보도자료 건 수 분석결과(2012~2016) 47
(그림 2-9) 보도유형별 분석 결과(2012~2016) 47
(그림 2-10) 한강공원 이용객 수(2010~2016) 48
(그림 2-11) 한강공원별 이용객 수(2016) 49
(그림 2-12) 한강유람선 이용객 수... 49
(그림 2-13) 여의도 요트나루 이용객 수... 49
(그림 2-14) 서울시 보호지역 현황(2016) 50
(그림 2-15) 7대 권역 구상도 52
(그림 2-16) 한강사업본부 수행 사업(2012~2016) 53
(그림 2-17) 한강사업본부 주요 사업 수행 지역(2016) 54
(그림 2-18)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계획 전략 및 정책과제 54
(그림 2-19)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계획 목표지수 55
(그림 2-20)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의 4대 부문, 12개 관리원칙 56
(그림 2-21) 토지이용 부문 7대 수변활동권역 57
(그림 2-22)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 가이드라인 예시 58
(그림 2-23) 환경부 및 국토교통부의 수환경모니터링 지점 60
(그림 2-24) 서울시 조류측정지점 67
(그림 2-25) 한강수계 생태모니터링(국가) 조사지점 69
(그림 2-26) 한강 밤섬의 연도별 관찰 종 및 개체 수 변화 추이 74
(그림 2-27) 장항습지 장기모니터링 지점 현황 75
(그림 2-28) 장항습지 75
(그림 2-29) 한강수계 생태모니터링(서울시) 조사지점 및 구간 77
(그림 2-30) 한강 겨울철 조류 종수와 개체수 변동(2001~2013) 78
(그림 3-31) 행주 일대 흰꼬리수리 78
(그림 2-32) 밤섬 일대 흰죽지 78
(그림 2-33) 암사동 개개비 79
(그림 2-34) 한강밤섬 버드나무... 79
(그림 2-35) 탄천 자라 79
(그림 2-36) 시민단체의 모니터링 및 관리 활동 81
(그림 3-1-1) 한강유역도 86
(그림 3-1-2) 한강하류부 하천수계 모식도 86
(그림 3-1-3) 서울시 관내 하천현황도 87
(그림 3-1-4) 서울시 월별 평균 기온변화(1983~2014 자료 평균) 92
(그림 3-1-5) 서울시 월별 평균 증발량(1983~2014 자료 평균) 93
(그림 3-1-6) 서울시 월별 평균 및 최대 풍속(1983~2014 자료 평균) 93
(그림 3-1-7) 서울관측소 연평균 월강우량(1983~2014) 95
(그림 3-1-8) 연도별 집중호우 발생횟수(1981~2014) 95
(그림 3-1-9) 서울시 수문학적 토양도 99
(그림 3-1-10) 서울시 지질도 100
(그림 3-1-11) 서울시 도시화율 변화 103
(그림 3-2-1) 한강 인도교 지점 유황분석 112
(그림 3-2-2) 서울시 관내 주요하천 유황분석 결과 113
(그림 3-2-3) 한강 시민공원 현황 114
(그림 3-2-4) 연도별 서울시 용수 이용 현황 118
(그림 3-2-5) 연도별 서울시 생활용수 이용 현황 119
(그림 3-2-6) 연도별 서울시 공업용수 이용 현황 119
(그림 3-2-7) 연도별 서울시 농업용수 이용 현황 120
(그림 3-2-8) 연도별 준설실적 추이 121
(그림 3-2-9) 1987년 대비 연도별 세굴 및 퇴적량 변동 123
(그림 3-2-10) 개수로 단면형 설명도 124
(그림 3-2-11) 한강 지점별 빈도별 홍수위 127
(그림 3-2-12) 월별 팔당댐 방류량 및 강수량 비교 128
(그림 3-2-13) 시기별 현재-철거 대비 수위변화 129
(그림 3-2-14) 하상변동에 따른 수위영향 검토 130
(그림 3-3-1) 한강본류 및 지천의 수질조사지점 132
(그림 3-3-2) 한강본류 수질 현황 136
(그림 3-3-3) 한강본류 T-P와 PO₄-P의 농도 137
(그림 3-3-4) 한강본류 T-N와 NH3-N의 농도 137
(그림 3-3-5) 주요 지천 측정지점별 수질 현황 139
(그림 3-3-6) 한강 및 지천의 수질 분석 결과 139
(그림 3-3-7) 최근 20년간 한강본류의 수질(BOD) 변화 141
(그림 3-3-8) 최근 20년간 한강본류의 수질(DO)변화 143
(그림 3-3-9) 최근 20년간 주요 지천의 수질(BOD) 변화 145
(그림 3-3-10) 최근 20년간 주요 지천의 수질(DO) 변화 146
(그림 3-3-11) 2014년 한강하류수계 가정 인구수 149
(그림 3-3-12) 2014년 한강하류수계 폐수 배출량 150
(그림 3-3-13) 2014년 한강하류수계 축산계... 152
(그림 3-3-14) 2014년 한강하류수계 축산계... 152
(그림 3-3-15) 2014년 한강하류수계 토지계(대지) 분포 154
(그림 3-3-16)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발생오염부하량(BOD) 156
(그림 3-3-17)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발생오염부하량(T-N) 156
(그림 3-3-18)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발생오염부하량(T-P) 156
(그림 3-3-19)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배출부하량(BOD) 159
(그림 3-3-20)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배출부하량(T-N) 159
(그림 3-3-21)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배출부하랑(T-P) 159
(그림 3-3-22) 한강하류수계 유역별 배출부하량 160
(그림 3-3-23) 소음 측정 결과 비교 167
(그림 3-4-1) 수변환경 현황분석 과정도 172
(그림 3-4-2) 조사구간 173
(그림 3-4-3) 하천 단면도 176
(그림 3-4-4) 수변환경조사 표기항목 178
(그림 3-4-5) 한강(강동대교 하류~천호대교 하류) 현황 181
(그림 3-4-6) 한강(올림픽대교 하류 ~ 잠실대교 상류) 현황 182
(그림 3-4-7) 한강(잠실대교 하류 ~ 영동대교 상류) 현황 183
(그림 3-4-8) 한강(동호대교 하류 ~ 반포대교 상류) 현황 184
(그림 3-4-9) 한강(반포대교 하류 ~ 동작대교 상류) 현황 185
(그림 3-4-10) 한강(동작대교 ~ 반포대교 좌안) 수변환경 조사분석도 186
(그림 3-4-11) 한강(동작대교 ~ 반포대교 우안) 수변환경 조사분석도 187
(그림 3-4-12) 한강(한강대교 하류 ~ 마포대교 상류) 현황 188
(그림 3-4-13) 한강(양화대교 하류 ~ 방화대교 상류) 현황 190
(그림 3-4-14) 탄천(한강합류부 ~ 탄천1교) 현황 191
(그림 3-4-15) 탄천(삼성교 ~ 탄천2교) 수변환경 조사분석도 192
(그림 3-4-16) 탄천(탄천1교 ~ 광평교) 현황 193
(그림 3-4-17) 탄천(광평교 ~ 대곡교) 현황 194
(그림 3-4-18) 양재천(탄천 합류부 ~ 영동6교) 현황 195
(그림 3-4-19) 중랑천(한강합류부 ~ 중랑교) 현황 197
(그림 3-4-20) 중강천(중랑교 ~ 녹천교) 현황 199
(그림 3-4-21) 중강천(녹천교 ~ 노원교) 현황 200
(그림 3-4-22) 우이천, 당현천 현황 201
(그림 3-4-23) 청계천(1공구 : 청계광장 ~ 새벽다리) 현황 202
(그림 3-4-24) 청계천(2공구 : 새벽다리 ~ 황학교) 현황 203
(그림 3-4-25) 청계천(3공구 : 황학교 ~ 신답철교) 현황 204
(그림 3-4-26) 청계천(4공구 : 신답철교 ~ 중랑천 합류부) 현황 205
(그림 3-4-27) 안양천(한강합류부 ~ 오목교) 현황 207
(그림 3-4-28) 안양천(오목교 ~ 동양자동차운전학원) 현황 208
(그림 3-4-29) 도림천(도림교 하류), 목감천(목감교 하류) 현황 209
(그림 3-4-30) 홍제천(한강합류부 상류 ~ 홍남교 하류) 현황 210
(그림 3-4-31) 홍제천(홍남교 상류 ~ 진형교 하류) 현황 211
(그림 3-4-32) 불광천 (홍제천 합류부 ~ 중동교) 현황 212
(그림 3-4-33) 여의샛강(여의상류 IC ~ 여의하류 IC) 현황 213
(그림 3-4-34) 여의샛강(여의상류 IC ~ 여의하류 IC) 수변환경 조사분석도 214
(그림 3-4-35) 한강 제내지 변화 215
(그림 3-4-36) 한강 제방유형 변화 216
(그림 3-4-37) 한강 둔치 변화 216
(그림 3-4-38) 한강 저수호안 변화 216
(그림 3-4-39) 한강 종합분석도 217
(그림 3-4-40) 지천 제내지 변화 218
(그림 3-4-41) 지천 제방유형 변화 218
(그림 3-4-42) 지천 둔치 변화 218
(그림 3-4-43) 지천 저수호안 변화 219
(그림 3-4-44) 한강지천 종합분석도 219
(그림 4-1-1) 조사시기에 따른 엽록소-a 농도 229
(그림 4-1-2) 지점별 면적당 일차생산량 231
(그림 4-1-3) 조사시기별 일차생산량 231
(그림 4-1-4) 조사시기별 동화계수 231
(그림 4-1-5) 지점별 BOD 분포 234
(그림 4-1-6) 지점별 탈산소계수 235
(그림 4-1-7) 과거 계절별 일차생산력 조사결과 비교 239
(그림 4-1-8)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247
(그림 4-1-9) 한강본류 식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249
(그림 4-1-10)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250
(그림 4-1-11)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유해성 남조류 현존량 251
(그림 4-1-12) 한강본류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점유율 251
(그림 4-1-13)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252
(그림 4-1-14) 식물플랑크톤 집괴분석에 의한 지역간 유사성 254
(그림 4-1-15) 추가지역 지점 및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256
(그림 4-1-16) 추가지역 지점 및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257
(그림 4-1-17) 추가지역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분류군별 점유율 258
(그림 4-1-18) 청계천 부착조류 출현종수 259
(그림 4-1-19) 청계천 부착조류 현존량 260
(그림 4-1-20)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 262
(그림 4-1-21)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263
(그림 4-1-22)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264
(그림 4-1-23) 시기별 한강본류 동물플랑크톤 생물량(ind./L) 비교 265
(그림 4-1-24)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동물플랑크톤 개체 점유율 267
(그림 4-2-1) 한강본류 지점별 총 대장균군 273
(그림 4-2-2) 한강본류 지점별 분원선대장균군 273
(그림 4-2-3) 주요 지천 지점별 총 대장균군 275
(그림 4-2-4) 주요 지천 지점별 분원선대장균군 275
(그림 4-2-5) 한강본류 지점별 총 세균수 276
(그림 4-2-6) 주요 지천 지점별 총 세균수 277
(그림 4-2-7) 한강에서 발견되는 전형적인 세균의 모습 278
(그림 4-3-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구간 280
(그림 4-3-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채집방법 283
(그림 4-3-3) 한강본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조성비 287
(그림 4-3-4) 한강본류 지점별 종수 변동(계절별) 288
(그림 4-3-5) 한강본류 지점별 종수 변동(평균값) 289
(그림 4-3-6) 한강본류 구간별 출현종수 비교 290
(그림 4-3-7) 한강본류 구간별 출현종수의 계절 비교 291
(그림 4-3-8) 한강본류 지점별 개체수 변동(계절별) 292
(그림 4-3-9) 한강본류 지점별 개체수 변동(평균값) 292
(그림 4-3-10)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분류군별 조성비 293
(그림 4-3-11)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분류군별 출현종수 계절 분포 비교 294
(그림 4-3-12)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출현종수 비교 295
(그림 4-3-13)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분류군별 출현종수 비교 296
(그림 4-3-14) 주요 지천 지점별 출현종수(계절별) 297
(그림 4-3-15) 주요 지천 지점별 출현종 및 개체수(평균값) 298
(그림 4-3-16) 탄천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299
(그림 4-3-17) 중량천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0
(그림 4-3-18) 안양천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1
(그림 4-3-19) 불광천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2
(그림 4-3-20) 청계천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3
(그림 4-3-21) 서울숲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4
(그림 4-3-22) 여의샛강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4
(그림 4-3-23) 한강본류 지점별 우점도지수 변동(계절별) 306
(그림 4-3-24) 주요 지천 지점별 우점도지수 변동(계절별) 306
(그림 4-3-25) 한강본류 지점별 다양도지수 변동(계절별) 310
(그림 4-3-26) 한강본류 지점별 우점도 및 다양도 변동 311
(그림 4-3-27) 주요 지천 지점별 다양도지수 변동(계절별) 312
(그림 4-3-28) 주요 지천 지점별 우점도 및 다양도 변동 312
(그림 4-3-29) 팔당댐 하방(E) 전경(좌 : 가을, 우 : 봄) 315
(그림 4-3-30) 팔당대교 하방(F) 전경 (좌 : 여름, 우 : 봄) 315
(그림 4-3-31) 강동대교 하방(K)과 광나루유원지 (L) 전경 (봄) 316
(그림 4-3-32) 성수대교 상방(N)과 서강대교 하방(Q) 전경 (가을) 317
(그림 4-3-33) 성산대교 하방(R)과 행주대교 상방(U) 전경 (가을) 317
(그림 4-3-34) 한강본류의 주요 우점종 (좌 : 깔따구류, 우 : 실지렁이류) 318
(그림 4-3-35) 서울숲 PARK1 인공습지(X1)와 여의샛강 생태공원(Y1) 전경 (가을) 319
(그림 4-3-36) 양재시민의 숲(V6-3)과 노원교 하방(V7-4) 전경 (가을) 320
(그림 4-3-37) 수표교 하방(W1)과 오간수교 하방(W2) 전경 (가을) 320
(그림 4-3-38) 서울숲 PARK1 인공습지(X1)와 노란허리잠자리 325
(그림 4-3-39) 강동대교 하방(K) 미소서식처와 동양하루살이 326
(그림 4-3-40) 한강본류에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종수(차수별) 328
(그림 4-3-41) 한강본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5차~8차) 329
(그림 4-3-42) 한강본류 상류구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5차~8차) 329
(그림 4-3-43) 한강본류 하류구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5차~8차) 330
(그림 4-4-1) 한강본류 및 주요 지천 출현종수 및 개체수 342
(그림 4-4-2) 한강본류 및 주요 지천 출현어종 변화(1985~2017) 353
(그림 4-4-3) 주요 모니터링지점 현황 356
(그림 4-4-4) 어도 조사방법 357
(그림 4-4-5) 잠실수중보에 서식하는 어류의 과(family)별 상대풍부도 358
(그림 4-4-6) 잠실수중보에 서식하는 어류의 생활형구분 개체수 359
(그림 4-4-7) 잠실수중보에 서식하는 어류의 상대풍부도 359
(그림 4-4-8) 청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과(Family)별 상대풍부도 360
(그림 4-4-9) 청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생활형구분 개체수 360
(그림 4-4-10) 청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상대풍부도 360
(그림 4-4-11) 중랑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과(family)별 상대풍부도 361
(그림 4-4-12) 중랑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생활형구분 개체수 361
(그림 4-4-13) 중랑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상대풍부도 362
(그림 4-4-14) 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과(Family)별 상대풍부도 362
(그림 4-4-15) 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생활형구분 개체수 363
(그림 4-4-16) 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상대풍부도 363
(그림 4-4-17) 전체 지점 출현 어류의 과별 종수 비율과 상대풍부도 363
(그림 4-4-18) 한강본류 출현 어류의 과별 종수 비율과 상대풍부도 364
(그림 4-4-19) 잠실수중보 어도이용 어류의 전장 365
(그림 4-4-20) 청계천 출현 어류의 과별 종수 비율과 상대풍부도 367
(그림 4-4-21) 청계천 어도이용 어류의 전장 367
(그림 4-4-22) 중랑천 출현 어류의 과별 종수 비율과 상대풍부도 369
(그림 4-4-23) 중랑천 어도이용 어류의 전장 369
(그림 4-4-24) 탄천 출현 어류의 과별 종수 비율과 상대풍부도 370
(그림 4-4-25) 탄천 어도이용 어류의 전장 371
(그림 4-5-1) 식생단면도 426
(그림 4-5-2) 암사동생태경관보전지역의 갈대군락, 물억새군락, 갈풀군락의 밀도, 초장, 생물량의 월별 변화 428
(그림 4-5-3) 공통조사구역 식물종수 변화 429
(그림 4-5-4) 침수식물종 군락의 분포 440
(그림 4-5-5) 버드나무류 군락과 줄 군락의 분포 440
(그림 4-5-6) 단풍잎돼지풀 및 가시박 군락 분포 구역 440
(그림 4-6-1) 육상곤충 조사지점 442
(그림 4-6-2) 한강본류 및 지천의 육상곤충 종 수 변화 453
(그림 4-7-1) 표범장지뱀 정밀조사 466
(그림 4-7-2) 수변에서 발견된 쿠터류 467
(그림 4-8-1) 5월 본류에서 관찰된 흰뺨검둥오리 472
(그림 4-8-2) 5월 본류에서 관찰된 개개비 472
(그림 4-8-3) 10월 중랑천에서 관찰된 밀화부리 472
(그림 4-8-4) 10월 본류에서 관찰된 때까치 472
(그림 4-8-5) 11월 중랑천에서 관찰된 원앙 474
(그림 4-8-6) 11월 중랑천에서 관찰된 흰목물떼새 474
(그림 4-8-7) 3월 청계천에서 관찰된... 475
(그림 4-8-8) 3월 본류에서 관찰된 흰죽지... 475
(그림 4-8-9) 5월 불광천에서 관찰된 삵의 분변 484
(그림 4-8-10) 6월 본류에서 관찰된 고라니의 분변 484
(그림 4-8-11) 10월 안양천에서 관찰된 개의 발자국 485
(그림 4-8-12) 9월 본류에서 관찰된 삵의 분변 485
(그림 4-8-13) 2월 여의샛강에서 관찰된 고양이 485
(그림 4-8-14) 2월 탄천에서 관찰된 고라니의 털 485
(그림 4-8-15) 4월 본류에서 관찰된 너구리의... 486
(그림 4-8-16) 4월 본류에서 무인센서카메라로... 486
(그림 4-8-17) 계절별 조류군집 개체수 비교 489
(그림 4-8-18) 계절별 조류군집 구성비 489
(그림 4-8-19) 한강 및 주요 지천 조류 개체수 비교 493
(그림 4-8-20) 2월 본류의... 495
(그림 4-8-21) 2월 본류의... 495
(그림 4-8-22) 주요 법정보호종 출현 지역 495
(그림 4-8-23) 조사지역별 집비둘기 서식현황 496
(그림 4-8-24) 구역별 집비둘기 분포 496
(그림 4-8-25) 무인센서카메라 설치지점 498
(그림 4-8-26) 본류 L구역 무인센서카메라 498
(그림 4-8-27) 본류 L구역에서 관찰된 수달의 분변 499
(그림 4-8-28) 본류 I구역에서 촬영된 삵 499
(그림 4-8-29) 본류 L구역에서 촬영된 수달 499
(그림 4-8-30) 포유류 법정보호종 출현 위치 500
(그림 4-8-31) 수달 흔적조사 대상구간 500
(그림 4-8-32) 수달 분변 발견지점 500
(그림 4-8-33) 연도별 월동조류의 개체수 변동 503
(그림 4-8-34) 연도별 조류 총 종수 변화 503
(그림 5-1-1) QUAL2E(좌)와 QUAL-MEV(QUAL 4K)(우)의 프로그램 구조 513
(그림 5-1-2) QUAL-MEV(좌)와 QUAL2E(우) 모형의 주요 수질인자 상호간의 반응관계도 514
(그림 5-1-3) 한강본류 모식도 515
(그림 5-1-4) 한강본류의 BOD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16
(그림 5-1-5) 한강본류의 T-N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17
(그림 5-1-6) 한강본류의 T-P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17
(그림 5-1-7) 안양천의 모식도 518
(그림 5-1-8) 안양천의 BOD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19
(그림 5-1-9) 안양천의 T-N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19
(그림 5-1-10) 안양천의 T-P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0
(그림 5-1-11) 안양천4, 5지점의 BOD 변화(2012~2016) 520
(그림 5-1-12) 탄천의 모식도 521
(그림 5-1-13) 탄천의 BOD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2
(그림 5-1-14) 탄천의 T-N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2
(그림 5-1-15) 탄천의 T-P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2
(그림 5-1-16) 탄천4, 5지점의 BOD 변화(2012~2016) 523
(그림 5-1-17) 중랑천의 모식도 523
(그림 5-1-18) 중랑천의 BOD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4
(그림 5-1-19) 중랑천의 T-N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5
(그림 5-1-20) 중랑천의 T-P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5
(그림 5-1-21) 중랑천3, 4지점의 BOD 변화(2012~2016) 525
(그림 5-1-22) 한강본류 BOD 장래 수질 예측 527
(그림 5-1-23) 한강본류 T-N 장래 수질 예측 527
(그림 5-1-24) 한강본류 T-P 장래 수질 예측 527
(그림 5-1-25) 안양천 BOD 장래 수질 예측 528
(그림 5-1-26) 안양천 T-N 장래 수질 예측 528
(그림 5-1-27) 안양천 T-P 장래 수질 예측 529
(그림 5-1-28) 탄천 BOD 장래 수질 예측 529
(그림 5-1-29) 탄천 T-N 장래 수질 예측 530
(그림 5-1-30) 탄천 T-P 장래 수질 예측 530
(그림 5-1-31) 중랑천 BOD 장래 수질 예측 531
(그림 5-1-32) 중랑천 T-N 장래 수질 예측 531
(그림 5-1-33) 중랑천 T-P 장래 수질 예측 531
(그림 5-2-1) 1차~8차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총 생물종 수 및 분류군별 변화 545
(그림 5-3-1) 팔당대교 하방(F)과 반포대교 상방(O)의 하상구조 553
(그림 5-3-2) 주요 지천의 하류 554
(그림 5-3-3) 반표대교 상방(O)과 가양대교 하방(S)의 전경 554
(그림 5-3-4) 중금속의 체내 축적과정 555
(그림 5-3-5) 중금속 분석대상 어류 채집 위치 562
(그림 5-3-6) 어류 종류별 중금속 농도비교 565
(그림 5-3-7) 어류 부위별 중금속 농도 비교 566
(그림 5-3-8) 근육의 중금속 농도 비교 567
(그림 5-3-9) 간의 중금속 농도 비교 567
(그림 5-3-10) 아가미의 중금속 농도 비교 567
(그림 5-3-11) 2007년~2017년 어류 중금속 농도 변화 추이 570
(그림 6-1) EU 물관리기본지침에 의한 "양호한 생태 상태"의 하천 581
(그림 6-2) 하천 평가기준으로 삼는 참조전형과 현재 하천의 비교 평가 582
(그림 6-3) 베를린 하천 모니터링망 분포 583
(그림 6-4) 독일 하천유형 구분 사례 584
(그림 6-5) 하천유형 사례(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주) 584
(그림 6-6) 생태 현황 및 잠재성 평가 등급 및 표시범례 585
(그림 6-7) 하천 생태평가 개요도 586
(그림 6-8) 독일 바덴뷔크템베르크주의 이동요구도 지도 590
(그림 6-9) 독일 수생식물 평가를 위한 하천유형 사례 593
(그림 6-10) 참조전형지수 계산식 595
(그림 6-11) 미국 생물학적 온전성 평가 결과(2009) 603
(그림 6-12) 일본 수생생물조사 지표생물군 시민참여 홍보물 604
(그림 6-13) 한강생태평가 항목 선정방법 612
(그림 6-14) 한강생태평가 항목 최종선정 614
(그림 6-15) 어류 고유종 수, 충식성 어류 수 평가 결과 614
(그림 6-16) 수생식물 자생종 수 평가 결과 616
(그림 6-17) 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날도래목(EPT) 종 수 평가 결과 618
(그림 7-1) 일본 생물다양성센터 홈페이지(좌) 및 미국 그린맵 초기화면(우)(2017) 622
(그림 7-2) 미국 네이처 서브(Nature Serve) 자료 및 지도소개 페이지 622
(그림 7-3) 기글(GiGL)의 Greenspace Information 623
(그림 7-4) GBIF에서 제공되는 우리나라 생물정보(GBIF 웹지도) 624
(그림 7-5) 환경공간정보서비스 플랫폼 625
(그림 7-6) MEAS 디지털 아틀라스의 유럽 생태계 구분 626
(그림 7-7) 전세계 생태계 평가 합성지도 627
(그림 7-8) iNaturalist 제공자료 및 어플리케이션 628
(그림 7-9) NBN Atlas를 활용한 생물 분포 검색 629
(그림 7-10) Observation.org의 관찰정보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630
(그림 7-11) 네이처링의 관찰정보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631
(그림 7-12) 모야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632
(그림 7-13) 생태지도 제작과정 633
(그림 7-14) 분류군별 DB 구축양식 통일 634
(그림 7-15) 조사도면 작성 634
(그림 7-16) 색인지도 제작흐름도 637
(그림 7-17) 조사구간도 638
(그림 7-18) 수질 분야 DBF 파일 구축 642
(그림 7-19) 수질환경등급현황도(8차 조사) 643
(그림 7-20) 어류 DBF 파일 구축 644
(그림 7-21) 어류 우점종 분포도(8차 조사) 644
(그림 7-22) 어류 풍부도 지수(8차 조사) 645
(그림 7-23) 어류 출현종수(8차 조사) 645
(그림 7-24) 식물 DBF 파일 구축 646
(그림 7-25) 식물 조사지점별 초본 우점종 분포도(8차 조사) 647
(그림 7-2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DBF 파일 구축 647
(그림 7-27)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도 지수(8차 조사) 648
(그림 7-2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도 지수(8차 조사) 648
(그림 7-29) 타이벡 타입의 한강생태지도(2017) 649
(그림 7-30) 브로슈어 타입 생태지도 앞면 650
(그림 7-31) 브로슈어 타입 생태지도 뒷면 650
(그림 7-32) 브로슈어 타입 생태지도 앞면 구성 651
(그림 7-33) 브로슈어 타입의 생태지도 뒷면 구성 651
(그림 7-34) 브로슈어 타입 표지 651
(그림 7-35) 모바일웹 페이지 구성도 652
(그림 7-36) 한강생태계 모바일웹 652
(그림 8-1-1) 시민참여 하천모니터링 프로그램(CSMP) 활동 사진 655
(그림 8-1-2) CSMP 시민모니터링 정보시스템 화면 656
(그림 8-1-3) CSMP 자료를 기반으로 한 미네소타주... 657
(그림 8-1-4) LaRosa 파트너쉽을 통한 모니터링... 658
(그림 8-1-5) 시민참여를 통한 가스미가우라 호수 재생 활동 660
(그림 8-1-6) 일본 아사자프로젝트의 목표연도별 생물 복원 지표 662
(그림 8-1-7) 싱가포르 비산공원 재정비 전(2008년)과 재정비 이후(2011년) 663
(그림 8-1-8) 식물을 이용한 자연 정수방식(클렌징비오톱) 및 시민이용 664
(그림 8-1-9) 환경단체 수질정화사업 활동 668
(그림 8-1-10) 신천 수달 분포현황 및 주요 이동통로 674
(그림 8-1-11) 대구 신천 현장조사 구간 675
(그림 8-1-12) 신천 주요 경관 현황 675
(그림 8-1-13) 신천 보 주변 생태환경 676
(그림 8-1-14) 신천 수달 홍보판 677
(그림 8-1-15) 대구의 신천 생태환경 홍보 678
(그림 8-1-16) 무심천 주민 하천 모니터링 기록지 680
(그림 8-1-17) 무심천 주민 모니터링 결과지도(수질환경) 681
(그림 8-1-18) 전주천 생태문학지도 683
(그림 8-2-1) 분류군별 양호구간 685
(그림 8-2-2)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종수 변화(1987~2017) 696
(그림 8-2-3) 서울시 보호종 종수 변화(1987~2017) 698
(그림 8-2-4)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및 서울시 보호종 출현구간 분포 699
(그림 8-2-5) 가시박으로 덮인 한강 수변부 701
(그림 8-2-6) 주요 한강 외래종 분포 지역 702
(그림 8-2-7) 권장하는 주요 대체식재종 707
(그림 8-2-8) 한강 하류 구간의BOD증가 762
(그림 8-2-9) 지천 유입에 따른 한강본류의TN 및 TP 농도 변화 762
(그림 8-2-10) 한강본류에 유입되는 주요 지천의 BOD 농도 비교(2007~2016) 763
(그림 8-2-11) 중랑천 상·하류간 수질 비교 763
(그림 8-2-12) 중랑천 표층수 온실기체 농도의 공간적 변이... 765
(그림 8-2-13)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아나강(Santa Ana River)에서 조성된... 766
(그림 8-2-14) 이스라엘 야콘강 복원사업(Yarqon River Rehabilitation Project) 사례 767
(그림 8-2-15) 도시유출수 및 하수 처리용 소규모 산학조에 적용된 뉴질랜드 부유습지 768
(그림 8-2-16) 배수관 맞춤형 사용 부유습지(좌) 와 설치사례(우) 768
(그림 8-2-17) Advanced Ecologically Engineered System(AEES) 예시 769
(그림 8-2-18) 중국의 오염된 도심 운하에 설치된 부유습지 사례 770
(그림 8-2-19) 중랑천 물재생센터(하수처리장) 주변 현황 771
(그림 8-2-20) 중랑천 수질정화습지 조성 대상지 여건 772
(그림 8-2-21) 중랑천 방류구 수질정화습지 기본구상도 773
(그림 8-2-22) 중랑천 방류구 수질정화습지 기본구상 제안 774
(그림 8-2-23)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녹조제거선 778
(그림 8-2-24) 수달 서식흔적 현장조사 결과 780
(그림 8-2-25) 수달 서식실태 조사 결과 분변 관찰지점... 781
(그림 8-2-26) 하천변 생태징검다리 서식지 환경 조성기법 782
(그림 8-2-27) 실제 수달 생태섬 설치 및 수달 이용 사례(한국수달보호협회) 783
(그림 8-2-28) 육상곤충 서식 양호 정도와 외래해충 출현지역 783
(그림 8-2-29) 친환경 외래해충 물리적 방제 사례 784
(그림 8-2-30) 한강 하류 U구간 특성 785
(그림 8-2-31) 신곡수중보 하류 특성 785
(그림 8-3-1) 한강생태계 조사결과 홍보 786
(그림 8-3-2) 법정보호종 출현구간 및 생물상 양호구간 789
(그림 8-3-3) 우리나라 생태관광 지역 790
(그림 8-3-4) 한강생태정보 웹서비스 주요 내용 791
(그림 8-3-5) 시민참여형 모니터링 체계 및 모니터링 기록지 배포·교육 792
(그림 8-3-6) 특정분야 모니터링 및 관리 방안 793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I. 연구 개요 819
1. 연구배경 및 목적 821
2. 연구체계 822
3. 추진현황 823
4. 조사범위 824
II. 한강의 여건변화 827
1. 기후변화 829
2. 토지이용 830
3. 이용 현황 831
4. 관련 동향 832
III. 한강의 현황 및 관리 835
1. 한강 보호지역 현황 837
2. 한강수계 수환경 모니터링 838
3. 한강수계 생태 모니터링 840
4. 한강 관련 계획 및 사업 842
5. 시민참여관리 현황 848
IV. 한강의 생태환경 및 생물상 851
1. 분야별 주요 조사결과 853
유역환경 및 수리수문 855
수질 환경 조사 857
수변환경조사(River Corridor Survey) 863
일차생산 및 동식물플랑크톤 869
세균 879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882
어류 및 어도개선 모니터링 886
수생 및 육상식물 893
육상곤충 897
양서파충류 902
조류·포유류 904
2. 종합분석 및 요약 912
V. 한강생태계의 상호영향 분석 및 변화예측 919
1. 한강생태평가 921
2. 생태환경과 생물상간의 상호관계 분석 924
VI. GIS-DB 구축 및 생태지도 제작 929
1. 국내외 생태환경정보 서비스 현황 및 추세 931
2. 생태지도 및 모바일웹 제작 934
VII. 한강생태계의 보전 및 향상방안 941
1. 국내외 생태적인 하천관리 사례 분석 943
2. 생물다양성 증진 및 관리방안 949
3. 하천생태 서식처 보전 및 개선 방안 956
VIII. 구간별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969
판권기 101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394346 | 333.9162 -18-1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394347 | 333.9162 -18-1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394348 | 333.9162 -18-1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394349 | 333.9162 -18-1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