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총괄 6

요약 3

Ⅰ. 서론 7

1. 사업배경 및 필요성 7

2. 사업목표 9

3. 사업내용 9

Ⅱ. 연구 방법 11

1. 조사지역 및 조사일자 11

2. 조사업무 분장 12

3. 조사 방법 13

Ⅲ. 결과 15

1. 분야별 주요 결과 15

Ⅳ. 결론 16

Ⅴ. 제안사항 17

조사결과 19

독도의 관속식물 20

1. 서론 21

2. 재료 및 방법 22

3. 결과 23

4. 논의 및 고찰 34

5. 참고문헌 36

[부록 1] 독도의 관속식물 목록 38

독도의 식생 및 외부유입종 44

1. 서론 45

2. 재료 및 방법 45

3. 조사결과 45

4.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0

독도의 육상곤충 61

1. 서론 62

2. 재료 및 방법 62

3. 모니터링 결과 66

4. 고찰 및 관리방안 71

5. 참고문헌 73

[부록 1] 2018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조사 종목록 76

[부록 2] 독도 육상곤충 총 종목록(1981~2018) 80

독도의 철새 도래지로서의 기능과 조류상 91

1. 서론 92

2. 조사지역 및 방법 93

3. 조사결과 94

4. 결론 및 토의 110

5. 문제점 및 제언 111

6. 참고문헌 114

[부록 1] 조사 조류사진 115

[부록 2] 조류목록 119

독도의 포유류 126

1. 서론 127

2. 재료 및 방법 127

3. 조사 결과 130

4. 논의 및 고찰 141

5. 참고문헌 144

[부록] 현지 조사 사진 145

[부록 1] 울릉도 생태계 변화관찰 151

울릉도 성인봉 생태계변화관찰 결과보고서(조류) 152

울릉도 성인봉 생태계변화관찰 결과보고서(식생) 161

판권기 178

표목차

총괄 11

〈표 1〉 조사일정 및 조사지역 11

〈표 2〉 조사업무 분장 인원 12

조사결과 24

독도의 관속식물 24

표 1. 1차 조사 식물목록 24

표 2. 2차 조사 식물목록 25

표 3. 3차 조사 식물목록 27

표 4. 독도의 고유종 목록 28

표 5. 독도의 식물구계학적 특정 등급종 목록 31

표 6. 독도의 귀화식물 목록 32

표 7. 독도 관속식물 연도별 변화 33

독도의 식생 및 외부유입종 51

〈표 1〉 독도의 주요 우점군락형 51

〈표 2〉 독도의 식재현황 54

독도의 육상곤충 63

표 1. 독도 조사 일정 및 방법 63

표 2. 조사시기별 출현종 66

표 3. 독도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67

독도의 철새 도래지로서의 기능과 조류상 96

〈표 1〉 독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2018년 1차~3차 종합) 96

〈표 2〉 1차 조사 시에 관찰된 조류 목록 100

〈표 3〉 2차 조사 시에 관찰된 조류 목록 102

〈표 4〉 독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2017년 3차 조사) 104

〈표 5〉 독도에서 관찰된 법정보호종 목록 107

독도의 포유류 128

표 1. 조사 일정 및 주요 조사 내용 128

표 3. 조사시기별 집쥐의 배설물 좌표수와 팰릿수 139

표 4. 선행연구결과 확인된 포유류 목록 140

그림목차

총괄 11

〈그림 1〉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조사경로 11

조사결과 22

독도의 관속식물 22

그림 1. 조사 경로 22

그림 2. 독도 관속식물 과별 구성 23

그림 3. 독도의 고유종(A. 섬초롱꽃 B. 섬기린초, C. 섬괴불나무) 29

그림 4. 독도의 식물구계학적 특정 등급종 30

그림 5. 독도의 귀화식물 (A. 흰명아주, B. 큰방가지똥, C. 갓, D. 큰이삭풀, E. 방가지똥) 32

그림 6. 독도의 관속식물상 연도별 변화 33

독도의 식생 및 외부유입종 46

〈그림 1〉 관찰지점도(좌:서도, 우:동도) 46

〈그림 2〉 독도의 현존식생도 52

〈그림 3〉 주요 식물군락형 52

〈그림 4〉 식재지 일원의 현황 55

〈그림 5〉 외부 유입식물 57

〈그림 6〉 섬괴불나무 식재지 일원의 개쑥갓 출현지역 변화 58

독도의 육상곤충 63

그림 1. 조사경로 63

그림 2. 육상곤충 채집법 63

그림 3. 조사지역 서식환경 64

그림 4. 표본 제작 및 동정방법 65

그림 5. 분류군별 출현 비율 67

그림 6. 동도(위) 및 서도(아래)에 서식하는 분류군별 종수 비율 68

그림 7. 육상곤충 출현 종 사진(1차조사) 69

그림 8. 육상곤충 출현 종 사진(2차) 70

그림 9. 육상곤충 출현 종 사진(3차) 71

독도의 철새 도래지로서의 기능과 조류상 93

(그림 1.) 조사지역 93

(그림 2.) 조사시기별 관찰 종수 및 개체수(2018년) 95

(그림 3.) 현재까지 독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 106

(그림 4.) 법정보호종 관찰 위치도 108

독도의 포유류 130

그림 1. 조사지역 및 조사 경로도 130

그림 2. 1차조사시 독도에서 확인된 포유류 흔적지점(5월) 132

그림 3. 2차조사시 독도에서 확인된 포유류 흔적지점(7월) 133

그림 4. 3차조사시 독도에서 확인된 포유류 흔적지점(11월) 134

그림 5. 커널밀도의 비교 (2015년~2018년) 136

그림 6. 집쥐의 월별 센서카메라 포착 횟수 137

그림 7. 집쥐의 시간대별 센서카메라 포착 횟수 138

부록표목차

〈표 1〉 조사 시에 관찰된 종 목록 155

부록그림목차

울릉도 성인봉 생태계변화관찰 결과보고서(조류) 157

그림 1. 울릉 성인봉지역 우점종 및 서식형태별 종의 비율 157

그림 2. 울릉 성인봉지역에서 관찰된 종사진 158

울릉도 성인봉 생태계변화관찰 결과보고서(식생) 163

그림 1. 울릉 성인봉지역 조사구별 현황 163

그림 2. 울릉 성인봉지역 조사구별 식피율 163

이용현황보기

(2018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13059 독도 577.52 -19-3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 3층) 이용가능
0002513060 독도 577.52 -19-3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 3층)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