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발간사 / 이갑규
목차
I. 전기 Arc Bead(단락흔) 조직형태 분석 6
제1장 서론 15
1.1. 연구배경 및 목적 15
1.2. 연구범위 및 방법 16
제2장 전기용흔의 발생 메커니즘 및 관련이론 17
2.1. 전기화재 발생 현황 17
2.2. 전기의 기초지식 20
2.3. 구리의 성질 23
2.4. 구리금속의 결정의 특징 26
2.5. 금속조직의 상변태 28
2.6. 용흔의 식별 32
2.7. 전기화재 시 발생되는 전기 용융흔 시료 제작 33
제3장 실험 조건 및 방법 35
3.1. 1차 전기단락흔에 대한 실험조건 및 방법 35
3.2. 2차 전기단락흔에 대한 실험 조건 및 방법 37
3.3. 3차 용흔에 대한 실험조건 및 방법 42
제4장 실험 결과 및 고찰 44
4.1. 전기단락흔(Arc Bead)에 대한 실체현미경 분석 결과 44
4.2. 전기단락흔(Arc Bead)에 대한 금속현미경 분석 결과 59
제5장 실제 화재 시 전기단락흔(Arc Bead) 분석 결과 적용사례 68
제6장 결론 76
참고문헌 78
II.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화재위험성 연구 79
제1장 서론 84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84
제2절 연구내용의 범위 및 향후 활용계획 85
제2장 이론적 고찰 87
제1절 조명용 안정기 개요 및 동작원리 87
제2절 형광등 기구 화재사례 100
제3절 형광등기구 발화관련 실험 105
제4절 형광등기구 화재 감식방법 고찰 125
제3장 결론 132
III. 촛불의 발화메커니즘에 관한 연구『1.5㎝의 안전(安全)』 134
제1장 서론 139
제1절 연구개요 139
제2장 본론 140
제1절 이론적 배경 140
제2절 화재발생 통계 및 사례 144
제3절 실험 및 분석 149
제3장 재현실험 결과 191
제4장 결론 193
참고문헌 197
IV. 열풍식 식품건조기 화재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198
제1장 서론 204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204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205
제2장 이론적 고찰 206
제1절 식품건조기 일반현황 206
제2절 식품건조기 구조 및 기능 208
제3장 식품건조기 화재 사례 및 통계 분석 216
제1절 화재사례 216
제2절 화재통계 218
제4장 식품건조기 발화 위험성에 관한 재현실험 219
제1절 실험개요 219
제2절 식품건조기 발화 위험성에 관한 재현실험 222
제5장 결론 238
제1절 실험 결과 분석 238
제2절 식품건조기 화재원인 감식 기법 239
제3절 문제점 및 개선방안 243
참고문헌 245
V. 냉장고 부위별 발열특성 및 발화가능성 연구 246
제1장 서론 250
제1절 연구의 목적 250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50
제2장 본론 252
제1절 전기화재의 요인 252
제2절 냉장고의 원리와 구조 254
제3절 냉장고 화재발생 현황 및 화재사례 261
제3장 냉장고 연소 재현실험 267
제1절 실험개요 267
제2절 재현실험 268
제4장 결론 282
제1절 냉장고 발화가능성 실험 결과 282
제2절 냉장고 화재 감식요령 283
참고문헌 286
판권기 287
I. 전기 Arc Bead(단락흔) 조직형태 분석 9
Fig. 2.1. 2005 ~ 2014 전기화재 분포 추이 18
Fig. 2.2. 전기적 원인 세부요인별 화재 발생현황 (2011년 ~ 2015년) 19
Fig. 2.3. Solid wire and standard cable 22
Fig. 2.4. Insulating cable and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23
Fig. 2.5. 면심임방격자 (FCC, Face Centered Cubic) 26
Fig. 2.6. 수지상결정의 성장과정 27
Fig. 2.7. 금속의 주상 정조직으로의 성장 과정 28
Fig. 2.8. 방위에 따른 경계현상 29
Fig. 2.9. 잘못된 방위를 갖는 결정 경계 에너지의 변화 30
Fig. 2.10. 쌀정입계의 특성 31
Fig. 2.11. 시료샘플과 시면제작에 사용된 장비 34
Fig. 3.1. 1차 일험 (소방과학연구실 단락, 과부하 실험장치) 35
Fig. 3.2. 1차 단락흔 실험 (발전기 및 옥내전기 인가) 36
Fig. 3.3. 1차 단락흔 실험 (병렬아크 시험기를 사용하여 단락흔 생성) 37
Fig. 3.4. 1차 실험 소방과학언구실 2차 단락흔 생성 실험 38
Fig. 3.5. 1차 실험 소방과학연구실 2차 단락흔 생성 실험 38
Fig. 3.6. 2차 단락흔 생성(단심/연심 1.78mm) 39
Fig. 3.7. 2차 단락흔 생성 (트래킹) 40
Fig. 3.8. 2차 단락흔 생성 (춧불을 이용한 지연 방화) 40
Fig. 3.9. 2차 단락흔 생성 직후 수거한 샘플 41
Fig. 3.10. X선 탐상기로 관찰한 닫심(1.78mm) ⓐⓑⓒ(이미지참조) 41
Fig. 3.11. X선 탐상기로 관찰한 연심(1.78mm) ⓓⓔⓕ(이미지참조) 41
Fig. 3.12. 연심(1.78mm) / 지연 방화 ⓖ(이미지참조) 42
Fig. 3.13. 정상 콘덴서 42
Fig. 3.14. 트래킹 후 콘덴서 ⓗ(이미지참조) 42
Fig. 3.15. 3차 단락흔 생성(단심/연심 1.78mm) 43
Fig. 4.1. 1차 단락흔 실험 후 생성된 샘플 10개(단싱 5개, 연심 5개) 44
Fig. 4.2. 1차 단락흔 단싱(x1, x2, x4, x6배)모습 샘플 ⓐ(이미지참조) 44
Fig. 4.3. 1차 단락흔 단심(x1, x2, x4, x6배)모습 샘플 ⓑ(이미지참조) 45
Fig. 4.4. 1차 단락흔 단심(x1, x2, x4, x6배)모습 샘플 ⓒ(이미지참조) 45
Fig. 4.5. 1차 단략론 단심(x1, x2, x4, x6배)모습 샘플 ⓓ(이미지참조) 45
Fig. 4.6. 1차 단락흔 단심(x1, x2, x4, x6배)모습 샘플 ⓔ(이미지참조) 46
Fig. 4.7. 1차 단락흔 언심(x1, x2, x4, x6배)모습 샘플 ⓕ(이미지참조) 46
Fig. 4.8. 1차 단락흔 연심(x1, x2, x4, x6배)모읍 성플 ⓖ(이미지참조) 46
Fig. 4.9. 1차 단락흔 연심(x1, x2, x4, x6배)모습 샘플 ⓗ(이미지참조) 47
Fig. 4.10. 1차 단락흔 연심(x1, x2, x4, x6배)모습 샘플 ⓘ(이미지참조) 47
Fig. 4.11. 1차 단락흔 연심(x1, x2, x4, x6배)모습 샘플 ⓙ(이미지참조) 47
Fig. 4.12. (a)(b)(c) 2차 단락흔 실험 후 생성된 샘플 16개 48
Fig. 4.13. 2차 단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48
Fig. 4.14. 2차 단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48
Fig. 4.15. 2차 단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49
Fig. 4.16. 2차 단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49
Fig. 4.17. 2차 연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49
Fig. 4.18. 2차 연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0
Fig. 4.19. 2차 연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0
Fig. 4.20. 2차 연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0
Fig. 4.21. 2차 연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1
Fig. 4.22. 2차 연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1
Fig. 4.23. 2차 연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1
Fig. 4.24. 2차 연심 단락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2
Fig. 4.25. 2차 연심 단락흔 (지연방화) ⓟ(이미지참조) 52
Fig. 4.26. 2차 연심 단락흔 (트래킹)(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2
Fig. 4.27. 2차 연심 단락흔 (트래킹)(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3
Fig. 4.28. 3차 용흔 실험 후 생성된 샘플 10개 및 생 단심전선 1개 53
Fig. 4.29. 3차 단심 용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4
Fig. 4.30. 3차 단심 용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4
Fig. 4.31. 3차 단심 용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4
Fig. 4.32. 3차 단심 용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5
Fig. 4.33. 3차 단심 용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5
Fig. 4.34. 3차 연심 용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5
Fig. 4.35. 3차 연심 용흔(x1, x2, x4, x6배) 샘을 ⓖ(이미지참조) 56
Fig. 4.36. 3차 연심 용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6
Fig. 4.37. 3차 연심 용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6
Fig. 4.38. 3차 연심 용흔(x1, x2, x4, x6배) 샘플 ⓙ(이미지참조) 57
Fig. 4.39. 생 단심전선 용흔(x1, x2, x4. x6배) ⓚ(이미지참조) 57
Fig. 4.40. 전기안전연구원 연구원과 금속조직형태 관찰 및 분석 59
Fig. 4.41. 1.78 mm 전선 실체현미경 x 1 59
Fig. 4.42. 연신조직 금속현미경 x 200 59
Fig. 4.43. 1.78 mm 전선 실체현미경 x 4 60
Fig. 4.44. 연신조직 x 금속현미경 200 60
Fig. 4.45. 1차 단선 실체현미경 x 1 60
Fig. 4.46. 1차 단선 금속현미경 x 200 60
Fig. 4.47. 1차 단선 실체현미경 x 4 60
Fig. 4.48. 1차 단선 금속현미경 x 200 60
Fig. 4.49. 1차 연선 실체현미경 x 1 61
Fig. 4.50. 1차 연선 금속현미경 x 200 61
Fig. 4.51. 1차 연선 실체현미경 x 4 61
Fig. 4.52. 1차 연선 금속현미경 x 200 61
Fig. 4.53. 2차 단선 실체현미경 x 1 61
Fig. 4.54. 2차 단선 금속현미경 x 100 61
Fig. 4.55. 2차 단선 실체현미경 x 4 62
Fig. 4.56. 2차 단선 금속현미경 x 100 62
Fig. 4.57. 2차 연선 실체현미경 x 1 62
Fig. 4.58. 2차 연선 금속현미경 x 100 62
Fig. 4.59. 2차 단선 실체현미경 x 4 62
Fig. 4.60. 2차 단선 금속현미경 x 100 62
Fig. 4.61. 3차 단선 실체현미경 x 1 63
Fig. 4.62. 3차 단선 금속현미경 x 200 63
Fig. 4.63. 3차 단선 실체현미경 x 4 63
Fig. 4.64. 3차 단선 금속현미경 x 100 63
Fig. 4.65. 3차 연선 실체현미경 x 1 63
Fig. 4.66. 3차 연선 금속현미경 x 100 63
Fig. 4.67. 3차 연선 실체현미경 x 4 64
Fig. 4.68. 3차 연선 금속현미경 x 100 64
Fig. 4.69. 2차 지연 방화 실체현미경... 64
Fig. 4.70. 2차 지연 방화 금속현미경 x 100 64
Fig. 4.71. 2차 지연 방화 실체현미경... 64
Fig. 4.72. 2차 지연 방화 금속현미경 x 100 64
Fig. 4.73. 트래킹 용융흔 실체현미경 x 1 65
Fig. 4.74. 트래킹 금속현미경 x 100 65
Fig. 4.75. 트래킹 용융흔 실체현미경 x 4 65
Fig. 4.76. 트래킹 금속현미경 x 100 65
Fig. 5.1. 평면도 68
Fig. 5.2. 영업장 내부모습 68
Fig. 5.3. 발화부 모습 68
Fig. 5.4. 환풍기 잔해 모습 68
Fig. 5.5. 발화부에서 수거한 단락흔 69
Fig. 5.6. 단락흔 세부 촬영모습 69
Fig. 5.7. 분석 의뢰한 전기배선 7점 70
Fig. 5.8. 10개소의 용융흔 70
Fig. 5.9. 용융흔 ⓐ확대(x6배)(이미지참조) 70
Fig. 5.10. 용융흔 ⓐ금속단면조직...(이미지참조) 70
Fig. 5.11. 용융흔 ⓑ확대(x6배)(이미지참조) 71
Fig. 5.12. 용융흔 금속단면조직... 71
Fig. 5.13. 용융흔 ⓒ확대(x6배)(이미지참조) 71
Fig. 5.14. 용융흔 금속단면조직... 71
Fig. 5.15. 용융흔 ⓓ확대(x6배)(이미지참조) 72
Fig. 5.16. 용융흔 금속단면조직... 72
Fig. 5.17. 용융흔 ⓔ확대(x6배)(이미지참조) 72
Fig. 5.18. 용융흔 금속단면조직... 72
Fig. 5.19. 용융흔 ⓕ확대(x6배)(이미지참조) 73
Fig. 5.20. 용융흔 금속단면조직... 73
Fig. 5.21. 용융흔 ⓖ확대(x6배)(이미지참조) 73
Fig. 5.22. 용융흔 금속단면조직... 73
Fig. 5.23. 용융흔 ⓗ확대(x6배)(이미지참조) 74
Fig. 5.24. 용융흔 금속단면조직... 74
Fig. 5.25. 용융흔 ⓘ확대(x6배)(이미지참조) 74
Fig. 5.26. 용융흔 금속단면조직... 74
Fig. 5.27. 용융흔 ⓙ확대(x6배)(이미지참조) 75
Fig. 5.28. 용융흔 금속단면조직... 75
II.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화재위험성 연구 81
【그림1】 스타트형 안정기 회로도 90
【그림2】 래프트 스타트형 안정기 회로도 91
【그림3】 인스턴트 스타트형 안정기 회로도 92
【그림4】 전자식 안정기 동작 순서 95
【그림5】 안정기 입·출력의 구성 106
【그림6】 전원 입력측 오실로코프 측정의 주파수 값 107
【그림7】 전원 출력측 오실로스코프 측정의 주파수 값 108
【그림8】 전원 출력측 오실로스코프 측정의 주파수 값 108
【그림9】 안정기 열화상 사진 111
【그림10】 안정기의 신뢰성 블록도 125
III. 촛불의 발화메커니즘에 관한 연구『1.5㎝의 안전(安全)』 137
사진 1. 춧불연소 온도분포 및 확산화염의 구조 143
사진 2. 화재사례 I 관련사진 146
사진 3. 화재사례 II 관련사진 147
사진 4. 화재사례 III 관련사진 148
사진 5. 시간 경과에 따른 초 무게와 크기 감소 152
사진 6. 심지가 곡선 모양으로 휘어져 탄화되는 모습 152
사진 7. 시료1 온도측정값 153
사진 8. 시료2 온도측정값 153
사진 9. 시간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54
사진 10. 신문지 발화 및 미발화된 시료 심지모습 154
사진 11. 시료1 온도측정값 155
사진 12. 탄화물 감정을 위한 시료2 채취 155
사진 13. 시간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56
사진 14. 시료별 발화 모습 156
사진 15. 탄화물 감정을 위한 시료2 채취 157
사진 16. 시간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58
사진 17. 시료별 발화 모습 158
사진 18. 시간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59
사진 19. 시료별 발화 모습 159
사진 20. 시간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60
사진 21. 시료별 발화 모습 160
사진 22. 시간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61
사진 23. 메모리폼 발화 및 미발화 된 시료 심지모습 162
사진 24. 시료4 온도측정값 162
사진 25. 탄화물 감정을 위한 시료 1 채취 162
사진 26. 시간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63
사진 27. TV 상판 발화 및 미발화 된 시료의 심지모습 163
사진 28. 시료3 온도측정값 164
사진 29. 일자형 심지와 곡선형 심지 모양 165
사진 30. 발화 특이점인 심지의 선수모양 형태 165
사진 31. 실험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66
사진 32. 실험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68
사진 33. 실험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69
사진 34. 하단 무심지 초 제작 모습 171
사진 35. 실험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72
사진 36. 신문지 위에 하단 무심지 초 세워태우기 실험 후 심지모습 172
사진 37. 실험 경과에 따른 연소상태 173
사진 38. 수건 위에 하단 무심지 초 세워태우기 심지 모습 173
사진 39. 스티로폼 위에 하단 무심지 초 세워태우기 실험 174
사진 40. 메모리폼 위에 하단 무심지 초 세워태우기 실험모습 175
사진 41. 호일 감은 안전초 제작 과정 177
사진 42. 신문지 위에 호일감은 안전초 세워태우기 실험모습 178
사진 43. 시료 1 온도측정값 178
사진 44. 수건위에 호일감은 안전초 세워태우기 실험모습 179
사진 45. 수건 위에 호일감은 안전초 세워태우기 실험 후 심지 180
사진 46. 스티로폼 위에 호일감은 안전초 세워태우기 실험모습 181
사진 47. 스티로폼 위에 호일감은 안전초 세워태우기 실험 후 심지 181
사진 48. 메모리폼 위에 호일감은 안전초 세워태우기 실험모습 182
사진 49. 메모리폼 위에 호일감은 안전초 세워태우기 실험 후 심지 182
사진 50. 시료 1 온도측정값 183
사진 51. 가연물 7종의 발화점 측정 184
사진 52. 발화된 탄화물 성분분석 185
사진 53. 탄화물의 토탈이온 크로마토그램 187
사진 54. 휘발유, 등유, 경유의 토탈이온 크로마토그램 188
사진 55. 발화된 탄화물 성분분석 및 표면 관찰 189
사진 56. 성분분석 결과 189
사진 57. 실체현미경으로 본 탄화물 표면 189
사진 58. 발화된 탄화물 유증채취 190
IV. 열풍식 식품건조기 화재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203
【그림1】 식품건조기 작동 원리 206
【그림2】 건조 시간에 따른 수분 함량 변화 207
【그림3】 건조 시간에 따른 건조 속도 변화 207
【그림4】 AC모터 구조 211
【그림5】 온도퓨즈 내부 구조 213
【그림6】 온도퓨즈 작동 전·후 213
【그림7】 TP 작동 원리 214
【그림8】 배리스터 전압전류 특정 그래프 215
【그림9】 건조기 화재 발생 현황 그래프 218
【그림10】 정상 작동 시 온도 변화 그래프 221
【그림11】 모터 불량시 온도 변화 그래프 223
【그림12】 모터 및 온도퓨즈 불량 시 온도 변화 그래프 226
【그림13】 A사 제품 과부하 시 온도변화 그래프 230
【그림14】 B사 제품 과부하 시 온도변화 그래프 231
【그림15】 모터 코일 절연열화 시 온도변화 그래프 233
【그림16】 PCB 트래킹 발생 시 온도 변화 그래프 237
II.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화재위험성 연구 82
【사진1】 전자식안정기 구조 98
【사진2】 퓨즈이후는 퓨즈에 의해... 100
【사진3】 전원인입선부분 퓨즈 이전... 100
【사진4】 소락된 형광등 기구 101
【사진5】 소락된 형광등기구에서... 101
【사진6】 안정기 배선부분 단락에 의한... 102
【사진7】 형광등 캡에 물이 고여 있는... 102
【사진8】 안정기 배선부분 단락에 의한... 102
【사진9】 단락부분 상세사진 102
【사진10】 안정기 내부소자 파괴 103
【사진11】 콘덴서 소훼모습 103
【사진12】 천정에 설치된 형광등 소훼 104
【사진13】 내부 콘덴서 및 다이오등 소훼 104
【사진14】 4구형 등기구 접촉불량에... 104
【사진15】 접촉불량 소실 104
【사전16】 실험준비 106
【사진17】 실험준비 106
【사진18】 반단석, 단락 조건실험 준비 109
【사진19】 반단석, 단락 조건실험 준비 109
【사진20】 휴즈고장 재현실험 준비 112
【사진21】 휴즈고장 재현실험 준비 112
【사진22】 휴즈고장 재현실험 준비 112
【사진23】 안정기 휴즈 단락 113
【사진24】 휴즈고장재현 114
【사진25】 과전류로 인한 폭발 114
【사진26】 열풍기 115
【사진27】 전해질용액 115
【사진28】 트래킹현상 116
【사진29】 MF콘덴서 폭발 117
【사진30】 MF콘덴서 폭발 117
【사진31】 MF콘덴서 폭발 117
【사진32】 고주파트랜스 코일에서의 층간단락 재현 118
【사진33】 고주파트랜스 코일에서의 층간단락 재현 118
【사진34】 고주파트랜스 코일에서의 층간단락으로인한 발열 118
【사진35】 고주파트랜스 코일에서의 층간단락으로인한 발열 118
【사진36】 고주파트렌스 3D X-ray 촬영 119
【사진37】 고주파트렌스 3D X-ray 촬영 119
【사진38】 과전압, 과전류 시험 준비 119
【사진39】 과전압, 과전류 시험 준비 119
【사진40】 과전압, 과전류 시험 121
【사진41】 과전압, 과전류 시험 121
【사진42】 전원인입선 단락실험 세트 122
【사진43】 전원인입선 단락실험 세트 122
【사진44】 전원인입선 부분 전기적 특이점 발생 123
【사진45】 전원인입선 부분 전기적 특이점 발생 123
【사진46】 전원인입선 부분 전기적 특이점에 의해 유염착화로 진행 124
【사진47】 전원인입선 부분 전기적 특이점에 의해 유염착화로 진행 124
【사진48】 전원인입선 부분 전기적 특이점에 의해 유염착화로 진행 124
【사진49】 단락흔 금속현미경 관찰 124
IV. 열풍식 식품건조기 화재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201
【사진1】 식품건조기 구조(건조대 및 본체) 208
【사진2】 운모판에 고정된 코일형 열선 209
【사진3】 바이에탈의 부착 위치 210
【사진4] 바이메탈 근접 촬영 210
【사진5】 식품건조기에 사용된 AC모터 211
【사진6】 온도 퓨즈 부착 위치 212
【사진71 온도 퓨즈(165℃ 작동) 212
【사진8】 온도퓨즈 구조 명칭 213
【사진9】 온도퓨즈 분해 213
【사진10】 모터에 부착된 TP 214
【사진11】 B제품 PCB 회로에 설치된 전류 퓨즈 215
【사진12】 배리스터 모습 215
【사진13】 화재 사례(1) 216
【사진14】 화재 사례(2) 217
【사진15】 실험준비(소방과학연구실 및 전기안전연구원) 219
【사진16】 전류 측정(1.03A) 221
【사진17】 열선, PCB, 모터 온도 측정 221
【사진18】 실험 준비 222
【사진19】 열선 과열 222
【사진20】 온도 측정 222
【사진21】 온도 데이터 확인 223
【사진22】 온도퓨즈 단선 확인(클랩프 메타) 223
【사진23】 온도퓨즈 X선 촬영 223
【사진24】 실험 준비 224
【사진25】 팬 고정 및 온도퓨즈 제거 224
【사진26】 연기 발생 및 발화 225
【사진27】 연기 발생 및 발화(열화상 카메라 촬영) 225
【사진28】 열선 주위 집중 소설 및 PCB 후면 납땜 탈락 225
【사진29】 실험 준비 및 온도 변화 측정(B사 제품) 228
【사진30】 실험 준비 및 열선 주위 플라스틱 용융(A사 제품) 228
【사진31】 과열된 열선 온도 측정 및 열선 단선 확인 229
【사진32】 열선 단선 및 모터 TP 작동 후 전원 차단 229
【사진33】 실험 준비 232
【사진34】 온도 측정 232
【사진35】 1차 및 2차 스파크 발생 232
【사진36】 실험 준비 234
【사진37】 PCB 트래킹 발생으로 인한 스파크 및 화염 발생 234
【사진38】 PCB 트래킹 발생 열화상 카메라 촬영 235
【사진39】 PCB 소실 및 본체 스파크 흔적 236
【사진40】 PCB 납땜 탈락(통전 입증 증거) 236
V. 냉장고 부위별 발열특성 및 발화가능성 연구 248
【사진 1】 냉장고 회로도 255
【사진 2】 냉장고의 기본구조 256
【사진 3】 냉각의 원리 257
【사진 4】 냉장고 외부 264
【사진 5】 냉장고 내부 264
【사진 6】 냉장실 소실흔 264
【사진 7】 내부 소실흔 264
【사진 8】 발화 냉장고 위치 265
【사진 9】 냉장고 뒷면 265
【사진 10】 발화부 주변 265
【사진 11】 콘덴서 소실 상태 265
【사진 12】 냉장고 연소방향 266
【사진 13】 냉장고 뒷면 전선 266
【사진 14】 냉장고 하부 연소흔 266
【사진 15】 배선 단락흔 266
【사진 16】 냉장고 전면 268
【사진 17】 냉장고 후면 268
【사진 18】 냉장고 온도 측정 269
【사진 19】 부위별 온도 측정 269
【사진 20】 콘덴서 열화상 측정 270
【사진 21】 콘덴서 온도 프로필 270
【사진 22】 압축기 열화상 측정 270
【사진 23】 압축기 온도 프로필 270
【사진 24】 정상운전 시 온도 그래프 271
【사진 25】 바이메탈 온도센서 272
【사진 26】 바이메탈 온도센서 제거 272
【사진 27】 데이터 리거 연결 272
【사진 28】 냉동실 온도측정 272
【사진 29】 제상타이머 내부 273
【사진 30】 제상타이머 접점부 273
【사진 31】 물받이 주변 변색 273
【사진 32】 스티로폼 열변형 273
【사진 33】 제상히터 동작 시 온도 그래프 274
【사진 34】 냉장고 냉매 배관 275
【사진 35】 고압측 배관 천공 275
【사진 36】 압축기 주변 온도 276
【사진 37】 압축기 주변 온도 프로필 276
【사진 38】 냉매제거 시 온도 그래프 277
【사진 39】 압축기 주변 278
【사진 40】 접속부 가연물 278
【사진 41】 퓨즈 연결 278
【사진 42】 과부하 릴레이 접점부 278
【사진 43】 퓨즈 단선 279
【사진 44】 케이스 부위 단락 279
【사진 45】 접속부 스파크 279
【사진 47】 전기배선 착화 280
【사진 48】 냉장고 몸체 착화 280
【사진 49】 접속부 단락흔 280
【사진 50】 PTC 서미스터 표면 280
【사진 51】 전기배선 단락흔 280
【사진 52】 실체현미경 감식 280
【사진 53】 PTC 서미스터 접촉불량 시 온도 그래프 28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401330 | 363.3702 -18-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401331 | 363.3702 -18-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EM0000103206 | 363.3702 -18-1 | 전자자료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