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문 7
정유재란사 공동연구를 끝내고 _ 조원래(순천대학교 명예교수) 7

제1부 정유재란의 배경과 전쟁의 실상

1592년 임진왜란, 제1차 전쟁이 남긴 것 _ 조원래 13
명·일의 강화교섭과 정유재침 배경 _ 김문자 41
일본군의 재침과 칠천량해전 _ 이민웅 69
정유재란 초기 경상도 지역의 전황과 주요 전투 _ 김강식 91
남원성전투와 전라도 북부지역의 상황 _ 하태규 115
정유재란과 충청도 _ 곽호제 143
명량해전과 연해지역민의 동태 _ 제장명 169
울산성 전투와 조·명연합군의 사로병진작전 _ 이 욱 191
정유재란시기 명군원조 조선정황과 임진시기의 비교 _ 진상생 219
정유재란시 명군의 전략 및 조·명연합작전의 변화 _ 진상생/번역 정립비 251
왜교성전투와 광양만해전 그리고 노량해전 _ 조원래 299

제2부 전쟁의 참상과 조선민중의 수난

히데요시, “전라도를 남김없이 공략하라” _ 조원래 359
정유왜란과 전라도의 민중 _ 북도만차 387
정유재란과 전라도의 민중 _ 북도만차 / 번역 김경태 469
정유재란중 일본군의 점령정책 _ 태전수춘 491
정유재란중 일본군의 점령정책 _ 태전수춘 / 번역 허지은 513
임진·정유재란은 약탈전쟁이다 _ 박제광 537
정유재란에 납치되어 간 조선 사람들 _ 민덕기 575
일본에 끌려간 조선 여성들의 삶 _ 김경태 603
정유재란의 교훈과 역사적 과제 _ 한명기 625

정유재란사 연표

이용현황보기

정유재란사 : 韓中日共同硏究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79524 951.5211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79525 951.5211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중일 학자의 공동연구로 정유재란 7주갑(420년)을 맞이하여
펴낸 정유재란 역사연구서


7년전쟁의 종전 7주갑이 되는 2018년 11월의 노량해전에 맞추어 이 책을 세상에 내놓게 된 것도 참으로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현재의 불안한 동북아의 정세하에서 한반도의 지혜로운 해법을 찾기 위해서라도 임진정유재란을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한중일 학자들이 공동연구에 나섰다. 420여 년 전의 동북아 3국의 국제전쟁이 되풀이되는 것을 막고, 이곳에 공존과 평화의 초석을 놓아야 하겠다는 일념에서다.
더듬어보면 정유재란사는 연구도 미진하였고, 가르치지도 배우지도 않았으며 국민들의 뇌리에서 차츰 잊혀져갔던 역사이기도 하다. 그래서 정유재란을 ‘잊혀진 전쟁’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정유재란기의 전쟁흔적도 차츰 소멸되어가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더 이상 정유재란을 ‘잊혀진 전쟁’으로 방기해서는 안 된다. 정유재란사의 연구와 교육은 물론, 전적지 보존사업 등을 추스려야 한다는 생각으로 관련 역사학자들이 한데 뜻을 모아 먼저 정유재란사를 집필하여 연구논총을 간행하게 되었다. 천만다행히도 순천대학교의 조원래 명예교수께서 연구책임을 맡아 한·중·일 삼국의 전공교수님 15인과 긴밀히 협력, 각 주제별 논문들을 집대성함으로써 오늘의 연구논총을 간행하게 되었다.

| 집필진 |

조원래 (순천대 명예교수)
김문자 (상명대 역사콘텐츠학과 교수)
이민웅 (해군사관학교 교수)
김강식 (한국해양대학교 교수)
하태규 (전북대 사학과 교수)
곽호제 (충남도립대 교수)
제장명 (순천향대 이순신연구소 소장)
이 욱 (순천대 사학과 교수)
진상생 (중국 산동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북도만차 (일본 공립여자대 명예교수)
태전수춘 (일본 녹아도국제대 교수)
박제광 (건국대 박물관 학예연구실장)
민덕기 (청주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김경태 (고려대 CORE사업단 연구교수)
한명기 (명지대 사학과 교수) - (차례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