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Changing Lenses : restorative justice for our times (25th anniversary ed.) 부록: 에세이 ; 그룹스터디와 강의 제안 ; 그룹스터디 자료 외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편집자 일러두기 추천사 머리말 25주년 기념판 서문 25주년기념 한국어판 서문 초판 한국어 서문 역자 해제 감사의 글
제1부 범죄경험 제1장 에피소드 제2장 피해자 제3장 가해자 제4장 공통의 주제
제2부 사법 패러다임 제5장 응보적 사법 제6장 패러다임으로서 사법제
3부 정의의 뿌리와 표지 제7장 공동체 사법 : 역사적 대안 제8장 언약법: 성서적 대안 제9장 피해자 -가해자 화해 프로그램
제4부 새로운 렌즈 제10장 회복적 렌즈 제11장 회복적 시스템의 실행 제12장 회복적 사법, 25년 후의 성찰
부록자료 에세이 그룹스터디와 강의 제안 그룹스터디 자료 참고문헌 평론
깨어진 관계에서 피어나는 희망의 씨앗, 회복적 정의 한국 회복적 사법 모델 개발 프로젝트 한국의 피해자-가해자 대화모임, 무엇을 배웠는가?
이용현황보기
우리 시대의 회복적 정의 : 범죄와 정의에 대한 새로운 접근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09803
364.68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09804
364.68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86078
364.68 -19-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회복적 정의(사법)의 아버지 하워드 제어의 25주년 기념개정판 25년 전 생소했던 이 개념이 어떻게 클래식이 되었는가? 회복적 정의는 징벌과 응보 위주의 사법제체가 아니라 피해자의 상처와 고통을 치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법 시스템으로의 변화를 촉구하는 운동이다. 이는 비단 사법체제만이 아니라 한 사회에서 정의를 제대로 세워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개인과 사회가 가진 렌즈를 바꾸는 일은 정의를 회복하는 첫 단추이자 꼭 궤어야 할 과정이기도 하다.
<한국어판 서문 중에서> ..... 실제로 사법에 대한 회복적 접근은 응보적 접근에 비해 훨씬 더 보편적이며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회복적 접근은 범죄로 인한 피해와 그에 따른 요구 그리고 책임과 의무를 강조함으로써 그 초점을 배상에 더 치우치게 한다. 피해자의 요구와 권리는 더 이상 주변에 있지 않고 문제해결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가해자는 자기가 야기한 손해를 이해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장려된다. 방식에서도 당사자들의 참여와 대화가 장려되고, 공동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회복적 접근은 사법이 개인과 사회의 치유를 촉진할 수 있고, 촉진해야 한다고 전제한다. 다시 말해 전체적 관점이 보복 중심적이 아니라 요구 중심적이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주장은 단순하다. “어떤 법이 위반되었는가? 누가 위반하였는가? 어떤 형벌이 마땅한가?” 등 기존 사법제도의 근간이 되는 질문에 초점을 맞추는 이상 진정한 의미에서 정의를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진정한 정의는 “누가 상처 입었는가? 그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이것은 누구의 의무이고 책임인가? 이러한 상황에 누가 관여해야 하는가? 어떤 절차를 통하여 해법을 찾을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을 요구한다. 범죄에 대한 회복적 접근(회복적 사법)은 우리에게 렌즈뿐만 아니라 질문까지 바꿀 것을 요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