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8
1. 보고서의 배경 및 목적 10
2. 보고서의 구성 14
3. 보고서의 한계와 시사점 15
II.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이해를 위한 개념틀 18
1. 성희롱·성폭력의 개념 20
가. 성희롱과 성폭력의 구분 20
나. 성희롱·성폭력의 원인 21
2. 문화예술계 시장 및 노동의 특성 24
3.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의 구조 및 원인 26
가. 남성적 문화 27
나. 문화예술계의 고유한 성윤리 32
다. 독과점적 성별화된 권력 34
4. 해외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실태 37
III. 특별 신고·상담센터 사례 분석 42
1. 개괄 44
2. 분야별 피해 신고 현황 45
3. 피해 유형 및 피해 횟수별 신고 현황 47
4. 피해 발생 상황별 신고 현황 50
5. 가해자-피해자 관계별 신고 현황 52
6. 피해 장소별 신고 현황 55
7. 분야별 피해 신고 현황 분석 57
8. 시사점 65
IV. 특별 신고·상담센터 사례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이해 68
1. 피해사례를 통해서 본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원인 70
가. 남성적 문화 70
나. 문화예술계의 고유한 성윤리 75
다. 독과점적 성별화된 권력 79
2. 성희롱·성폭력에 대처하거나 공론화하지 못한 이유 82
가. 성희롱·성폭력 감수성 미약 82
나. 취업 및 경력(등단, 입상, 배역 캐스팅 등)에 불이익 초래 82
다. 조력자·지지자의 부재로 인한 심리적 위축 83
라. 가족의 신뢰와 지지 부족 84
마. 가해자의 공격적 대응에 대한 두려움 85
바. 위계와 복종의 문화 85
사. 피해자 지원제도 및 대응에 대한 무지와 불신 86
3. 피해자 후기 : 힘들어도 이것이 시작이다 87
가. 폭로의 부정적 결과와 2차 피해 87
나. 치유와 승화 91
다. 사회를 향한 피해자의 호소와 요청사항 93
4.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의 특징과 사회적 함의 95
V.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근절을 위한 제언 100
1. 배경 102
2. 해외 문화예술계 행동강령 사례 104
가. 해외 문화예술계 행동강령 수립 동향 104
나. 해외 문화예술계 행동강령 사례의 주요 내용 107
참고 문헌 128
판권기 132
[그림 II-1] 할리우드 미투 운동 주요 가해자 3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534070 | 364.153 -19-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534071 | 364.153 -19-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