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성격유형 1. 인간의 유형 | 2. 일반적 경향 ‘내향형-외향형’ 3. 네 가지 심리기능 | 4. 의식과 무의식의 상호보완성
제2장 콤플렉스 1. 연상실험 | 2. 콤플렉스의 현상 | 3. 콤플렉스의 해소
제3장 개인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 1. 집단 무의식 | 2. 원형 | 3. 그림자
제4장 심상과 상징 1. 심상 | 2. 상징, 그 창조성 | 3. 심리치료법에서 심상이 가지는 의의
제5장 꿈 분석 1. 꿈의 의의 | 2. 꿈의 기능 | 3. 꿈의 구조 | 4. 꿈 분석의 실제 | 5. 죽음과 재생의 모티브
제6장 아니마·아니무스 1. 페르소나와 마음 | 2. 아니마 | 3. 아니무스
제7장 자기 1. 개성화 과정 | 2. 자기의 상징적 표현 | 3. 자기실현에 있어서의 ‘시간(때)’
도서 안내 융 심리학을 더 배우고 싶은 독자에게_가와이 도시오 해설 몇 번이고 돌아봐야 하는 ‘고전’_모기 겐이치로 엮은이의 말 ‘심리치료법’ 컬렉션 간행에 즈음하여_가와이 도시오
이용현황보기
카를 융 인간의 이해 : 융이 그린 마음의 해부도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13514
150.1954 -18-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13515
150.1954 -18-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수십 년간 찬사받은 ‘융 심리학 입문서’ “인간의 마음은 어떻게 조직되어 있는가”
《카를 융, 인간의 이해》는 일본 융 심리학계의 거장, 가와이 하야오가 쓴 융 심리학 입문서이다. 1967년, 첫 발간 이래로 수십 년간 독자들의 찬사를 받으며 일본의 ‘융 심리학 교과서’로 자리 잡았다. 이 책은 한 인간의 기본 성향과 외적으로 보이는 행동을 관찰하고, 무의식 안에 숨기고 있던 콤플렉스의 존재를 드러낸다. 나아가 꿈이라는 마음의 현상을 통해 개개인이 각자의 콤플렉스를 어떻게 자아 안에 통합할 수 있는지, 또 진정한 자아실현을 연구한 융 평생의 노력을 따뜻한 문체로 설명한다. 이 책은 저자 가와이 하야오가 2009년 작고한 이후 ‘심리치료법’ 컬렉션 시리즈를 통해 재출간되었다. 42년 만의 재출간이었다. 일본 융 심리학의 거장, 가와이 하야오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저자 가와이 하야오는 일본인 최초로 ‘융 심리학’을 일본에 소개한 사람으로, 일본인이 가장 존경하는 마음 전문가이자 일본 융 심리학계의 거장으로 불린다. 그는 학술 분야에서의 업적을 세웠음은 물론 《아사히 신문》에 일반 독자를 상대로 고민 상담을 해주는 코너를 연재했고, 유머 넘치는 대중 강연 활동을 하며 대중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일본에서는 유례없이 문화청 장관을 세 차례 역임하기도 했다. 가와이 하야오는 융 심리학을 기반으로 인간의 마음을 들여다보며 ‘인간으로 산다는 것’의 의미, 더 나은 인간이 되기 위해 자아를 실현하는 과정 등을 오랫동안 탐구해왔다. 하야오는 무라카미 하루키가 유일하게 선생님이라고 부른 사람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하루키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공유했던 것은 이야기로 말하는 방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야기는 사람의 영혼 밑바닥에 있습니다. 사람의 마음 가장 깊은 장소에 있으니 사람과 사람을 근본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나는 소설을 쓸 때 그 깊은 장소로 내려가고, 가와이 하야오 선생님도 클라이언트와 마주볼 때 깊은 장소로 내려갑니다. 개들이 냄새로 서로를 알아보듯 우리도 그렇게 서로를 이해하고 있었던 것 아니었을까요? 내가 그런 깊은 공감을 느낄 수 있었던 상대는 가와이 선생님밖에 없었습니다. 그게 참 격려가 되고, 내가 해온 일이 잘못되지 않았다고 실감했습니다.”
무라카미 하루키, ‘가와이 하야오 이야기·학예상’ 창립 기념 공개인터뷰에서 “마음의 병은 어떠한 연유에서 생길까?” 마음, 인간의 내면세계에 대하여
이 책의 목표는 인간의 내면세계인 마음을 탐색하는 것으로, ‘마음의 현상학’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인간은 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할까? 마음의 병은 어떠한 연유에서 생길까? 심리학은 어떻게 마음을 치료하고 심리치료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융은 먼저 의식의 태도에 주목하여 인간의 유형을 나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내향형’과 ‘외향형’이라는 표현은 융이 인간의 유형을 연구하며 처음으로 개발해낸 개념인데, 보통 사람들은 대부분 어느 한쪽을 습관적으로 드러내고(의식의 태도) 다른 한쪽을 그림자처럼 숨기고 있다(무의식의 태도). 융은 의식의 태도가 지나치게 강하면 무의식이 그에 보상적으로 움직여 무의식이 때때로 의식의 제어를 깨고 병적인 성격으로 출현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외향적인 사람은 히스테리를 앓는 경우가 많고, 내향적인 사람은 정신쇠약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들어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했다. 이처럼 인간 마음은 의식으로 드러난 부분뿐 아니라 전체성을 지향하는 작용을 한다. 융은 이것을 무의식의 보상작용이라고 부르고, 여기서 ‘자기self’ 및 ‘마음의 전체성psychic totality’ 생각을 발전시켜나갔다. 융은 사람들이 드러내는 작은 단서에 주목하여 인간 마음의 구조를 연구했다. 무심히 그린 그림 한 장, 특정 단어를 들었을 때 보이는 찰나의 주춤거림, 최근에 생긴 불만에 관한 투덜거림, 어젯밤 꿈에 나온 인상적인 한 장면 등 융은 작은 조각들을 이어 의식이 인지하지 못하는 무의식 속 콤플렉스의 존재를 더듬어가고, 개인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으로 무의식의 층을 나누고, 자기와 자아로 대비되는 마음의 해부도를 그려냈다.
개인적으로 융 심리학의 가장 큰 특징을 뽑자면 어떤 견고한 체계를 진리로서 제시하지 않고 인간의 마음, 나아가서는 삶의 방식에 대한 근본 자세를 묻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쉽게 말하면 생각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의 특징뿐 아니라 그 전 존재를 가능한 한 존중하고, 거기서 발생하는 것을 모두 받아들이려고 하는 것이다. <머리말: 융 심리학에서 배우다>, 본문 12쪽에서
융이 그린 마음의 해부도를 따라 가와이 하야오가 안내하는 자기실현의 길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심적 내용이 억압당한 것과 성적 욕망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했던 데 반해, 융은 프로이트의 설을 인정하면서도 무의식의 내용에는 건설적이고 긍정적인 면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무의식에 ‘자기실현’을 위한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기실현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밝은 부분만을 보고 있지만, 그 길을 걷는다는 것은 상당히 어렵고 험난하다.
어떤 개인이 자기실현 문제에 직면하는 시기는 그 사람에게 가장 위험한 때라고도 할 수 있다. 이때 많은 사람은 자신이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가치관이 역전되는 경험까지 하게 된다. 지금까지 사고기능의 유용성을 확신하던 사람은 감정기능의 중요성에 직면해서 주춤거릴 테고, 여성스러운 것은 경멸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던 남성이 여성스럽게 행동하는 자신을 발견하고 놀라기도 할 것이다. (……) 실제로 자기실현을 위해서는 지금까지 자신이 전적으로 옳다고 생각하던 것까지 버려야 하는 때가 있다. 왜 융이 “모든 면에서 좋은 것은 비싸기 마련인데, 인격 발전은 그 무엇보다도 비싸다.”라고 말했는지 알 수 있다. <제7장 자기>, 본문 258쪽에서
융은 인간의 자아가 안정된 상태를 무너뜨려서라도 높은 차원의 통합성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보인다고 말한다. 이것이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인간이 자기를 실현하려는 까닭이다. 개인에게 내재한 가능성을 실현하고, 그 자아가 높은 차원의 전체성을 지향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을 융은 ‘개성화 과정individuation process’, 또는 ‘자기실현self-realization의 과정’이라고 부르고, 이것이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생각했다. 《카를 융, 인간의 이해》는 융이 펼쳐 보인 인간의 궁극적인 ‘자기실현’의 길을 가와이 하야오의 따뜻한 안내로 따라가게 해주는 명저이다.
책속에서
[P.12] 융의 삶과 심리학 이론은 서로 겹쳐져서 떼려야 뗄 수 없었고, 심리학 이론을 논하는 동안에도 융 연구가들이 각자의 생각을 드러내기 때문에 융 심리학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하지만 이것도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어떻게 보면 각자 ‘자신의’ 융 심리학을 구축하면 된다고 말할 수 있겠다. 융 심리학의 근본은 ‘개성화individuation’이기 때문에 융의 말을 그대로 따르려는 사람은 오히려 융 학파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P. 50~51] 융의 성격유형론은 먼저 의식의 태도에 주목하여 성격유형을 나눈 다음, 의식과 무의식의 보상작용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때문에 외적인 행동이 복잡하게 더해져서 성격유형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이야기했다. 결국 융이 강조하는 것은 인간 마음은 의식으로 드러난 부분뿐 아니라 전체성을 지향하는 작용을 한다는 사실이다. 융은 그것을 개성화 과정이라고 분명히 하면서 이를 심리치료 상황에 적용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성격유형론을 통해 융이 나중에 자기 이론의 중심 개념으로 발전시켜간 ‘자기self’ ‘마음의 전체성psychic totality’에 대한 생각을 발견할 수 있다.
[P. 55] ‘콤플렉스complex’라는 용어를 현재 통용되는 의미로 처음 사용한 사람은 다름 아닌 융이었다. 그는 1906년에 발표한 단어연상검사에 대한 저서1에서 ‘감정에 의해 채색된 콤플렉스gefuu?hlsbetonter Komplex’라는 말을 사용했는데, 이것이 후에 ‘콤플렉스’라고 불리게 되었다. 융이 도입한 이 용어는 내향·외향이라는 단어와 함께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고, 비단 심리학을 전공한 사람뿐 아니라 누구나 알 정도로 유명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