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도감 : 우리나라에 사는 곤충 144종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97072
595.7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7073
595.7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곤충 도감이자 곤충 백과사전! 지구 위에 살고 있는 동물은 140만 종쯤 되는데 그 가운데 곤충이 100만 종쯤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곤충이 3만 종쯤 살고 그 가운데 이름이 알려진 것은 1만2천 종도 안 된다. 이 땅에 살고 있는 곤충들은 오랜 세월 동안 기후나 풍토에 맞게 적응하며 살아온 것들이다. 세밀화로 그린 보리 큰도감 《곤충 도감》에는 토박이 곤충 144종을 담았다. 이 곤충들은 우리 둘레에서 흔하게 볼 수 있고, 오랫동안 우리 겨레와 함께 살아온 것들이다. 명주실을 얻으려고 기르는 누에나 꿀을 얻으려고 기르는 꿀벌, 배춧잎을 갉아 먹는 배추벌레, 벼에 붙어 즙을 빠는 벼멸구, 사람 피를 빠는 모기나 이, 벼룩 같은 곤충이다. 노랑나비나 방아깨비처럼 옛 그림에도 나오는 친숙한 곤충들도 담았다. 이 책을 보면 곤충의 생김새나 한살이뿐 아니라 이 곤충들이 우리 겨레와 어떤 인연을 맺고 어우러져 살아왔는지에 대해서도 두루 알 수 있다. ‘곤충의 분류’와 같은 깊이 있는 정보도 다루었다. 곤충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이 책 한 권에서 골고루 알 수 있을 것이다.
❙곤충 도감 톺아보기 《곤충 도감》은 본문을 크게 3갈래로 나누었다. ‘우리 겨레와 곤충’에는 곤충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할 기본 정보부터 담았다. ‘산과 들에 사는 곤충’에는 곤충을 분류 차례대로 싣고, 곤충 한 종 한 종에 대한 자세한 설명 글과 세밀화를 실었다. 어떤 먹이를 먹고, 어디에 사는지, 어떻게 생겼는지, 특징은 무엇인지, 무리에는 어떤 곤충들이 있는지 두루 알 수 있다. 곤충의 온 모습을 그린 세밀화 옆에는 다양한 생태 그림을 덧붙였다. 정보 상자를 두어 몸 크기, 많이 나타나는 때, 먹이, 한살이도 한눈에 알 수 있게 하였다. ‘더 알아보기’에는 곤충의 분류에 대해서 깊이 있게 다뤘다. 곤충 분류는 왜 하는지, 어떻게 하는지, 곤충의 목별 특징은 무엇인지 밝혀 놓았다. 또한 곤충을 여러 가지 이름으로 찾아보기 쉽게 ‘우리 이름 찾아보기’, ‘학명 찾아보기’, ‘분류 찾아보기’도 덧붙였다.
❙곤충을 취재하고 기르며 꼼꼼하게 기록한 곤충 도감 《곤충 도감》은 자연이 망가지지 않고 남아 있는 곳을 찾아 살아 있는 곤충을 찾고, 그 곤충이 있는 환경까지 세세하게 관찰하고 취재하여 꼼꼼하게 그렸다. ‘쉬파리’ 편에는 된장에 생긴 구더기와 번데기, 번데기에서 나오는 어른벌레 그림이 들어 있는데, 화가가 파리를 기르면서 보고 그린 것이다. 이 밖에 누에나방 암컷과 넓적사슴벌레, 왕오색나비 들도 화가가 집에 먹이식물을 두고 직접 키우면서 그렸다. 세밀화는 생명체를 가장 온전하게 담아내는 그림이다. 한 곳에 초점을 맞추는 사진과 달리 사람이 직접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전해 준다. 곤충 한 마리의 모습이 다 보이면서도 발톱이나 더듬이, 홑눈, 겹눈, 입같이 섬세한 부분도 또렷이 드러난다. 날개맥은 어떻게 생겼는지, 딱지날개에 어떤 무늬가 있는지, 몸에 털이 있는지 같은 섬세한 특징까지도 한눈에 보인다. 또한 곤충의 알과 애벌레, 번데기 모습, 짝짓기 하는 모습, 먹이를 잡아먹는 모습, 허물을 벗는 모습, 겨울잠을 자는 모습도 두루 담아 곤충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정성껏 그린 세밀화 한 장에는 사진 수십 장에 담긴 정보보다 많은 정보가 들어 있다. 세밀화는 아름다울 뿐 아니라 살아있는 생명체가 가진 따뜻함이나 생기를 그대로 담고 있다.
❙우리 땅에 터를 잡고 사는 곤충을 쉬운 풀이, 풍부한 이야기로 담아낸 곤충 도감 《곤충 도감》은 풀이가 쉬워서 이야기책처럼 술술 읽힌다. 어려운 한자말은 쉬운 우리말로 풀어 썼다. 곤충과 사람은 오랜 세월 함께 살아왔기 때문에 그동안 곤충과 사람이 맺어온 인연과 이야기만으로도 좋은 정보가 된다. 꿀벌에는 꿀벌이 꿀을 모으는 특징과 사람들이 벌을 치는 이야기를 담고, 수천 년 동안 길러온 누에나방에는 누에치기와 약재로 쓰는 이야기를 담았다. 우리 겨레에게는 꿀벌을 쳐서 꿀을 따고, 누에를 쳐서 명주실을 얻고 비단을 짜는 일이 아주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풍부한 이야기는 전문가가 글로 쓰거나 말로 한 것도 있지만, 농사를 짓는 분들이나 나이든 분들, 어릴 때 농촌에서 자란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왔다. 예전에 물이 맑고 오염이 덜 되었을 때는 아이들이 여름밤이면 논이나 개울에서 '반딧불이'를 잡아 가지고 놀았다고 한다. 이런 이야기를 듣고 '반딧불이는 느리게 날아서 아이들도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물방개는 잡아먹기도 해서 ‘쌀방개’라 한다는 것도, 땅강아지가 많이 다니는 곳은 팥고물처럼 흙이 부슬부슬해진다는 것도 다 이야기를 듣고 쓴 것이다. 이처럼 꼭 다뤄야 하는 곤충의 생김새나 특징, 한살이 같은 내용뿐 아니라 곤충과 사람이 어우러져 살면서 생긴 이야기들도 함께 실어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하였다.
❙세밀화로 그린 《곤충 도감》(2002)의 개정증보판 《곤충 도감-세밀화로 그린 보리 큰도감》 세밀화로 그린 보리 큰도감 《곤충 도감》은 2002년에 보리가 도토리 어린이도감으로 낸 《세밀화로 그린 곤충 도감》의 개정증보판이다. 초판 《세밀화로 그린 곤충 도감》은 2002년 한국과학문화재단 우수과학도서 선정되어 이미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큰도감으로 개정하면서 우리 둘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곤충인데 빠져 있던 어리장수잠자리, 홍줄노린재, 넓적사슴벌레, 우리목하늘소, 왕벼룩잎벌레, 밤나무산누에나방, 얼룩나방, 왕오색나비 8종의 정보를 추가하였다. 어른벌레를 기본으로 넣고 애벌레나 생태 그림을 보조 그림으로 써서 풍성함을 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