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01 무역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와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CHAPTER 01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비즈니스 Introduction: “4차 산업혁명과 무역 1조 달러” Ⅰ. 글로벌 비즈니스 01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무역 _ 8 02 글로벌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변화 _ 9
Ⅱ. 글로벌 공급체인의 영향요인 01 글로벌 공급체인의 개념 _ 13 02 글로벌화의 목표와 근거 _ 14 03 글로벌 공급체인 영향요인 _ 16
Ⅲ. 4차 산업혁명과 무역 패러다임의 변화 01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무역 _ 20 02 한국무역 패러다임의 변화 _ 22 Chapter 01 Case: “대웅제약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구축”
CHAPTER 02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Introduction: “글로벌 밸류체인의 명함” Ⅰ. 4차 산업혁명시대의 SCM 패러다임 01 4차 산업혁명시대와 공급체인관리 등장 _ 33 02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공급체인 발전 방향 _ 36 03 공급체인관리의 주요 분야 _ 38
Ⅱ. 공급체인관리 도입 과정 01 공급체인관리 도입 _ 41 02 공급체인관리 도입 필요성 _ 42
Ⅲ. 공급체인관리 발전과정 01 공급체인관리의 발전 _ 46 02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확산 _ 49 03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도입 배경 _ 50 Chapter 02 Case: “BMW의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CHAPTER 03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분석 Introduction: “미국, 삼성-LG세탁기에 ‘최고 50% 관세폭탄’” Ⅰ. 글로벌 기업의 환경분석 01 공급체인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4차 산업혁명 요인 _ 62 02 공급체인관리의 디지털화 _ 64
Ⅱ.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환경분석 01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환경 특성 _ 68 02 GSCM 환경조사의 프레임웍 _ 70
Ⅲ. 글로벌 비즈니스를 촉진하는 글로벌 환경요인 01 글로벌 환경요인의 개념 _ 74 02 글로벌 공급체인관리를 촉진하는 글로벌 환경요인 _ 75 Chapter 03 Case: “SIEMENS 스마트 팩토리 사례”
CHAPTER 04 GSCM 전략적 적합성 Introduction: “‘아이폰X’ 생산지연 어디까지? Apple, 부품 출하 조정중”
Ⅰ. 글로벌 비즈니스와 GSCM 프로세스의 발전과정 01 Industry 4.0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전략적 적합성 _ 87 02 전통적 GSCM과 Industry 4.0 GSCM의 전략적 적합성 _ 88 03 GSCM 프로세스의 발전과정 _ 90
Ⅱ. GSCM의 지연전략 01 지연전략의 개념 _ 95 02 GSCM의 지연전략 _ 95
Ⅲ. GSCM의 전략적 적합성 01 전략적 적합성의 개념 _ 99 02 GSCM 공급체인 전략적 적합성 달성 _ 100 Chapter 04 Case: “Zara VS. Uniqlo의 공급망 네트워크 설계”
PART 02 글로벌 경쟁의 패러다임과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CHAPTER 05 글로벌 밸류체인 Introduction: “CJ대한통운의 성공전략과 위협요인”
Ⅰ. GSCM의 글로벌 밸류체인 01 Industry 4.0 시대 확산과 글로벌 밸류체인의 관점 _ 115 02 Industry 4.0 시대 글로벌 밸류체인 _ 118 03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밸류체인 _ 120
Ⅲ. GSCM의 성공전략과 위협요인 01 성공전략과 위협의 개념 _ 129 02 GSCM 성공전략과 위협요인 _ 130 Chapter 05 Case: “이랜드그룹 전 세계 공급망으로 빠르게 확대” 4
CHAPTER 06 글로벌 위험관리 Introduction: “세계경제포럼, 무기화된 AI, IoT 해킹으로 인한 위협 경고” Ⅰ.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배경 및 프레임워크 01 글로벌 위험관리의 배경 _ 144 02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프레임워크 _ 149
Ⅱ.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특성 및 유형 01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특성 _ 154 02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유형 _ 155
Ⅲ. 글로벌 위험관리 프로세스 01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동기 _ 158 02 글로벌 공급체인 위험관리 프로세스 _ 159 Chapter 06 Case: “일본 지진으로 세계 자동차 생산량 500만대 감소 전망”
CHAPTER 07 글로벌 아웃소싱 Introduction: “롯데마트-롯데슈퍼 글로벌 아웃소싱 전략”
Ⅰ. 글로벌 아웃소싱의 배경 및 동기 01 글로벌 아웃소싱의 배경 _ 173 02 글로벌 아웃소싱의 동기 _ 177 03 글로벌 아웃소싱의 기능 _ 178
Ⅱ. 글로벌 아웃소싱의 개념 및 프레임워크 01 글로벌 아웃소싱의 개념 및 정의 _ 179 02 글로벌 아웃소싱의 특성 및 유형 _ 180 03 글로벌 아웃소싱의 프레임워크 _ 182
Ⅲ.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핵심역량 강화 01 핵심역량의 개념 _ 184 02 핵심역량의 정의 _ 185 03 핵심역량의 프레임워크 _ 185 Chapter 07 Case: “한샘 글로벌 아웃소싱 전략”
CHAPTER 08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 Introduction: “글로벌 경제 저성장, 프로세스 혁신으로 뚫자” Ⅰ.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배경 및 동기 01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배경 및 동기 _ 196 02 글로벌 프로세스의 전략적 목적 _ 201 03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필요성 _ 202
Ⅱ.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개념 및 정의 01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개념 _ 204 02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정의 및 요인 _ 205 03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전략적 방향 _ 207
Ⅲ.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응용 01 시스템 분석의 개념 _ 209 02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시스템 분석 단계 _ 209 Chapter 08 Case: “IBM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
PART 03 글로벌 협력의 패러다임과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CHAPTER 09 글로벌 로지스틱스 Introduction: “BMW 신차 유라시아 물류망 구축”
Ⅰ.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배경 및 동기 01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배경 및 동기 _ 226 02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중요성 _ 230 03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개념 _ 231
Ⅱ.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발전단계 01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구조적 변화 _ 234 02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발전단계 _ 234
Ⅲ. 제3자 물류의 개념 및 활용 01 제3자 물류의 등장 배경 _ 238 02 제3자 물류의 개념 _ 238 03 제3자 물류의 기대효과 _ 239 Chapter 09 Case: “KOTRA 해외공동물류센터”
Ⅲ. 글로벌공급체인관리와 AEO 제도 01 AEO 제도의 개요 _ 370 02 AEO 제도의 인증기준 _ 371 03 AEO 제도의 혜택 _ 372 04 AEO 인증 단계 _ 373 05 AEO MRA 현황 및 혜택 _ 375 Chapter 14 Case: “‘무역 원활화의 지름길, Korea AEO’ SK 하이닉스 사례”
CHAPTER 15 GSCM과 글로벌 창업 Introduction: “글로벌 창업에 성공하려면” Ⅰ. 글로벌 창업의 개요 01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창업 _ 384 02 글로벌 창업의 기능 _ 388 03 글로벌 창업의 구성요소 _ 389
Ⅱ. 글로벌 창업의 유형 01 글로벌 창업의 특성 _ 391 02 글로벌 창업기업의 특성에 따른 유형 _ 392 03 글로벌 프랜차이즈 _ 395
Ⅲ. GSCM과 글로벌 창업 01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_ 400 02 글로벌 창업가 정신(Global Entrepreneurship) _ 401 03 글로벌 공급체인 관리와 글로벌 창업가 정신 _ 402 Chapter 15 Case: “글로벌 창업 사례”
국문 색인 영문 색인
이용현황보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global SCM =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31040
658.7 -18-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31041
658.7 -18-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머리말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기업들은 글로벌 무역규제를 극복하여 글로벌 생산과 판매 균형을 이루면서 글로벌 고객을 만족시켜야 하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글로벌 환경의 급격한 기술적, 경제적, 정치적 변화는 전통적인 글로벌 비즈니스의 한계점과 문제점들을 보완한 글로벌 공급체인망관리에 의한 경영기업이 필요하다. 글로벌 공급체인망의 핵심은 글로벌 지역으로부터의 원재료, 부품, 반부품, 최종 완성품을 글로벌 고객에게 공급하기까지의 과정의 최적화를 통한 총 비용 관점에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 체인망의 프레임워크는 글로벌 비즈니스를 포함한 공급선이 길어지고 운송 지역이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됨에 따라 리드 타임이 길어지고 있는데 기업들은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 체인망에 있어서의 환경적 변화와 요구는 글로벌 네트워크 통합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글로벌 공급체인망을 활용한 시너지 효과가 발휘되기 위해서는 효율성, 생산성, 적시성, 혁신성 등의 복합적인 관리에 4차 산업 혁명 기술들의 융합이 필요한 시점이다. 4차 산업 혁명은 산업의 발전 과정들을 보면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사물형인터넷(loT),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빅데이터 관리 등의 새로운 신흥 기술들을 바탕으로 일어나며, 이러한 기술들을 바탕으로 한 산업간 파급 효과의 그 중요성이 가중될 것으로 예측된다. 국제 무역과 관련된 4차 산업혁명은 글로벌 비즈니스 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서비스 무 역, 디지털 무역, 글로벌 투자, 혁신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통적인 공급체인관리가 공급자로부터 출발하여 생산, 유통 단계를 거쳐 최종 고객인 소비자에게까지 흐르는 과정이 선형적(linear)인 특성을 보이는 반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급체인 관리는 중앙에 공급체인 컨트롤 타워가 있는 순환적(cycle) 구조를 보이게 된다. 중앙공급체인 컨트롤 타워를 통해 공급자, 생산, 유통, 고객 및 소비자들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공급자로부터 제조, 유통, 주문 및 확인이 최신의 기술과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순환적으로 연결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4.0(GSCM 4.0)은 지금까지 인류가 이뤄온 3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나아가 글로벌 시장에 확산된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인공지능, VR, AR 등의 다양한 신흥 기술(Emerging Technology: ET)을 이용하여 진화하는 단계에 있으며, 4차 산업혁명시대의 Global SCM은 이와 관련된 내용들을 담고 있다.
본서는 총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장은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비즈니스에 대한 무역 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에 다른 글로벌 비즈니스 및 글로벌 공급체인 영향 요인에 관해 살펴본다. 제 2장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SCM 패러다임, 공급체인관리 도입 과정과 발전 과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제 3장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 분석,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환경 분석과 이러한 환경을 촉진하고 있는 요인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제 4장은 GSCM 전략적 적합성에 대해 글로벌 비즈니스와 GSCM 프로세스의 발전과정, 지연전략, 전략적 적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5장은 글로벌 경제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GSCM 글로벌 밸류체인, GSCM 공급체인 프레임워크, GSCM 성공전략과 위협 요인들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 6장은 글로벌 공급체인의 위험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GSCM 위험관리의 배경 및 프레임워크, 특성 및 유형, 위험관리 프로세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 7장은 글로벌 아웃소싱에 대한 내용으로 그 배경과 동기, 개념과 프레임워크, 글로벌 공급체인 관리의 핵심역량 강화와 관련된 글로벌 아웃소싱 및 전략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제 8장은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배경과 목적, 글로벌 프로세스의 기본적인 개념과 정의,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 응용 전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 9장은 글로벌 로지스틱스에 대한 내용으로 글로벌 기업들의 협력 패러다임의 변화, 배경,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발전 단계, 제 3자 물류의 개념 및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10장은 역물류(Riverse Logistics)와 해외직구에 대해 살펴보면서, 역물류가 발생된 원인인 Green SCM관점에서 그 정의와 개념, 친환경 물류와 역물류, 해외 역직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11장은 글로벌 소싱의 개념과 동기, 전략적인 방향성, 글로벌 조달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12장은 국제 표준인증과 글로벌 파트너십에 대한 내용으로 국제표준인증의 개요, 글로벌 파트너십의 개념과 사례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제 13장은 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Industry 4.0과 GSCM,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와 사물형 인터넷(loT), GSCM의 스마트화와 지속가능성의 이슈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14장은 글로벌 통관제도인 싱글 윈도우 및 AEO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와 통관제도의 활용,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싱글윈도우(Single Window),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AEO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 15장은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입과 함께 이슈화 되고 있는 글로벌 창업과 GSCM에 대한 내용으로 글로벌 창업의 개요, 그 유형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본서를 집필하는데 저자가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와 일본의 게이오대학교에서 수학하면서 작성하였던 글로벌 로지스틱스에 대한 노트들은 참고가 되었으며, 중앙대학교에서 강의한 과목들인 GSCM전략, 글로벌기업론의 강의 노트들이 본서의 기본 골격을 이루고 있다. 지금까지 의 연구를 가능하게 했던 민간 기업들을 비롯한 정부 기관들과의 전문가 인터뷰, 정부의 공공데이터, 해외학술대회의 자료들은 Industry 4.0시대에 글로벌공급체인관리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GSCM과 관련된 심도있는 연구를 펼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집필 과정에 자료 수집과 원고 정리에 도움을 준 여경철 교수, 남윤미 교수, 이일한 교수, 권승하 박사와 중앙대학교 무역물류학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이동준, 이은주, 민병걸, 정소연, 산업창업경영대학원 김규동 선생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본서가 졸서임에도 출판을 흔쾌하게 맡아주신 안종만 회장님과 박세기 부장님, 그리고 마지막 원고 교정까지 세밀하게 도움을 주신 조혜인 선생님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끝으로, 그동안 저자들이 본서를 집필하는데 있어 작업에 몰두할 수 있도록 믿고 성원해 준 사랑하는 아내, 아들 성현, 하연 공주에게 감사를 드리며 제 삶에 용기와 아낌없는 격려를 해주신 고 김공칠 회장님 영전에 이 책을 바친다. 본서가 학부생, 대학원생, 국책 및 민간연구소의 연구원, 정부 산하기관과 기업체의 경영자와 관리자들에게 제 4차 산업혁명시대에 글로벌공급체인관리인 GSCM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내용 중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질책과 지적을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