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몸으로 쓰는 시는 아름답다
개정판에 붙여
움직이는 고정점

Ⅰ. 나의 여로

체육에서 연극으로
이탈리아 체류기
돌아온 파리!
움직임 학교
터전을 찾아서
학교의 여로
새로운 연극 창작을 위하여
영구성 탐구

Ⅱ. 세상과 움직임

백지장
1. 즉흥 연기

언어 이전의 침묵
재연과 연기
연기의 구조를 향하여
중립가면
중립성
여로의 기본요소
자연과 동일화
변형
예술세계로의 접근
시의 본질
무지개 색
단어의 신체
파트너로서의 음악
가면과 반면
연기의 단계
형태 속으로
인물창조
상태, 감정, 정서
장소와 환경
형식의 제한
2. 움직임의 기술
신체구축과 소리훈련
움직임에 의미를 부여하다
드라마틱 아크로바트
신체의 한계성
움직임 분석
일상의 움직임으로부터
자세 잡기
신체행동의 경제성 탐구
자연의 역동성 분석
동물탐구
움직임의 법칙
3. 학생들의 연극
자율창작과 현장탐구

Ⅲ. 창작의 길

연극 영역
1. 몸짓 언어
판토마임에서 그룹마임으로
2. 연극의 주요 영역
멜로드라마
격정적인 감정
코메디아 델라르테
휴먼 코미디
시나리오 초안과 연기 전략
부퐁
미스터리, 그로테스크, 판타스틱
다른 신체
비극
코러스와 영웅
무대균형
대본의 필요성
광대
내 안의 광대를 찾아서
뷔를레스크, 부조리, 코믹 버라이어티
3. 움직임 연구소

새로운 문을 열다

이용현황보기

몸으로 쓰는 시 : 연극 창작을 위한 교육 지침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82586 792.07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82587 792.07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자끄 르꼭은 1956년에 학교를 개설하고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학생들을 지도했다. 현재 전 세계에는 배우, 연출가, 무대미술가, 작가... 그리고 건축가에 이르기까지 그의 가르침을 받고 활동하는 예술가들이 무수히 많다. 그러나 자끄 르꼭은 누구인가? 그는 무엇을 했는가? 그의 교육 목표와 방법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그의 제자인 장 가브리엘 가라소 그리고 장 클로드 랄리아가 자끄 르꼭과 무수한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그렇게 탄생된 결과물이 몸으로 쓰는 시다.

자끄 르꼭은 이 책을 통해 그가 걸어온 학교의 여로?미모다이나믹에서 연극영역까지, 중립가면에서 주요 연극형식(멜로드라마, 코메디아 델라르테, 부퐁, 비극, 광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를 안내한다. 그의 교수법이 어떻게 펼쳐지는지 한발 한발 따라가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