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총설 38
1.1. 과업의 개요 39
1.1.1. 과업의 목적 39
1.1.2. 과업의 위치 39
1.1.3. 과업의 기간 39
1.1.4. 과업의 범위 40
1.1.5. 과업수행현황 41
1.2. 과업수행내용 요약 42
1.2.1. 준설토 발생량 분석 42
1.2.2. 준설토 발생 일정검토 45
1.2.3. 수토용량 산정 47
1.2.4. 준설토 투기계획 수립 48
1.2.5. 평면계획(안) 검토 51
1.2.6. 구간별 단면계획 53
1.2.7. 호안안정성 검토 68
1.2.8. 건설계획 69
제2장 기초자료조사 71
2.1. 자연조건조사 72
2.1.1. 지형 및 지세 72
2.1.2. 기상조건 73
2.1.3. 해상조건 89
2.2. 입지여건조사 92
2.2.1. 지리적 위치 92
2.2.2. 세력권 92
2.2.3. 인문 및 사회현황 93
2.2.4. 산업 및 경제현황 95
2.2.5. 토지이용현황 97
2.2.6. 교통수송 체계 현황 97
2.2.7. 동력 및 용수현황 99
2.2.8. 상·하수도 현황 100
2.2.9. 관광현황 101
2.3. 항만현황조사 104
2.3.1. 항만의 개요 104
2.3.2. 항만시설현황 106
2.3.3. 항만이용 및 운영현황 109
2.3.4. 인근항만현황 112
2.4. 관련계획조사 113
2.4.1. 개요 113
2.4.2. 상위관련계획 114
2.4.3. 지역관련계획 117
2.4.4. 항만관련계획 136
2.4.5. 기수행 용역 151
제3장 현지조사 160
3.1. 수심 및 지형측량 161
3.1.1. 조사개요 161
3.1.2. 기준점측량 162
3.1.3. 수준측량 164
3.1.4. 수심측량 166
3.1.5. 지형측량 181
3.2. 지반조사 및 시험 189
3.2.1. 조사개요 189
3.2.2. 조사내용 191
3.2.3. 현장조사 192
3.2.4. 지층개요 195
3.2.5. 지반조사 성과 분석 203
3.2.6. 설계지반정수 212
3.3. 용지 및 지장물조사 213
3.3.1. 개요 213
3.3.2. 용지조사 213
3.3.3. 편입용지조서 218
3.3.4. 지장물 조사 219
3.3.5. 지장물 이설 및 확장(안) 228
3.4. 어업권 현황조사 230
3.4.1. 개요 230
3.5. 재료원 조사 233
3.5.1. 조사목적 233
3.5.2. 석재원 조사 233
3.5.3. 토사원 조사 237
3.5.4. 준설암 활용여건 검토 238
3.5.5. 레미콘 조사 240
제4장 전단계 성과검토 243
4.1. 전단계 성과검토 244
4.1.1. 보령신항건설 실시설계용역 244
4.1.2. 보령신항 개발사업 타당성 재조사 250
4.1.3. 보령신항 다기능 복합개발 타당성분석 및 기본구상 연구용역 253
4.1.4. 제3차 전국무역항 기본계획 수정계획 266
4.1.5. 보령항로 준설 설계기술용역 기본설계 273
4.2. 준설 및 매립 계획 재검토 286
4.2.1. 준설토 발생량 분석 286
4.2.2. 준설토 발생 일정검토 289
4.2.3. 준설토의 특성 및 체적변화 291
4.2.4. 수토용량 산정 296
4.2.5. 준설토 투기계획 수립 297
4.3. 준설토 투기장 평면배치계획 재검토 300
4.3.1. 개요 300
4.3.2. 제3차 전국무역항 기본계획 수정계획(2016.09) 평면배치계획 문제점 검토 300
4.3.3. 평면계획(안) 검토 302
4.3.4. 평면계획(안) 대안별 비교·검토 304
4.3.5. 북측 및 동측 호안수로계획 306
4.3.6. 도로이용계획 331
제5장 수치모형실험 338
5.1. 실험개요 339
5.1.1. 실험목적 339
5.1.2. 실험내용 339
5.2. 파랑변형 수치모형실험 341
5.2.1. 실험개요 341
5.2.2. 모형 검증 344
5.2.3. 모형수립 350
5.2.4. 수치모형실험 결과 355
5.2.5. 실험결과 및 분석 362
5.3. 해수유동 수치모형실험 365
5.3.1. 실험개요 365
5.3.2. 모형수립 366
5.3.3. 예측결과 368
5.3.4. 해수유동실험 결과 371
5.4. 부유사확산 수치모형실험 379
5.4.1. 실험개요 379
5.4.2. 모형수립 379
5.4.3. 수치모형실험 382
5.5. 퇴적물이동 수치모형실험 386
5.5.1. 실험개요 386
5.5.2. 모형수립 386
5.5.3. 실험 결과 및 분석 387
5.6. 해수교환율 수치모형실험 390
5.6.1. 실험개요 390
5.6.2. 모형수립 390
5.6.3. 실험 결과 및 분석 391
5.7. 체절 실험 393
5.7.1. 실험개요 393
5.7.2. 모형수립 394
5.7.3. 수치모형실험 결과 395
5.7.4. 분석결과 396
5.8. 폭풍해일 실험 397
5.8.1. 실험개요 397
5.8.2. 모형수립 398
5.8.3. 수치모형실험 걸과 400
5.8.4. 분석결과 400
5.9. 침수범람 실험 401
5.9.1. 실험개요 401
5.9.2. 모형수립 402
5.9.3. 수치모형실험 405
5.9.4. 분석결과 405
제6장 설계기준 및 조건 407
6.1. 기본방향 408
6.2. 관련법규 및 제규정 409
6.2.1. 적용방향 409
6.2.2. 관련법규 및 제규정 409
6.3. 설계조건 411
6.3.1. 항만 및 해안분야 411
6.3.2. 구조분야 413
6.3.3. 토질 및 기초분야 416
제7장 기본 및 실시설계 422
7.1. 개요 423
7.1.1. 설계개요 423
7.1.2. 설계내용 423
7.1.3. 호안 단면계획 흐름도 425
7.2. 대상지역의 현지여건 426
7.2.1. 투기장 지형특성 분석 426
7.2.2. 구간별 호안특성 분석 430
7.3. 호안 기본제원 결정 432
7.3.1. 설계조위 결정 432
7.3.2. 마루높이 결정 434
7.3.3. 호안 마루폭 검토 438
7.3.4. 호안 사면경사 결정 440
7.3.5. 피복재 소요중량 검토 442
7.3.6. 세굴방지공 447
7.3.7. 준설토 유출방지공 452
7.4. 구간별 호안 단면형식 결정 460
7.4.1. 호안 구조형식 결정 460
7.4.2. 호안 구조형식 선정 461
7.4.3. 구간별 단면계획 469
7.4.4. 구간별 상치콘트리트 안정검토 484
7.5. 호안제체 안정성 검토 491
7.5.1. 검토개요 491
7.5.2. 기초처리 필요성 검토 497
7.5.3. 기초처리공법 선정 500
7.5.4. 심층혼합처리공법의 설계 519
7.5.5. 구간별 단면 안정성 검토 529
7.5.6. 호안 파이핑 검토 556
7.6. 내진설계 563
7.6.1. 개요 563
7.6.2. 내진설계기준 설정 563
7.6.3. 지진응답해석 566
7.6.4. 액상화 검토 570
7.7. (공사시) 도로이용계획 574
7.7.1. 개요 574
7.7.2. (공사시) 기존도로 이용계획 574
7.7.3. (공사시) 호안연결로 검토 576
7.8. 배수 구조물 585
7.8.1. 기본 방향 585
7.8.2. 배수계획 585
7.8.3. 배수 구조물 형식 선정 587
7.8.4. 배수BOX구간 안정검토 591
7.8.5. 배수 BOX수리검토 600
7.9. 북측수로굴착 606
7.9.1. 북측수로굴착 평면 및 단면계획 606
제8장 부대시설 609
8.1. 오탁방지막 및 공사용 등부표 610
8.1.1. 오탁방지막 설계 610
8.1.2. 공사용등부표 614
8.2. 회차장 615
8.2.1. 개요 615
8.2.2. 회차장 설치계획 615
8.2.3. 회차장 규모산정 617
8.3. 여수토 618
8.3.1. 개요 618
8.3.2. 여수토 규모검토 621
8.4. 최종체절 628
8.4.1. 체절개요 628
8.4.2. 체절위치선정 630
8.4.3. 체절시기검토 631
8.4.4. 체절공법검토 632
8.4.5. 최대유속계산 634
8.4.6. 최대 유속에 따른 사석규격 산정 636
8.4.7. 체절시공계획 640
8.4.8. 바닥보호공 644
8.5. 적출장 646
8.5.1. 적출장 필요성 검토 646
8.5.2. 적출장 계획 검토 646
8.6. 공사용 작업장 및 제작장 651
8.6.1. 공사용 작업장 651
8.6.2. 설치위치 651
8.6.3. 최종체절용 공사용 작업장 규모 검토 652
8.6.4. 공사용 제작장 654
8.7. 계측관리 및 확인조사 계획 655
8.7.1. 계측관리계획 655
8.7.2. 확인조사 계획 659
8.8. 세륜세차시설 661
8.8.1. 설치목적 661
8.8.2. 시설설치계획 661
8.9. 배사관 설치계획 663
8.9.1. 개요 663
8.9.2. 배사관 설치시 유의사항 663
제9장 건설계획 664
9.1. 공사개요 665
9.2. 건설계획 667
9.2.1. 계획수립조건 설정단계 667
9.2.2. 공정계획안 수립단계 668
9.2.3. 실시계획 작성단계 669
9.3. 공사관리계획 670
9.3.1. 안전관리계획 670
9.3.2. 품질관리계획 672
9.3.3. 유지관리계획 674
9.4. 시공계획 675
9.4.1. 육·해상 시공계획수립 675
9.4.2. 공종별 시공계획 678
9.4.3. 주요 물공량 및 건설공사비 679
9.4.4. 예정공정표 681
부록 682
중간보고회 683
기본설계VE 711
실시설계VE 745
충청남도 설계자문 833
해양수산부 설계자문 881
본부보고회 1093
최종보고회 1130
참여자명단 1141
〈그림 1.1-1〉 과업의 위치 39
〈그림 1.2-1〉 보령항로 준설범위 및 준설량 43
〈그림 1.2-2〉 호퍼준설공법 예정공정표 46
〈그림 1.2-3〉 호안 전체계획평면도 54
〈그림 1.2-4〉 북측호안 표준단면도 (강제치환구간) 55
〈그림 1.2-5〉 북측호안 표준단면도 (지반개량구간) 56
〈그림 1.2-6〉 서측호안 표준단면도 (강제치환구간) 57
〈그림 1.2-7〉 서측호안 표준단면도 (지반개량구간) 58
〈그림 1.2-8〉 서측호안 표준단면도 (최종체절구간) 59
〈그림 1.2-9〉 남측호안 표준단면도 (지반개량구간) 60
〈그림 1.2-10〉 남측호안 표준단면도 (무처리구간 1/2) 61
〈그림 1.2-11〉 남측호안 표준단면도 (무처리구간 2/2) 62
〈그림 1.2-12〉 북측수로호안 표준단면도 (지반개량구간) 63
〈그림 1.2-13〉 북측수로호안 표준단면도 (임시흄관매립구간) 64
〈그림 1.2-14〉 북측수로호안 표준단면도 (무처리구간) 65
〈그림 1.2-15〉 기존제방보강 A구간 (무처리) 표준단면도 66
〈그림 1.2-16〉 기존제방보강 B구간 (무처리) 표준단면도 67
〈그림 2.1-1〉 사업대상지 전경 72
〈그림 2.1-2〉 월별기온 74
〈그림 2.1-3〉 월별 풍속 그래프 75
〈그림 2.1-4〉 바람 장미도 76
〈그림 2.1-5〉 월별 태풍경로도 78
〈그림 2.1-6〉 태풍경로도 83
〈그림 2.1-7〉 월별 강수량 그래프 84
〈그림 2.1-8〉 월별 해면기압 그래프 85
〈그림 2.1-9〉 월별 상대습도 그래프 85
〈그림 2.1-10〉 조위표 90
〈그림 2.1-11〉 최강창조류 90
〈그림 2.1-12〉 최강낙조류 91
〈그림 2.2-1〉 세력권도 92
〈그림 2.2-2〉 배후수송망 현황도 98
〈그림 2.2-3〉 보령시 관광지 현황 102
〈그림 2.3-1〉 인근항 현황 105
〈그림 2.3-2〉 시설현황도 106
〈그림 2.3-3〉 박지 현황도 108
〈그림 2.3-4〉 공유수면매립 현황도 109
〈그림 2.4-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개요 114
〈그림 2.4-2〉 제3차 충청남도 종합계획 수정계획 118
〈그림 2.4-3〉 도시계획도 120
〈그림 2.4-4〉 도시계획 결정도 121
〈그림 2.4-5〉 과업 위치도 122
〈그림 2.4-6〉 홍수량 산정 지점도 124
〈그림 2.4-7〉 하천재해 위험지구 선정 현황 127
〈그림 2.4-8〉 내수재해 위험지구 선정 현황 129
〈그림 2.4-9〉 사면재해 위험지구 선정 현황 130
〈그림 2.4-10〉 토사재해 위험지구 선정 현황 132
〈그림 2.4-11〉 해안재해 위험지구 후보지 현황 134
〈그림 2.4-12〉 보령항 계획평면도 137
〈그림 2.4-13〉 보령항 계획평면도 139
〈그림 2.4-14〉 보령항 계획평면도 142
〈그림 2.4-15〉 대상항만 143
〈그림 2.4-16〉 재해이력을 통한 선정 흐름도 144
〈그림 2.4-17〉 과업위치도 145
〈그림 2.4-18〉 기본목표 148
〈그림 2.4-19〉 기능재배치 이후 보령항 계획평면도 149
〈그림 2.4-20〉 보령항 계획평면도 150
〈그림 2.4-21〉 계획평면도 152
〈그림 2.4-22〉 보령신항 계획평면도 155
〈그림 3.1-1〉 조사위치도 161
〈그림 3.1-2〉 기준점 위치도 163
〈그림 3.1-3〉 수준망도 165
〈그림 3.1-4〉 시스템 구성도 167
〈그림 3.1-5〉 멀티빔 음향측심 조사흐름도 168
〈그림 3.1-6〉 수심측량 위치도 169
〈그림 3.1-7〉 항정도 170
〈그림 3.1-8〉 수심분포도 171
〈그림 3.1-9〉 수심도(인덱스) 172
〈그림 3.1-10〉 수심도(1/8) 173
〈그림 3.1-11〉 수심도(2/8) 174
〈그림 3.1-12〉 수심도(3/8) 175
〈그림 3.1-13〉 수심도(4/8) 176
〈그림 3.1-14〉 수심도(5/8) 177
〈그림 3.1-15〉 수심도(6/8) 178
〈그림 3.1-16〉 수심도(7/8) 179
〈그림 3.1-17〉 수심도(8/8) 180
〈그림 3.1-18〉 Network RTK 측량개념도 181
〈그림 3.1-19〉 지형현황도 183
〈그림 3.1-20〉 지형현황도(1/5) 184
〈그림 3.1-21〉 지형현황도(2/5) 185
〈그림 3.1-22〉 지형현황도(3/5) 186
〈그림 3.1-23〉 지형현황도(4/5) 187
〈그림 3.1-24〉 지형현황도(5/5) 188
〈그림 3.2-1〉 과업구역 위치도 189
〈그림 3.2-2〉 지반조사 위치도 191
〈그림 3.2-3〉 시추조사 모식도 및 전경 192
〈그림 3.2-4〉 과업구간 지질도 196
〈그림 3.2-5〉 소성도 그래프 208
〈그림 3.2-6〉 활성도 그래프 208
〈그림 3.2-7〉 심도별 강도증가율 분포 209
〈그림 3.2-8〉 심도별 비배수전단강도 분포 210
〈그림 3.2-9〉 심도별 압축지수 분포 211
〈그림 3.3-1〉 용지도 214
〈그림 3.3-2〉 용지도(1/3) 215
〈그림 3.3-3〉 용지도(2/3) 216
〈그림 3.3-4〉 용지도(3/3) 217
〈그림 3.3-5〉 지장물도 220
〈그림 3.3-6〉 지장물도(상세) (1/3) 221
〈그림 3.3-7〉 지장물도(상세) (2/3) 221
〈그림 3.3-8〉 지장물도(상세) (3/3) 222
〈그림 3.3-9〉 허가확인 및 협의필요 현황도 (1/2) 226
〈그림 3.3-10〉 해수인입시설(10번) 현장조사사진 228
〈그림 3.3-11〉 해수인입시설(23번, 24번), 담수시설(20번) 현장조사사진 228
〈그림 3.3-12〉 지장물 이설계획 229
〈그림 3.4-1〉 어업권 현황도 230
〈그림 3.5-1〉 석재원 위치도 234
〈그림 3.5-2〉 보령항로 준설범위 및 준설량 238
〈그림 3.5-3〉 준설암의 준설거리 239
〈그림 3.5-4〉 레미콘 현황 240
〈그림 3.5-5〉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2016 P.52 241
〈그림 4.1-1〉 계획평면도 245
〈그림 4.1-2〉 호안 1구간 표준단면도 246
〈그림 4.1-3〉 호안 2구간 표준단면도 246
〈그림 4.1-4〉 호안 3구간 표준단면도 247
〈그림 4.1-5〉 배수호안 표준단면도 247
〈그림 4.1-6〉 5,000DWT부두 표준단면도 248
〈그림 4.1-7〉 10,000DWT부두 표준단면도 248
〈그림 4.1-8〉 20,000DWT부두 표준단면도 249
〈그림 4.1-9〉 관리부두 표준단면도 249
〈그림 4.1-10〉 보령신항 계획평면도 254
〈그림 4.1-11〉 남방파제 표준단면도 256
〈그림 4.1-12〉 북방파제 표준단면도 256
〈그림 4.1-13〉 남측호안 표준단면도 257
〈그림 4.1-14〉 북측호안 표준단면도 257
〈그림 4.1-15〉 배수호안 표준단면도 258
〈그림 4.1-16〉 서측호안 표준단면도 258
〈그림 4.1-17〉 마리나 호안(직립식) 표준단면도 259
〈그림 4.1-18〉 다목적부두 표준단면도 259
〈그림 4.1-19〉 마리나 계획평면도 260
〈그림 4.1-20〉 진입도로 현황 261
〈그림 4.1-21〉 진입도로 확폭 단면도 261
〈그림 4.1-22〉 진입교량 평면도 262
〈그림 4.1-23〉 진입교량 개념도 262
〈그림 4.1-24〉 준설토 및 매립계획 263
〈그림 4.1-25〉 기본목표 266
〈그림 4.1-26〉 기능재배치 이후 보령항 계획평면도 267
〈그림 4.1-27〉 보령항 계획평면도 272
〈그림 4.1-28〉 그래브준설공법(덤프/언로더)예정공정표 278
〈그림 4.1-29〉 호퍼준설공법 예정공정표 278
〈그림 4.2-1〉 보령항로 준설범위 및 준설량 287
〈그림 4.2-2〉 호퍼준설공법 예정공정표 290
〈그림 4.3-1〉 평면계획 변경(제3차 전국무역항 기본계획 수정계획) 300
〈그림 4.3-2〉 과업대상지 인근 유역검토 307
〈그림 4.3-3〉 티센망도 308
〈그림 4.3-4〉 모형의 구축 318
〈그림 4.3-5〉 방류지점 조위현황 323
〈그림 4.3-6〉 XP-SWMM 외수위 적용 324
〈그림 4.3-7〉 배후수로 계획평면도 326
〈그림 4.3-8〉 비교 노선도 337
〈그림 5.2-1〉 상관계수(r)와 상관관계 정도 344
〈그림 5.2-2〉 관측자료 시계열자료 346
〈그림 5.2-3〉 관측자료 및 실험값 비교 347
〈그림 5.2-4〉 ① 검증실험 348
〈그림 5.2-5〉 ② 검증실험 349
〈그림 5.2-6〉 심해설계파 격자점 및 등수심선도 351
〈그림 5.2-7〉 파향선실험결과(SW, SSW 파향) 352
〈그림 5.2-8〉 심해설계파랑 광역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 354
〈그림 5.2-9〉 바람에 의한 권역 설계파랑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심해설계파랑 중역) 354
〈그림 5.2-10〉 상세역 설계파 실험 계산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 355
〈그림 5.2-11〉 SSW 파향 상세역 실험결과(50년 재현빈도) 356
〈그림 5.2-12〉 SSW 파향 상세역 실험결과(10년 재현빈도) 357
〈그림 5.2-13〉 SSW 파향 상세역 실험결과(50년 재현빈도) 358
〈그림 5.2-14〉 SSW 파향 상세역 실험결과(10년 재현빈도) 359
〈그림 5.2-15〉 NW 파향 상세역 실험결과(50년 재현빈도) 360
〈그림 5.2-16〉 NNW 파향 상세역 실험결과(10년 재현빈도) 361
〈그림 5.2-17〉 NW 파향 상세역 실험결과(50년 재현빈도) 362
〈그림 5.2-18〉 설계파고 산출위치도 363
〈그림 5.3-1〉 상세역 해수유동 실험 수심 및 격자구성 366
〈그림 5.3-2〉 학성방조제 및 보령방조제 홍수유입 위치도 367
〈그림 5.3-3〉 조위, 조류 검증 위치 368
〈그림 5.3-4〉 조위 관측치와 계산치의 시계열 비교 369
〈그림 5.3-5〉 조류 관측치와 계산치의 시계열 비교 370
〈그림 5.3-6〉 대조기 표층 조류 벡터도 372
〈그림 5.3-7〉 소조기 표층 조류 벡터도 372
〈그림 5.3-8〉 사업 전과 후의 대조기 표층 창조유속 비교 373
〈그림 5.3-9〉 사업 전과 후의 대조기 표층 낙조유속 비교 374
〈그림 5.3-10〉 사업 전과 후의 소조기 표층 창조유속 비교 375
〈그림 5.3-11〉 사업 전과 후의 소조기 표층 낙조유속 비교 376
〈그림 5.3-12〉 사업 전과 후의 홍수시 창조유속 비교 377
〈그림 5.3-13〉 사업 전과 후의 홍수시 낙조유속 비교 378
〈그림 5.4-1〉 공사 예정공정표 381
〈그림 5.4-2〉 공사시 부유사 발생지점 382
〈그림 5.4-3〉 Case 1, 1 ppm 이상 부유사 최대 확산 범위 384
〈그림 5.4-4〉 Case 2, 1 ppm 이상 부유사 최대 확산 범위 384
〈그림 5.4-5〉 Case 3, 1 ppm 이상 부유사 최대 확산 범위 385
〈그림 5.4-6〉 Case 4, 1 ppm 이상 부유사 최대 확산 범위 385
〈그림 5.5-1〉 측량 수심도 388
〈그림 5.5-2〉 침퇴적율 산정 결과 388
〈그림 5.5-3〉 연간 침·퇴적율 계산 결과 (사업시행 후) 389
〈그림 5.5-4〉 연감 침·퇴적율 계산 결과 (사업시행으로 인한 연간 침·퇴적변화) 389
〈그림 5.6-1〉 해수교환율 수치모델개요 390
〈그림 5.6-2〉 농도분포 391
〈그림 5.6-3〉 실험안별 해수교환율 변화 392
〈그림 5.7-1〉 실험안별 체절구간 위치도 394
〈그림 5.7-2〉 대조기 최강 유속 분포도(Case-1(체절폭 : 10m)) 395
〈그림 5.7-3〉 대조기 최강 유속 분포도(Case-2(체절폭 : 60m)) 395
〈그림 5.8-1〉 태풍의 Best Track 399
〈그림 5.8-2〉 태풍 BOLAVEN(1215)에 의한 사업대상지 인근 폭풍해일고 분포도 400
〈그림 5.9-1〉 사업대상지 인근 해안침수예상도(200년 빈도 해일고) 404
〈그림 5.9-2〉 폭풍해일에 의한 침수범람도 405
〈그림 7.1-1〉 보령항 준설토 투기장 계획평면도 424
〈그림 7.2-1〉 준설토 투기장 수심 현황도 426
〈그림 7.2-2〉 준설토 투기장 지반조사 위치도 427
〈그림 7.2-3〉 구간별 지반개량 구분도 431
〈그림 7.3-1〉 월파유량 산정도(해저경사 1:30) 435
〈그림 7.3-2〉 H1/20과 H1/3의 비 및 투수지구 (P)(이미지참조) 444
〈그림 7.3-3〉 세굴방지공 형식결정 흐름도 447
〈그림 7.4-1〉 호안 형식 선정 흐름도 460
〈그림 7.4-2〉 상치콘크리트 + 사석경사제 (1안) 467
〈그림 7.4-3〉 상치콘크리트 + 콘크리트 블록 + 사석경사제 + 층다짐 (2안) 467
〈그림 7.4-4〉 상치 콘크리트(2단) + 사석경사제 (3안) 468
〈그림 7.4-5〉 사석경사제 + 증고호안 (4안) 468
〈그림 7.4-6〉 호안 전체계획평면도 470
〈그림 7.4-7〉 북측호안 표준단면도 (강제치환구간) 471
〈그림 7.4-8〉 북측호안 표준단면도 (지반개량구간) 472
〈그림 7.4-9〉 서측호안 표준단면도 (강제치환구간) 473
〈그림 7.4-10〉 서측호안 표준단면도 (지반개량구간) 474
〈그림 7.4-11〉 서측호안 표준단면도 (최종체절구간) 475
〈그림 7.4-12〉 남측호안 표준단면도 (지반개량구간) 476
〈그림 7.4-13〉 남측호안 표준단면도 (무처리구간 1/2) 477
〈그림 7.4-14〉 남측호안 표준단면도 (무처리구간 2/2 478
〈그림 7.4-15〉 북측수로호안 표준단면도 (지반개량구간) 479
〈그림 7.4-16〉 북측수로호안 표준단면도 (임시흄관매립구간) 480
〈그림 7.4-17〉 북측수로호안 표준단면도 (무처리구간) 481
〈그림 7.4-18〉 기존제방보강 A구간 (무처리) 표준단면도 482
〈그림 7.4-19〉 기존제방보강 B구간 (무처리) 표준단면도 483
〈그림 7.4-20〉 사석 Mound 지지력 분포 개념도 487
〈그림 7.5-1〉 지반조사 위치도 495
〈그림 7.5-2〉 지층단면도(북측호안, 북측수로호안) 496
〈그림 7.5-3〉 지층단면도(서측호안(추정) 496
〈그림 7.5-4〉 지층단면도(남측호안, 동측 기존제방 보강구간) 496
〈그림 7.5-5〉 기초처리 필요성 검토 위치도 497
〈그림 7.5-6〉 강제치환 개념도 504
〈그림 7.5-7〉 강제치환 심도 산정 개념도 508
〈그림 7.5-8〉 심층혼합처리 시공 개념도 510
〈그림 7.5-9〉 모래다짐말뚝 개념도 512
〈그림 7.5-10〉 검토단면도 522
〈그림 7.5-11〉 심층혼합처리 지지층(북측호안, 북측수로호안) 523
〈그림 7.5-12〉 심층혼합처리 지지층(서측호안, 남측호안) 524
〈그림 7.5-13〉 대천항 준설토 투기장 525
〈그림 7.5-14〉 대천항 적출장 제거전 현황 525
〈그림 7.5-15〉 마동사토장 위치도 526
〈그림 7.5-16〉 신보령발전본부 및 마동사토장, 진입로 관련현황 527
〈그림 7.5-17〉 기초처리계획 평면도 529
〈그림 7.5-18〉 안정성 검토위치 534
〈그림 7.5-19〉 구간별 대표단면도(1/4) 535
〈그림 7.5-20〉 검토단면도 539
〈그림 7.5-21〉 검토단면도 541
〈그림 7.5-22〉 검토단면도 542
〈그림 7.5-23〉 서측호안(얕은구간) 검토단면도 544
〈그림 7.5-24〉 서측호안(깊은구간) 검토단면도 546
〈그림 7.5-25〉 남측호안(점성토구간) 검토단면도 548
〈그림 7.5-26〉 남측호안(사질토구간) 검토단면도 550
〈그림 7.5-27〉 기존제방보강구간 검토단면도 551
〈그림 7.5-28〉 북측수로호안(사질토구간) 검토단면도 552
〈그림 7.5-29〉 북측수로호안(점성토구간) 검토단면도 554
〈그림 7.6-1〉 액상화 평가 흐름도 571
〈그림 7.6-2〉 현장의 액상화거동과 관입저항의 상관관계 572
〈그림 7.7-1〉 기존도로현황 574
〈그림 7.7-2〉 교통취약구간 위치도 574
〈그림 7.7-3〉 교통표지 설치계획 575
〈그림 7.7-4〉 (공사시) 호안연결로 이용계획 평면도 577
〈그림 7.7-5〉 (공사시) 호안연결로(임시통수관설치) 횡단면도 579
〈그림 7.7-6〉 (공사시) 호안연결로(임시통수관설치) 표준단면도 580
〈그림 7.7-7〉 수치해석 모형구축 582
〈그림 7.7-8〉 호안연결로(통수관) 통과유량 → 최대 홍수량 유출조건 지속기간 120분으로 산정 582
〈그림 7.7-9〉 수로내 수위검토 결과(종단, 횡단, 유량곡선)- 조위영향이 없을 경우 583
〈그림 7.7-10〉 수로내 수익검토 결과(종단, 횡단, 유량곡선)- 약최고고조위 조건 583
〈그림 7.7-11〉 호안연결로 단면 584
〈그림 7.8-1〉 배수계획 평면도 586
〈그림 7.8-2〉 배수Box설치 표준단면도(굴착구간) 589
〈그림 7.8-3〉 배수Box설치 종단면도(남측호안) 589
〈그림 7.8-4〉 배수Box설치 종단면도(남측호안) 590
〈그림 7.8-5〉 종평면도 593
〈그림 7.8-6〉 배수BOX 기초처리계획 596
〈그림 7.8-7〉 배수유역 현황 600
〈그림 7.8-8〉 배수 계획 602
〈그림 7.8-9〉 2차원 수치해석 결과 604
〈그림 7.8-10〉 시간변화에 따른 관거 시점부(제내지 측) 홍수위 산정결과 605
〈그림 7.9-1〉 북측수로 수심도 606
〈그림 7.9-2〉 북측수로굴착 계획평면도 606
〈그림 7.9-3〉 북측수로굴착 표준단면도 (굴착계획고 DL.(+)4.00 저면폭 13m 607
〈그림 7.9-4〉 북측수로굴착 표준단면도 (굴착계획고 DL.(+)3.00 저면폭 18m 607
〈그림 8.1-1〉 오탁방지막 및 공사용등부표 설치계획 평면도 613
〈그림 8.3-1〉 여수토 표준단면도 620
〈그림 8.3-2〉 여수토 평면도 627
〈그림 8.4-1〉 최종체절 계획평면도 630
〈그림 8.4-2〉 2월 조위그래프(연중최소) 631
〈그림 8.4-3〉 7월 조위그래프(연중최대) 631
〈그림 8.4-4〉 최종체절 시공계획도 640
〈그림 8.4-5〉 최종체절 계획평면도 642
〈그림 8.4-6〉 최종체절 표준단면도 643
〈그림 8.5-1〉 대상선박 적재능력 647
〈그림 8.5-2〉 적출장 이용계획 648
〈그림 8.5-3〉 북측 적출장 횡단면도 649
〈그림 8.5-4〉 남측 적출장 횡단면도 650
〈그림 8.6-1〉 공사용 작업장 651
〈그림 8.6-2〉 공사용작업장 평면도 653
〈그림 8.7-1〉 계측관리 흐름도 655
〈그림 8.7-2〉 계측기 설치 평면도 658
〈그림 8.7-3〉 확인지반조사 위치도 660
〈그림 8.8-1〉 세륜세차시설 평면 및 단면도 661
〈그림 8.8-2〉 세륜세차시설 설치 위치도 662
〈그림 8.9-1〉 호퍼준설선 배사관 설치계획 663
〈그림 9.1-1〉 보령항 준설토 투기장 계획평면도 666
〈그림 9.2-1〉 건설계획 수립 흐름도 669
〈그림 9.4-1〉 보령항 준설토 투기장 계획평면도 677
〈그림 9.4-2〉 시공흐름도 67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462603 | 627.2 -18-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462604 | 627.2 -18-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