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문화유산헌장
원색화보
목차
Ⅰ. 실측조사 개요 59
1. 조사 일반 61
1) 과업명 61
2) 과업 대상 61
3) 과업 목적 61
4) 과업 내용 61
2 조사 지침 61
1) 지료 조사 61
2) 고증 조사 62
3) 현황 조사 62
3. 조사 방법 63
1) 용역 수행절차 63
2) 조사 방법 63
4.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현상변경 허용 기준 76
1) 보호구역 지정 현황 76
2) 건축허용 기준 77
5. 사업 연혁 78
6. 자문 회의 79
1) 기술지도회의 79
2) 보고서 감수 80
7. 추진일정 및 관계자 81
1) 추진 일정 81
2) 보고서 발간 및 관계자 81
Ⅱ. 익산지역 일반현황 83
1. 익산시 일반현황 85
1) 자연환경 85
2) 인문환경 88
2. 금마면(金馬面) 일반현황 98
1) 역사적 변천 98
2) 인문환경 99
3) 문화유적 99
Ⅲ.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109
1. 관련사료 111
1) 문헌사료 111
2) 도상사료 119
3) 괸련 기록물 125
2. 익산 고도리 석불입상의 양식적 특성과 조성시기 / 정성권 127
1) 머리말 127
2) 고도리 석불입상의 양식적 특성 127
3) 고도리 석불입상의 조성시기 149
4) 맺음말 158
3. 비보풍수와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 김두규 160
1) 비보풍수 개념과 유래 160
2) 전국에 산재하는 비보풍수로서의 석조여래입상 166
3)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과 비보풍수 168
Ⅳ. 정밀실측조사 177
1. 현황 179
1) 배치 179
2) 시설물 현황 190
2. 석조여래입상 각부실측 193
1) 석조여래입상 193
2) 동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비교 221
3) 석비(쌍석불중건비) 223
3. 보존과학 조사 및 연구 227
1) 개요 227
2) 조사연구 기기 및 현장조사 사진 227
3) 조사연구 결과 229
4) 고찰 245
5) 결론 251
4. 정밀안전진단 253
Ⅴ. 종합고찰 255
1. 건립연대 추정 257
1) 양식적 고찰 257
2) 비보풍수적 고찰 258
3) 결론 259
2. 보존 상태 260
1) 현황 상태 260
2) 추후 권장 조치 261
부록 263
실측도면 265
3D 스캔 303
참고문헌 315
판권기 317
[그림1.1.] 3차원 스캐너 67
[그림1.2.] 접촉식 스캐너 68
[그림1.3.] TOF & Phase-Based 69
[그림1.4.] Triangulation 69
[그림1.5.] Structured Light 69
[그림1.6.] 데이터 정합 과정 69
[그림1.7.] 3D 데이터 정합 72
[그림1.8.] 노이즈 제거 및 모델링 72
[그림1.9.] 고도리석조여래입상 주변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지정 현황 76
[그림1.10.] 고도리석조여래입상 주변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확대 76
[그림2.1.] 익산시 행정지도 86
[그림2.2.] 익산지역의 옛지도(대동여지도) 87
[그림2.3.] 익산군 옛지도 87
[그림2.4.] 청구도-익산 부근(1834년) 90
[그림2.5.] 동여도-익산 부근(1850년 대) 90
[그림2.6.] 대동여지도-익산 부근(1861년) 91
[그림2.7.] 청구요람-익산 부근(1895년) 91
[그림2.8.] 익산군 금마·왕궁면 지형도 92
[그림2.9.] 금마면 행정지도 97
[그림3.1.] 1934년 5월 3일자 동아일보 조간신문 2면 118
[그림3.2.] 해동지도-익산군(1750년대 초) 120
[그림3.2.] 비변사 안 방안지도-익산군(18세기 중) 120
[그림3.4.] 여지도-익산군(1795년 이전) 120
[그림3.5.] 광여도-익산군(19세기 초) 120
[그림3.6.] 조선후기 지방지도-익산군(1872년) 121
[그림3.7.] 일제강점기 익산군 부근 지형도 122
[그림3.8.] 『조선고적도보』 125
[그림3.9.] 경주 탑곡 마애불 보개 134
[그림3.10.] 면복 설명도 136
[그림3.11.] 익산군지도(1872년) 157
[그림3.11.] 익산군지도(고도리 석불 표시 부분) 157
[그림3.12.] 1872년에 제작된 익산군 지방도에는 고도리 雙石佛이 표기되어 있다 174
[그림4.1.] 동측 석조여래입상의 좌측면 열화상 사진 232
[그림4.2.] 동측 석조여래입상의 우측면 열화상 사진 233
[그림4.3.] 서측 석조여래입상의 좌측면 열화상 사진 234
[그림4.4.] 서측 석조여래입상의 우측면 열화상 사진 235
[그림4.5.] 동석조여래입상 훼손도 236
[그림4.6.] 서석조여래입상 훼손도 236
[그림4.7.] 동석조여 래입상 초음파속도 물성 등급(좌)과 풍화지수 등급(우) 238
[그림4.8.] 서석조여래입상 초음파속도 물성 등급(좌)과 풍화지수 등급(우) 238
[그림4.9.] 동측 석조여래입상의 물성분포도 239
[그림4.10.] 서측 석조여래입상의 물성분포도 240
[그림4.11.] 암석시편의 편광현미경 사진 242
[그림4.12.] 암석시료의 XRD 분석 결과 243
[그림4.13.] 암석시료의 XRF 분석 그래프 244
[그림4.14.] 미륵사 주변 지형도 및 지질도 246
[그림4.15.] 미록산 채석흔적 조사지역과 유형 구분 248
[그림4.16.] 미륵산의 전암미세대자율 분포 250
[그림4.17.] 석영-칼륨장석-사장석의 삼각도(○ : 동·서 석조여래입상) 251
[사진1.1.] 수평규준틀 설치 65
[사진1.2.] 3D 스캔 작업 71
[사진1.3.] 수작업 정밀실측 73
[사진2.1.] 미륵사지 석탑 전경 100
[사진2.2.] 미륵사지 당간지주 101
[사진2.3.] 익산 토성 102
[사진2.4.] 익산 미륵사지 104
[사진2.5.] 익산 미륵산성 105
[사진2.6.] 익산 백제토기도요지 106
[사진2.7.] 익산 향교 대성 전 107
[사진3.1.] 비석 정면 탁본(2018년 7월) 112
[사진3.2.] 비석 배면 탁본(2018년 7월) 113
[사진3.3.] 1954년 금마면 부근 항공사진(점선안: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123
[사진3.4.] 1954년 금마면 부근 항공사진 중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부위 확대 123
[사진3.5.] 1989년 금마면 부근(고도리 석조여래입상) 항공사진 124
[사진3.6.] 『조선고적도보』의 고도리 동석조여래입상 125
[사진3.7.] 고도리 동석조여래입상 126
[사진3.8.] 고도리 서석조여래입상 126
[사진3.9.] 거창 양평동 석불입상 130
[사진3.10.] 구미 황상동 마애불 130
[사진3.11.] 안성 대농리 석불입상 130
[사진3.12.] 홍성 신경리 마애불 130
[사진3.13.] 강릉 신복사지 공양상 130
[사진3.14.] 충주 원평리 석불입상 130
[사진3.15.] 장성 원덕리 석불입상 133
[사진3.16.] 김제 금동판물좌상 보개 134
[사진3.17.] 창녕 탑금당치성문기비 134
[사진3.18.] 부여 대조사 석불입상 전경 136
[사진3.19.] 안성 매산리 석불입상 137
[사진3.20.] 안성 매산리 석불입상의 면류관형 보개 137
[사진3.21.] 안성 아양동 석불입상 137
[사진3.22.] 이천 어석리 석불입상 139
[사진3.23.] 이천 태평흥국명 마애보살좌상 보개 139
[사진3.24.] 여주 포초골 석불좌상 보개 139
[사진3.25.] 안양 망해암 석불입상 140
[사진3.26.] 수원 파장동 석불입상 140
[사진3.27.] 양평 불곡리 석불입상 140
[사진3.28.] 익산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배면) 140
[사진3.29.] 익산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전면) 140
[사진3.30.] 익산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140
[사진3.31.] 안성 매산리 석조보살입상 143
[사진3.32.] 원주 봉산동 석조보살입상 143
[사진3.33.] 안성 매산리 석조보살입상 측면 144
[사진3.34.] 원주 봉산동 석조보살입상 144
[사진3.35.] 안성 매산리 석조보살입상 145
[사진3.36.] 논산 관촉사 석조보살입상 145
[사진3.37.] 부여 대조사 석조보살입상 145
[사진3.38.] 포천 구읍리 석조보살입상 146
[사진3.39.] 당진 안국사지 석조보살입상 146
[사진3.40.]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146
[사진3.41.]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150
[사진3.42.]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원형보개 150
[사진3.43.]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방형보개 150
[사진3.44.] 익산 고도리 석조보살입상 방형보개 150
[사진3.45.] 복신미륵(동자복) 152
[사진3.46.] 복신미륵(서자복) 152
[사진3.47.] 제주도 대정현성 돌하르방 153
[사진3.48.] 제주도 정의현성 돌하르방 153
[사진3.49.] 인릉(구 영릉) 문석인 156
[사진3.50.] 화성 오산리 석불입상 156
[사진3.51.] 익산 고도리 석불입상 156
[사진3.52.] 전형적인 비보풍수인 예산 "상가리미륵불" 167
[사진3.53.] "상가리 미륵불"이 비보를 하였던 가야사 절터·남연군묘 167
[사진3.54.] 고창읍 하거리 "할아버지당"은 석불을 연상시킨다. 전형적인 비보풍수이다 168
[사진3.55.] "할아버지당" 옆에 세워진 비석은 이것이 고창읍내 수구막이임을 밝혀준다 168
[사진3.56.]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후면에 세워진 중 건 비 172
[사진3.57.] 고도리 석조여래입상이 비보풍수임을 설명하는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중건비 전면 172
[사진3.58.] 중건비 후면 172
[사진3.59.]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에서 비닐하우스 건너편에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이 희미하게 보인다. 비닐하우스 부분의 水口인데 벌어져 이곳을 비보하게 위하여 쌍석불이 세워졌다 173
[사진3.60.] 서울 000타워의 비보풍수. 코끼리가 모두 서쪽을 향한다, 2018년 175
[사진3.61.] 포항 송라면 중산마을 비보풍수: 두 마리 돼지가 모두 산을 보고 있다 175
[사진4.1.] 남쪽에서 바라본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179
[사진4.2.] 서쪽에서 바라본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179
[사진4.3.] 위에서 내려다 본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179
[사진4.4.] 위에서 내려다 본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179
[사진4.5.] 동고도리 석불입상 둔덕과 그 주변 181
[사진4.6.] 서쪽에서 바라본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185
[사진4.7.] 동쪽에서 바라본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185
[사진4.8.]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주변원형 경계석 185
[사진4.9.]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주변원형 경계석 185
[사진4.10.] 서고도리 석불입상 둔덕과 그 주변 186
[사진4.11.]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안내판 190
[사진4.12.]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안내판 190
[사진4.13.]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보호펜스 전경 190
[사진4.14.]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보호펜스 상세 190
[사진4.15.] 보호구역 경계선에 조성된 배수시설1 191
[사진4.16.] 보호구역 경계선에 조성된 배수시설2 191
[사진4.17.] 원형 관람로 주변 관목(꽝꽝나무) 191
[사진4.18.] 원형 관람로 외부 녹지 내 관목(눈주목) 191
[사진4.19.] 녹지 내 벤치 192
[사진4.20.] 녹지 내 파고라와 벤치 192
[사진4.21.]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조명 192
[사진4.22.]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동측면 193
[사진4.23.]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서측면 193
[사진4.24.]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남측면 193
[사진4.25.]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북측면 193
[사진4.26.]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보개의 서측면 194
[사진4.27.]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보개 상부면 194
[사진4.28.]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의 북동쪽 보개 모서리 풍경 설치홈 194
[사진4.29.]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의 남동쪽 보개 모서리 풍경 설치홈 194
[사진4.30.]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의 관과 보개 결구부(북동쪽) 195
[사진4.31.]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의 관과 보개 결구부(남동쪽) 195
[사진4.32.]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동측면 196
[사진4.33.]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서측면 196
[사진4.34.]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남측면 197
[사진4.35.]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북측면 197
[사진4.36.]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불두 198
[사진4.37.]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몸통 198
[사진4.38.]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대좌와 배례석 206
[사진4.39.]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동측면 207
[사진4.40.]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서측면 207
[사진4.41.]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남측면 207
[사진4.42.]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북측면 207
[사진4.43.]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보개의 동측면 208
[사진4.44.]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보개의 북측면 208
[사진4.45.]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보개의 동측면 하부 209
[사진4.46.]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보개의 서측면 하부 209
[사진4.47.]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보개의 남측면 하부 209
[사진4.48.]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보개의 북측면 하부 209
[사진4.49.]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동측면 210
[사진4.50.]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서측면 210
[사진4.51.]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남측면 218
[사진4.52.]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북측면 218
[사진4.53.]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불두 219
[사진4.54.]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몸통 219
[사진4.55.]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대좌 220
[사진4.56.]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배례석 220
[사진4.57.]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후면의 석비 남측면 224
[사진4.58.]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후면의 석비 동측면 224
[사진4.59.] 석비 남측면 224
[사진4.60.] 석비 북측면 224
[사진4.61.] 현장조사 및 분석조사 기기 228
[사진4.62.] 미륵산 현장 조사 228
[사진4.63.] 동측 석조여래입상의 손상 현황 사진 230
[사진4.64.] 서측 석조여래입상의 손상 현황 사진 231
[사진4.65.] 암석 분석 시료 241
[사진4.66.] A,B는 미륵산 노두(outcrop) 구조선 발달상이며, C,D는 서남능선의 발달한 거정질 세맥 및 남쪽 능선의 애플라이트(Aplite)세맥 247
[사진5.1.]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주변 비닐하우스 원경 260
[사진5.2.]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주변 비닐하우스 근경 260
[사진5.3.]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주변 비닐하우스 261
[사진5.4.] 연결다리 주변 비닐하우스 261
[사진5.5.]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남쪽의 가설창고 261
[사진5.6.]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남쪽의 간이화장실 261
[도면1.1.]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기준점(CP01, CP02, CP03, CP04) 위치 64
[도면1.2.]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기준점(CP05, CP06, CP07, CP08) 위치 65
[도면4.1.] 전체 배치도 180
[도면4.2.]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부분배치도 180
[도면4.3.]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 동측면도 182
[도면4.4.]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 서측면도 182
[도면4.5.]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 남측면도 183
[도면4.6.]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 북측면도 183
[도면4.7.]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 종단면도 184
[도면4.8.]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 횡단면도 184
[도면4.9.]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부분배치도 186
[도면4.10.]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동측면도 187
[도면4.11.]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서측면도 187
[도면4.12.]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남측면도 188
[도면4.13.]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북측면도 188
[도면4.14.]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종단면도 189
[도면4.15.]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영역횡단면도 189
[도면4.16.]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보개와 배례석 평면도 195
[도면4.17.]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서측면도 199
[도면4.18.]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남측면도 200
[도면4.19.]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북측면도 201
[도면4.20.]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동측면도 202
[도면4.21.]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종단면도 203
[도면4.22.]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횡단면도 204
[도면4.23.] 동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부위별 평면도 205
[도면4.24.]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평면도 208
[도면4.25.]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동측면도 211
[도면4.26.]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남측면도 212
[도면4.27.]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북측면도 213
[도면4.28.]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서측면도 214
[도면4.29.]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종단면도 215
[도면4.30.]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횡단면도 216
[도면4.31.] 서고도리 석조여래입상 부위별 평면도 217
[도면4.32.] 쌍석불중건비 입면도 225
[도면4.33.] 쌍석불중건비 평면 및 단면도 22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519296 | 951.98209 -19-1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519297 | 951.98209 -19-1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