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6 중국경제 무역 및 시장특성 CHAPTER 17 미국경제 무역 및 시장특성 CHAPTER 18 일본경제 무역 및 시장특성 CHAPTER 19 EU경제 무역 및 시장특성 CHAPTER 20 아세안경제 무역 및 통상정책
국문색인 영문색인
이용현황보기
한국무역론 = International trade of Korea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95954
382.0951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5955
382.0951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현대자동차의 소나타, 오리온의 초코파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및 TV, LG 전자의 냉장고 및 TV, 대우조선의 선박, 아모레퍼시픽의 화장품 등은 가격경쟁 력 및 품질경쟁력이 높아서 외국으로 많이 수출되는 상품들이다. 반면에, 일본 도요타의 렉서스 자동차, 미국 애플의 아이폰, 중국의 각종 의류제품, 사우디아 라비아의 원유, 스웨덴의 이케아 가구, 브라질의 커피 등 외국의 우수한 상품들 은 우리나라 소비자가 수입하여 사용한다. 오늘날 선진국, 개도국을 막론하고 세계 각국의 경제체제는 일부 사회주의 국 가를 제외하고는 폐쇄경제(closed economy) 체제가 아닌 개방경제(open economy) 체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상호간 물품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리고 상호간 물품교류를 의미하는 무역은 국민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 을 뿐만 아니라 우리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본 한국무역론은 무역의 개념 등 한국무역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 한국경제 성장의 배경인 한국무역의 전반적인 현황 및 정책, 한국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무역환경, 그리고 우리나라의 해외시장인 주요국 경제 무역 및 시장특성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무역에 대하여 이론적인 관 점보다는 일반인들도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실천적이고 실무적인 관점 에서 서술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IMF, WTO, UNCTAD 등 국제기구에서 발표하는 경제.무역통계 데이터베 이스 및 연차 리포트와 한국무역협회(KIT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 국은행(BOK) 등 국내 자료를 활용하여 무역실무자 입장에서 비교적 평이한 문 체로 서술하였다. 이는 다른 한국무역론 교재와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부분으로 이 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한국무역론은 한국무역과 관련하여 이론과 실무를 갖춘 저자들에 의해 작성되었다. 저자들은 대학에서 다년간 무역관련 과목을 강의해 왔으며, 관련 학회에서 임원 및 회장으로 활동한 경력을 갖고 있다. 또한 저자들은 한국은행, 무역위원회, 한국무역협회 등 우리나라의 핵심적인 무역관련 기관에서 다양한 실무 경력을 쌓았음을 밝힌다. 이 책은 2012년 초판 발행, 2015년 제2판 발행에 이어, 이번에 2019년 개정 판인 제3판 발행으로 이어졌다. 지구촌의 변화무쌍한 경제 및 무역 환경, 해가 바뀌어 업데이트되는 무역관련 통계(Database) 및 해외시장정보를 새롭게 반영 하였다. 개정판이 세 번째 이루어지고 있는바, 독자들에게 좀 더 유익하고 참신 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이 책은 PART 01 한국무역론 기초, PART 02 한국무역현황 및 정책, PART 03 글로벌 무역환경, PART 04 주요국경제 무역 및 시장특성 등 4개 PART로 구 성되어 있다. 각 PART는 각각 5개의 CHAPTER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CHAPTER 말미에 Keyword와 Exercise를 두었다. 각 PART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PART 01은 한국무역론 기초 부문으로, 무역의 개념 및 트렌드, 경제성장과 무역, 한국무역 및 한국경제의 성장과정, 세계시장 분석, 세계무역 운송루트 등 5개의 CHAPTER로 구성되어 있다. PART 02는 한국무역현황 및 정책 부문으로, 한국무역 동향분석, 한국무역의 트렌드 변화, 한국의 국제수지, 남북교역현황, 한국무역관리제도 등 5개의 CHAPTER로 구성되어 있다. PART 03은 글로벌 무 역환경 부문으로, GATT/WTO, 지역무역협정, FDI, 글로벌기업, 국제환율 등 5개의 CHAPTER로 구성되어 있다. PART 04는 주요국경제 무역 및 시장특성 부문으로, 중국경제 무역 및 시장특성, 미국경제 무역 및 시장특성, 일본경제 무 역 및 시장특성, EU경제 무역 및 시장특성, 아세안경제 무역 및 시장특성 등 5개의 CHAPTER로 구성되어 있다. 끝으로 본 "한국무역론" 제3판 간행 작업에서 기획부터 편집에 이르기까지 성심 성의껏 도와주신 박영사 임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이 책이 한국무역을 공부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