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계작성 배경과 목적 18
2. 통계작성 방법 19
3. 제한점 20
1. 지표체계 24
2. 용어해설 36
1. 인구 52
2. 가구 및 가족 53
3. 보육 54
4. 교육 55
5. 경제활동 56
6. 건강 57
7. 복지 58
8. 정치 및 사회참여 59
9. 문화 60
10. 안전 61
1. 인구 64
2. 가구 및 가족 128
3. 보육 162
4. 교육 190
5. 경제활동 226
6. 건강 326
7. 복지 388
8. 정치 및 사회참여 432
9. 문화 472
10. 안전 510
표목차〈표 2-1〉 경기도 시·군별 성 인지 통계 영역 비교(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5
1. 인구 7
〈표 1-1〉 성별 총인구 및 성비(2017) 66
〈표 1-2〉 성별 인구 추이(2015-2017) 67
〈표 1-3〉 성별 인구 증감 추이(2014-2017) 70
〈표 1-4〉 연령 3계층 및 성별 인구구성(2016) 73
〈표 1-5〉 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2016) 76
〈표 1-6〉 성별 노령화 지수 추이(2015-2017) 77
〈표 1-7〉 혼인상태별 성별 인구(2015) 78
〈표 1-8〉 교육수준별 성별 인구(2015) 81
〈표 1-9〉 성별 출생아수와 출생성비 및 조출생률(2016) 84
〈표 1-10〉 출산순위별 성별 출생성비(2016) 85
〈표 1-11〉 연도별 합계출산율 주이(2011-2016) 86
〈표 1-12〉 모의 연령별 출산율(2016) 87
〈표 1-13〉 성별 사망자수, 사망률, 조사망률(2016) 88
〈표 1-14〉 성별 자살 사망률(2016) 89
〈표 1-15〉 인구 자연증가건수 및 자연증가율(2014-2016) 92
〈표 1-16〉 성별 인구이동 추이(2015-2017) 93
〈표 1-17〉 이동지역별 성별 인구이동 현황(2017) 96
〈표 1-18〉 성별 외국인주민 인구 추이(2014-2016) 99
〈표 1-19〉 거주유형별 성별 외국인주민 인구(2016) 102
〈표 1-20〉 국적별 성별 외국인주민 인구(2016) 108
〈표 1-21〉 국적별 성별 외국인근로자 인구(2016) 114
〈표 1-22〉 국적별 성별 외국인주민 자녀인구(2016) 120
〈표 1-23〉 성별 북한이탈주민 인구 추이(2016-2017) 126
2. 가구 및 가족 8
〈표 2-1〉 세대구성별 가구(2016) 130
〈표 2-2〉 가구주 성별 가구(2010, 2016) 132
〈표 2-3〉 가구주의 혼인상태별 성별 가구 분포(2010, 2015) 133
〈표 2-4〉 가구주의 연령별 성별 가구 분포(2015) 136
〈표 2-5〉 세대유형별 한부모 가구(2015) 139
〈표 2-6〉 세대유형별 조손 가구(2015) 140
〈표 2-7〉 가구원수별 가구분포 및 평균 가구원 수(2016) 141
〈표 2-8〉 1인 가구의 가구주 성별 분포(2010, 2016) 142
〈표 2-9〉 1인 가구의 가구주 교육수준별 성별 분포(2015) 143
〈표 2-10〉 1인 가구의 가구주 연령별 성별 분포(2016) 146
〈표 2-11〉 다문화가구 비율 및 가구원 성별 가구원수(2016) 149
〈표 2-12〉 국적취득유형별 성별 다문화 가구원수(2016) 150
〈표 2-13〉 혼인상태별 성별 독거노인가구(2015) 151
〈표 2-14〉 혼인건수 및 조혼인율(2005, 2010, 2015, 2017) 154
〈표 2-15〉 성별 평균 초혼, 재혼 연령(2016) 155
〈표 2-16〉 혼인형태별 혼인 구성비(2017) 156
〈표 2-17〉 성별 외국인과의 혼인(2017) 157
〈표 2-18〉 이혼건수 및 조이혼율(2005, 2010, 2015, 2017) 158
〈표 2-19〉 동거기간별 이혼구성비(2016) 159
〈표 2-20〉 이혼사유별 이혼구성비(2016) 160
3. 보육 9
〈표 3-1〉 성별 보육대상(0-5세) 이동 수(2016-2017) 164
〈표 3-2〉 연령별 성별 보육대상 아동 수(2017) 165
〈표 3-3〉 만 0-5세 아동의 연령별 성별 어린이집 이용 아동 수(2017) 168
〈표 3-4〉 만 0-5세 아동의 성별 어린이집 이용률(2017) 171
〈표 3-5〉 어린이집 현황(2016-2017) 172
〈표 3-6〉 시설유형별 어린이집 현황(2017) 173
〈표 3-7〉 어린이집 유형별 아동 정원 및 성별 현원(2017) 174
〈표 3-8〉 평가인증 어린이집 현황(2017) 183
〈표 3-9〉 연도별 보육 교직원 현황(2016-2017) 184
〈표 3-10〉 시설유형별 보육 교직원 현황(2017) 185
〈표 3-11〉 직종별 보육 교직원 현황(2017) 186
〈표 3-12〉 양육수당 지원 현황(2017) 187
4. 교육 9
〈표 4-1〉 유치원 개황(2017) 192
〈표 4-2〉 원아의 연령별 성별 유치원 원아 수(2017) 195
〈표 4-3〉 직위별 성별 유치원 교원 수(2017) 198
〈표 4-4〉 초등학교 개황(2017) 201
〈표 4-5〉 직위별 성별 초등학교 교원 수(2017) 202
〈표 4-6〉 중학교 개황(2017) 203
〈표 4-7〉 직위별 성별 중학교 교원 수(2017) 204
〈표 4-8〉 고등학교 개황(2017) 207
〈표 4-9〉 일반 고등학교 개황(2017) 208
〈표 4-10〉 직위별 성별 일반 고등학교 교원 수(2017) 209
〈표 4-11〉 학교유형별 특수목적 고등학교 학교 수(2017) 212
〈표 4-12〉 학교유형별 성별 특수목적 고등학교 학생 수(2017) 213
〈표 4-13〉 직위별 성별 특수목적 고등학교 교원 수(2017) 214
〈표 4-14〉 특성화 고등학교 개황(2017) 215
〈표 4-15〉 직위별 성별 특성화 고등학교 교원 수(2017) 216
〈표 4-16〉 자율 고등학교 개황(2017) 217
〈표 4-17〉 직위별 성별 자율 고등학교 교원 수(2017) 218
〈표 4-18〉 특수학교 개황(2017) 219
〈표 4-19〉 직위별 성별 특수학교 교원 수(2017) 220
〈표 4-20〉 전문대학 및 대학 개황(2017) 221
〈표 4-21〉 대학교 개황(2017) 222
〈표 4-22〉 대학원 개황(2017) 223
〈표 4-23〉 대학원 학생 수(2017) 224
5. 경제활동 10
〈표 5-1〉 성별 경제활동인구 총괄(2017) 228
〈표 5-2〉 연령별 성별 경제활동참가율(2017) 231
〈표 5-3〉 혼인상태별 성별 경제활동참가율(2017) 237
〈표 5-4〉 교육수준별 성별 경제활동참가율(2017) 240
〈표 5-5〉 성별 비경제활동 사유(2016) 243
〈표 5-6〉 연령별 성별 고용률(2017) 246
〈표 5-7〉 혼인상태별 성별 고용률(2016) 252
〈표 5-8〉 교육수준별 성별 고용률(2017) 255
〈표 5-9〉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7) 258
〈표 5-10〉 성별 취업자의 직업(2017) 261
〈표 5-11〉 성별 취업자의 산업(2017) 264
〈표 5-12〉 연령별 성별 실업률(2016) 270
〈표 5-13〉 혼인상태별 성별 실업률(2016) 276
〈표 5-14〉 교육수준별 성별 실업률(2017) 279
〈표 5-15〉 농가 수 및 성별 농가인구(2017) 282
〈표 5-16〉 산업별 대표자 성별 사업체 수(2016) 283
〈표 5-17〉 산업별 성별 종사자 수(2016) 290
〈표 5-18〉 임금근로자 성별 월평균 임금(2017) 297
〈표 5-19〉 성별 임금근로자의 하는 일 및 임금 수준 만족도(2017) 300
〈표 5-20〉 성별 임금근로자의 고용 안정성 및 근무 환경 만족도(2017) 303
〈표 5-21〉 성별 임금근로자의 근로시간 만족도(2017) 306
〈표 5-22〉 성별 가구의 월평균 가구 총소득(2017) 309
〈표 5-23〉 성별 개인 소득 만족도(2017) 312
〈표 5-24〉 성별 일에 대한 가치(2017) 315
〈표 5-25〉 성별 직업 선택 요인(2017) 318
〈표 5-26〉 성별 일자리 창출 우선 분야(2017) 321
〈표 5-27〉 노동조합 수 및 성별 조합원수(2016) 324
6. 건강 11
〈표 6-1〉 연령별 성별 양호한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율(2016) 328
〈표 6-2〉 연령별 성별 심근경색 경험률(2016) 332
〈표 6-3〉 연령별 성별 고혈압 평생 의사진단 경험률(2016) 336
〈표 6-4〉 연령별 성별 당뇨병 평생 의사진단 경힘률(2016) 340
〈표 6-5〉 연령별 성별 관절염 평생 의사진단 겪힘륨(2016) 344
〈표 6-6〉 성별 비만도 및 체질량지수(2016) 348
〈표 6-7〉 연령별 성별 뇌졸중(2016) 352
〈표 6-8〉 연령별 성별 스트레스 인지율(2016) 356
〈표 6-9〉 연령별 성별 우울증 경험률(2016) 360
〈표 6-10〉 성별 사망률 및 연령표준화 사망률(2016) 364
〈표 6-11〉 연령별 성별 흡연율(2016) 367
〈표 6-12〉 연령별 성별 고위험 음주율(2016) 371
〈표 6-13〉 자격별 성별 건강보험 적용 인구(2016) 375
〈표 6-14〉 의료시설 현황(2017) 379
〈표 6-15〉 의료인력 현황(2017) 381
〈표 6-16〉 연령별 성별 골다공증(2016) 383
7. 복지 12
〈표 7-1〉 종별 성별 국민연금 가입자 현황(2017) 390
〈표 7-2〉 급여종류별 국민연금 지급 현황(2017) 393
〈표 7-3〉 유형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2017) 395
〈표 7-4〉 유형별 저소득 한부모 가구 현황(2017) 396
〈표 7-5〉 한부모 가족 복지시설 현황(2017) 398
〈표 7-6〉 가족지원센터 현황(2017) 399
〈표 7-7〉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시설 현황(2017) 400
〈표 7-8〉 아동복지시설 현황(2017) 401
〈표 7-9〉 청소년수련시설 현황(2017) 402
〈표 7-10〉 시설유형별 노인복지시설 현황(2017) 403
〈표 7-11〉 시설유형별 노인주거복지시설 현황(2017) 404
〈표 7-12〉 시설유형별 노인의료복지시설 현황(2017) 405
〈표 7-13〉 시설유형별 노인여가복지시설 현황(2017) 406
〈표 7-14〉 시설유형별 재가노인복지시설 현황(2017) 407
〈표 7-15〉 장애유형별 성별 장애인등록 현황(2017) 408
〈표 7-16〉 장애등급별 성별 장애인등록 현황(2017) 412
〈표 7-17〉 시설유형별 장애인복지시설 현황(2017) 415
〈표 7-18〉 성별 사회적 계층 의식(2017) 417
〈표 7-19〉 성별 사회복지 우선 지원 분야(2017) 420
〈표 7-20〉 성별 노인복지사업 확대 시 우선분야(2017) 423
〈표 7-21〉 성별 향후노후 계획 준비(2017) 426
〈표 7-22〉 성별 노인이 느끼는 문제(2017) 429
8. 정치 및 사회참여 13
〈표 8-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체투표율(2018) 434
〈표 8-2〉 연령별 성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체투표율(2018) 435
〈표 8-3〉 연령별 성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전투표율(2018) 438
〈표 8-4〉 연령별 성별 제19대 대통령 선거 투표율(2017) 439
〈표 8-5〉 연령별 성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율(2016) 442
〈표 8-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 도의회 의원 성별 입후보자 및 당선자 수(2018) 446
〈표 8-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 시·군 의회 의장 성별 입후보자 및 당선자 수(2018) 447
〈표 8-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 시·군 의회(지역구) 의원 성별 입후보자 및 당선자 수(2018) 448
〈표 8-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 시·군 의회(비례대표) 의원 성별 입후보자 및 당선자 수(2018) 449
〈표 8-10〉 성별 경기도 도의회 의원 현황(2018) 450
〈표 8-11〉 성별 경기도 시·군 의회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원 현황(2018) 451
〈표 8-12〉 성별 일반직 공무원 현황(2017) 452
〈표 8-13〉 성별 일반직 5급 이상 공무원 현황(2017) 453
〈표 8-14〉 각종 위원회 참여 현황(2017) 454
〈표 8-15〉 경기도 시 군별 여성 통·리장 현황(2017) 455
〈표 8-16〉 성별 이주계획(2017) 456
〈표 8-17〉 성별 향후 거주의향(2017) 459
〈표 8-18〉 성별 거주지 소속감(2017) 462
〈표 8-19〉 성별 자원봉사 활동 참여 횟수(2017) 465
〈표 8-20〉 성별 자원봉사 활동 1회 평균시간(2017) 468
9. 문화 및 여가 14
〈표 9-1〉 도서관 현황 및 이용현황(2016) 474
〈표 9-2〉 문화예술 시설 현황(2016) 475
〈표 9-3〉 공공체육시설 현황(2016)· 477
〈표 9-4〉 성별 여행지 선택 이유(2017) 479
〈표 9-5〉 성별 공연 및 스포츠 관람정도(2017) 482
〈표 9-6〉 성별 여행 정보 등 개선 시 우선 사항(2017) 488
〈표 9-7〉 성별 향후 늘려야 할 공공시설(2017) 491
〈표 9-8〉 성별 평일, 주말의 바쁨 정도 또는 시간 부족(2017) 494
〈표 9-9〉 성별 주말이나 휴일의 여가 활동(중복 응답)(2017) 497
〈표 9-10〉 성별 주말이나 휴일의 여기생활 만족도(2017) 500
〈표 9-11〉 성별 주말이나 휴일의 여가 생활 불만족 시 그 이유(2017) 503
〈표 9-12〉 성별 여행 경험 및 여행지 선택 시 정보 취득(2017) 506
10. 안전 및 환경 14
〈표 10-1〉 성폭력 발생 및 검거건수(2016, 2017) 512
〈표 10-2〉 가정폭력 검거건수(2016, 2017) 514
〈표 10-3〉 성폭력 상담건수(2017) 516
〈표 10-4〉 가정폭력 상담건수(2017) 517
〈표 10-5〉 성별 출근 여부와 지역 및 평균 소요 시간(2017) 518
〈표 10-6〉 성별 등교 여부와 지역 및 평균 소요 시간(2017) 521
〈표 10-7〉 여성운전자 교통사고 현황(2017) 524
〈표 10-8〉 어린이 교통사고(2017) 525
〈표 10-9〉 교통문화지수 및 순위(2017) 526
〈표 10-10〉 성별 대중교통 운영 서비스 만족도(2017) 528
〈표 10-11〉 성별 대중교통 이용환경 서비스 만족도(2017) 531
〈표 10-12〉 성별 대중교통 쾌적환경 서비스 만족도(2017) 534
〈표 10-13〉 성별 대중교통 정보제공 서비스 만족도(2017) 537
〈표 10-14〉 성별 대중교통 환승서비스 만족도(2017) 540
〈표 10-15〉 성별 현 거주지 만족도(2017) 543
〈표 10-16〉 성별 현 거주지 불만족 이유(2017) 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