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CHAPTER 01. 서론 13
1.1. 연구배경 및 목적 14
1.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4
1.1.2. 연구목적문화도시 조성정책 총괄 15
1.2. 연구범위 및 방법 16
1.2.1. 연구범위 16
1.2.2. 연구방법 17
CHAPTER 02. 문화도시 관련 국내ㆍ외 사례조사 20
2.1. 국내ㆍ외 사례 조사 21
2.1.1. 국외 관련 사례 22
2.1.2. 국내 관련 사례 39
2.1.3. 국내ㆍ외 사례 비교 70
2.2. 국내ㆍ외 사례조사 분석 종합 73
CHAPTER 03. 문화도시 정책 80
3.1. 문화도시에 대한 개념정립 81
3.1.1. 문화와 도시의 기본개념 및 가치 81
3.1.2. 문화도시에 대한 일반개념 90
3.1.3. 문화도시의 정책적 개념정의 95
3.2. 문화도시 정책의 방향 및 전략 96
3.2.1. 문화도시 정책 추진 기본방향 및 전략 96
3.2.2. 정책 추진방향 및 실현전략 세부 구성 100
CHAPTER 04. 문화도시 지정 115
4.1. 문화도시 지정 기준 116
4.1.1. 문화도시 지정 방법론 구성 116
1) 1단계: 도시의 지정-도시 고유성의 부각 117
2) 2단계: 지정분야 구분-도시 다양성의 수용 118
3) 3단계: 가치의 인정-도시 정체성의 표출 121
4.1.2. 문화도시 지정분야별 주요내용 124
1) 역사전통 분야 124
2) 문화예술 분야 126
3) 문화산업 분야 128
4) 사회문화 분야 130
4.2. 문화도시 지정절차 및 기준 구성 133
4.2.1. 문화도시 지정절차 기본구성 133
1) 지정절차 구성근거 133
2) 지정절차 기본(안) 구성 135
4.2.2. 문화도시 지정절차 주요 과정 및 내용 구성 137
1) 문화도시 조성계획 수립 137
2) 문화도시 조성계획 검토 및 지정심의 주요내용 구성 142
4.3. 문화도시 지정절차 단계별 주요 내용 151
4.3.1. 문화도시 지정신청 단계 151
1) 문화도시 지정 신청 공고 152
2) 문화도시 지정 추진 결정 152
3) 추진 TF 및 공유테이블 구성 및 운영 153
4) 문화도시 조성계획 수립 및 예비사업 실행계획 작성 153
5) 문화도시 조성계획 컨설팅 155
6) 기초-광역 거버넌스 구축 155
7) 문화도시 지정신청서 작성(제출문서 포함) 156
8) 문화도시 지정신청서 제출/협의 157
9) 문화도시 지정신청 접수 157
4.3.2. 문화도시 조성계획 검토ㆍ승인 단계 158
1) 문화도시 조성계획 검토 159
2) 문화도시 조성계획 수정/보완 160
3) 문화도시 조성계획 컨설팅 160
4) 문화도시 예비사업 실행준비 161
5) 문화도시 조성계획 승인(또는 반려) 161
4.3.3. 문화도시 예비사업 실행ㆍ관리 단계 162
1) 사업추진체 구성 163
2) 문화도시 예비사업 실행 163
3) 예비사업 실행과정 및 지정준비 관리 컨설팅 164
4) 문화도시 추진ㆍ지원 환경 및 기반조성 164
5) 예비사업 실행결과 정리 및 조성계획 최적화 및 갱신 166
6) 문화도시 지정심의 요청 및 접수 167
4.3.4. 문화도시 지정심의 및 지정단계 168
1) 문화도시심의위원회 검토 169
2) 검토결과 반영 및 접수(또는 반려) 170
3) 문화도시 지정심의(심의/투표/의결) 170
4) 문화도시 지정 171
4.3.5. 문화도시 지정절차 추진 프로세스 구성 종합(안) 172
CHAPTER 05. 문화도시 사업 173
5.1. 문화도시 사업 구상 및 설계 174
5.1.1. 문화도시 사업 기본개요 174
1) 사업 지원근거 174
2) 사업정의 176
3) 사업설계 179
5.1.2. 문화도시 사업유형 및 지원규모 설정 184
1) 사업유형 및 규모 구분 가이드라인 구성 185
2) 사업예산 구성 및 투입구조 188
5.1.3. 문화도시 사업 추진체계 구성 193
1) 사업추진체계 구성 193
2) 사업추진 거버넌스 구성 197
5.2. 문화도시 사업 주요내용 205
5.2.1. 도시 문화생태계 구축 207
1) 문화도시 경영체계 구축사업 208
2) 문화인재 양성/지원사업 213
5.2.2. 도시 문화브랜드 형성 215
1) 도시가치 발굴ㆍ활용 사업 216
2) 지역문화 활성화 사업 219
5.2.3. 도시발전구조 및 지속효과 223
1) 도시혁신 및 경제활성화 사업 224
2) 문화적 장소재생 사업 227
5.2.4/5.3.4. 지역 문화자치력 향상 231
1) 지정도시 자치형 특성화 제안사업 231
CHAPTER 06. 문화도시 추진 활성화 및 지원 233
6.1. 문화도시 정책 추진 로드맵 234
6.1.1. 문화도시 정책목표 기초(안) 제안 234
6.1.2. 정책 단계별 추진 로드맵 구성 235
6.1.3. 문화도시 가치 및 브랜드 효용 극대화 방안 239
6.2. 정책사업 연계 및 복합 245
6.2.1. 문화특화지역-문화도시 사업 연계 및 복합 245
6.2.2. 문체부 및 타부처 사업 연계 250
6.3. 문화도시 전문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262
6.3.1. 문화도시 컨설팅단 운영 262
6.3.2. 문화도시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 265
[부록] 270
1. 국외 관련 사례 271
2. 국내 관련 사례 301
3. 문화도시 지정심의 기준 형성을 위한 사례 검토 330
4. 문화도시조성계획 검토ㆍ승인 및 지정심의 주요 내용 상호비교 335
참고문헌 337
판권기 345
〈그림 1〉 연구 목표 15
〈그림 2〉 연구의 공간적 범위 17
〈그림 3〉 연구 흐름도 19
〈그림 4〉 이탈리아 창의도시-이탈리아 볼로냐 27
〈그림 5〉 디자인창의도시-중국 베이징 27
〈그림 6〉 유네스코 창의도시 가입신청 프로세스 27
〈그림 7〉 슬로시티 인증절차 32
〈그림 8〉 시카고 문화계획 개요 37
〈그림 9〉 시카고 문화계획 37
〈그림 10〉 광주 아시아문화전당 건립현장 41
〈그림 11〉 철도 폐선부지를 활용한 광주 남구 가로숲 41
〈그림 12〉 부산 영상센터 건립현장 42
〈그림 13〉 부산 영상센터 '두레라움' 42
〈그림 14〉 한옥마을(부채문화관) 43
〈그림 15〉 한국 전통문화전당 43
〈그림 16〉 전통생활체험프로그램 43
〈그림 17〉 안압지 야경 44
〈그림 18〉 경주 한옥마을 전경 44
〈그림 19〉 전통혼례(향교) 44
〈그림 20〉 무령왕릉길 정비사업 45
〈그림 21〉 황새바위 정비 45
〈그림 22〉 '올해의 관광도시' 통영시, 욕지도 전국민 섬 팸투어 53
〈그림 23〉 2016 통영! Walking-Festival in 한산 행사 53
〈그림 24〉 올해의 관광도시 선정 추진 절차 54
〈그림 25〉 행정안전부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비전 및 목표 61
〈그림 26〉 국내외 사례 분석 종합 구조도 79
〈그림 27〉 문화도시 문화마을 선정 및 지원방안연구(2013)에서 정의한 문화도시의 개념정의 94
〈그림 28〉 문화도시의 정책적 개념정의 95
〈그림 29〉 문화도시 정책 및 사업 추진 기본방향 96
〈그림 30〉 문화도시 정책 추진 기본방향 및 전략-1 97
〈그림 31〉 문화도시 정책 추진 기본방향 및 전략-2 98
〈그림 32〉 문화도시 정책 추진 기본방향 및 전략-3 99
〈그림 33〉 정책 추진방향에 따른 실현전략 구성-1 100
〈그림 34〉 문화의 고유가치와 다양성을 기반으로 한 문화의 범위확장 102
〈그림 35〉 사회구성원의 사업참여와 합의를 통한 문화거버넌스 구성 103
〈그림 36〉 정책 추진방향에 따른 실현전략 구성-2 105
〈그림 37〉 문화적 경험 및 가능성에 따른 사업방향 설정 107
〈그림 38〉 문화적 합의구조의 사업추진 프로세스 108
〈그림 39〉 문화도시 사업에서의 정책 간 복합화 추진방안 모델 109
〈그림 40〉 정책 추진방향에 따른 실현전략 구성-3 110
〈그림 41〉 전문가 사업참여 및 협업과 연구개발(R&D) 기능 활성화 111
〈그림 42〉 문화가치와 사회전반의 연계를 통한 경제적 시너지 효과 112
〈그림 43〉 지역청년 참여 및 활동의 기회부여 113
〈그림 44〉 문화를 통한 도시의 장소가치 재창조 실현전략 114
〈그림 45〉 지역이 추구하는 도시문화의 핵심가치가 반영되는 문화도시 지정방법 121
〈그림 46〉 문화도시 조성계획 검토 및 지정심의 시 과정 및 절차 기본(안) 146
〈그림 47〉 문화도시 지정절차 추진 프로세스 구성 상세(안) 172
〈그림 48〉 문화도시 사업의 개념 총괄 정의 176
〈그림 49〉 문화적 도시경영체계 구축 181
〈그림 50〉 도시 고유의 문화력 생성 181
〈그림 51〉 지속가능한 사회효과 발현 182
〈그림 52〉 문화중심의 지역자치력 향상 182
〈그림 53〉 문화도시 사업예산 구성방법론 188
〈그림 54〉 문화도시 사업추진체계 구 193
〈그림 55〉 문화도시 추진을 위한 도시문화거버넌스 구성(진화하는 거버넌스 구조) 197
〈그림 56〉 도시문화 네트워크-공유테이블 구성 및 운영 개념도 197
〈그림 57〉 도시문화협의체-문화도시팀 구성 및 운영 개념도 199
〈그림 58〉 도시문화경영전문조직-문화도시센터 구성 및 운영 개념도 201
〈그림 59〉 문화도시센터 구성 및 운영구조 208
〈그림 60〉 도시문화 네트워크-공유테이블 구성 및 운영 209
〈그림 61〉 문화도시 정책목표에 따른 단계별 정책목표 및 달성 기초지표 구성 234
〈그림 62〉 문화도시 가치 및 브랜드 효용 극대화방안 구조 제안도 240
〈그림 63〉 문화도시 지정 및 활성화 241
〈그림 64〉 대표문화도시 선정 및 지원 241
〈그림 65〉 권역별 대표문화도시를 통한 문화도시벨트 구축 242
〈그림 66〉 동아시아문화도시 지정를 통한 국제문화교류 효과 창출 243
〈그림 67〉 유네스코창의도시 가입으로 문화를 통한 국가경쟁력 향상 244
〈그림 68〉 문체부 부서 간 사업 연계를 위한 부서통합T/F 251
〈그림 69〉 부처 간 협력체계 구성 253
〈그림 70〉 부처 간 정책사업 통합협의회 구성 254
〈그림 71〉 부처 간 협의를 통한 관련 사업 연계ㆍ복합지원 체계 구축 255
〈그림 72〉 사업연계구조 구축 260
〈그림 73〉 문화도시 정책 및 사업의 전문컨설팅 필요성 262
〈그림 74〉 문화도시지원센터 운영 방향 266
〈그림 75〉 문화도시지원센터 기능 및 역할 267
부그림목차
〈그림 1〉 이탈리아 창의도시_이탈리아 볼로냐 286
〈그림 2〉 디자인창의도시_중국 베이징 286
〈그림 3〉 커뮤니티 단위 슬로시티 인증절차 294
〈그림 4〉 이탈리아 그레베 마을 299
〈그림 5〉 와인키안티 클라시코' 299
〈그림 6〉 특산품 '햄 프로슈토' 299
〈그림 7〉 신안군 갯벌염전 300
〈그림 8〉 염전의 수차 300
〈그림 9〉 국제슬로시티시장 신안 총회에서 천일염전하는 올리베티사무총장 300
〈그림 10〉 신안총회의 휘리 체험을 하는 영국 슬로시티퍼스의 잭 코번 시장 300
〈그림 11〉 물 때를 따라 갯벌에 있는 고동, 짱뚱어, 낙지, 조개굴을 등을 잡는 원시적인 조업인 휘리 체험 300
〈그림 12〉 광주 개막식 빛조각 막춤 축제 303
〈그림 13〉 요코하마시 덴파구미 특별공연 303
〈그림 14〉 취안저우시 폐막공연 303
〈그림 15〉 청주개막행사 304
〈그림 16〉 제주 창작무용 '바람꽃' 305
〈그림 17〉 나라시 시민 오페라 라보 305
〈그림 18〉 닝보 전통극 '우렁각시' 305
〈그림 19〉 '올해의 관광도시' 통영시, 욕지도에서 전국민 섬 팸투어 310
〈그림 20〉 2016 통영! Walking-Festival in 한산 행사 310
〈그림 21〉 사업추진현황 315
〈그림 22〉 안행부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비전 및 목표 32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532377 | 307.76 -19-30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532378 | 307.76 -19-30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