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双赢的未来 : :全球化时代的中国经济 참고문헌: p. 209 Supported by fund for building world-class universities(disciplines) of Renmin University of China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서론
제1부분 숫자와 사실 세계경제 “용과 함께 춤을” 국제화에서의 중국 요소
제2부분 체제와 구조 세계 공장으로서의 중국의 ‘피동성’과 ‘주동성’ 글로벌 시장의 ‘장점’과 ‘단점’ 세계 비즈니스모델에서의 ‘변화’와 ‘불변’
제3부분 패턴과 구조 중국 패턴: ‘성장통’ 구조조절: “꿈은 현실을 비춘다.”
제4부분 불균형과 균형 세계경제의 ‘불균형’과 ‘새로운 균형’
제5부분 중국: 글로벌 협조와 글로벌 거버넌스에 참여 글로벌 거버넌스의 ‘죄’와 ‘벌’ 거버넌스 과정에서의 승부: 중미의 ‘(舍)’와 ‘득(得)’
결론과 전망 "경(競)"과 "합(合)": 글로벌 패턴의 미래 "개(改)"와 "혁(革)": 중국 요소의 미래 "포(包)"와 "용(容)": 세계경제의 미래
참고문헌
이용현황보기
중국과 세계가 함께 승리하는 미래 만들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88931
330.0952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88932
330.0952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06633
330.0952 -19-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세계의 트렌드는 해일처럼 덮쳐온다. 이를 따르는 자는 번성하고, 이를 거스르는 자는 망할 것이다.
최고의 시절이지만 최악의 시절이었다. 지혜의 시대이면서 어리석음의 시대이기도 했다. 믿음의 시대이면서 불신의 시대였다. 빛의 계절이면서 어두움의 계절이었다. 희망의 봄이면서 절망의 겨울이었다. 200년이 지난 현시대는 여전히 디킨스 글과 같은 모순으로 가득한 시대의 교차로에 서 있다. 미래의 높이는 여전히 오늘날에 살고 있는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 중국의 경제발전이 세계에 준 변화는 여러 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우선, 중국 상품은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실제적인 혜택을 가져다주었을 뿐 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서방의 경제발전을 저애하고 있던 ‘침체현상’을 해소 시켜 주었다. 중국의 수출 상품은 세계 각 지역 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낮추어 일반 소비자들에게 복리로 돌아가게 했다.
사회발전의 기초는 경제발전이다. 모든 회생은 경제회복으로부터 시작된다. 오늘날 중국의 경제와 관련한 중국요소를 연구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 중국과 기타 국가들은 어떤 방법으로 세계경제의 발전을 촉진시키고 있는가? 또한 어떤 협력을 통해 세계경제의 불안정한 요소를 없애고 있는가? 이는 각국의 정계 요인, 전문가와 학자, 기업가, 투자자들의 이익과 직접 연관되고 있으며, 모든 사람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경제학은 무미건조한 숫자와 모형만으로 이루어진 학문이 아니다. 생활, 여가, 소비, 체육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경제학의 다채로움을 발견할 수 있다. 올림픽, 월드컵 등 대형 국제 행사는 각국의 경제적 능력을 과시하는 무대이기도 하다. 2011년 남아프리카 월드컵 축구에서 처음으로 선을 보인 중국에서 생산한 부부젤라가 크게 유행된 후 국제 체육대회는 ‘중국산’과 깊은 연을 맺었다.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우리는 중국언어, 중국한자, 중국식당 심지어 중국기업의 광고를 도처에서 볼 수 있었다. 런던올림픽에서 제일 큰 활약을 한 것이 바로 “Made in China”다. 국제올림픽위원회에서 발표한 통계에 의하면 런던올림픽 특허상품의 65%가 중국산이었다. 이 외에도 미국대표단의 유니폼과 개막식에 나타난 ‘이상한’ 베레모는 중국 다롄(大?)에서 생산한 것이고, 영국 올림픽대표단 유니폼은 중국 옌타이(烟台)에서 생산한 것이었다. 이외에도 이란, 카자흐스탄 등 국가에서는 중국 브랜드의 운동 유니폼을 선택했다. 류창춘(??春)이 1932년에 처음으로 중국을 대표하여 올림픽에 참가한 후로부터 2012년 런던 올림픽까지의 80년간 중국의 체육 사업은 천지개벽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는 상전벽해와 같았던 중국경제에게 변화를 주었음을 말해준다. 중국의 경제발전은 세계경제의 트렌드가 되었다. 중국의 경제발전은 중국을 변화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과 기타 국가들은 자국의 장점을 발휘하여 세계의 경제발전에서 서로 분담 협업하고 있다. 국제화 시대에 세계는 “상호 공존하는 하나로 이어진 무역패턴”을 형성했다. 이는 자원의 최적 배분의 결과이다. 하지만 세계적인 경제 생산업무 분담에서 ‘중국산’에 대한 논쟁이 일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산’을 무역 보호주의의 재발현상이라 하는 견해도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