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5

제1장 서론 12

1. 연구 배경 및 목적 13

2. 연구방법과 선행연구 16

가. 연구방법 16

나. 선행연구 19

제2장 지구적 SDGs 이행 현황과 지역단위 이행 사례 28

1. 2030 의제 배경과 주요 내용 29

2. 지구적 이행 현황 및 성과 36

가. 지구적 이행체계 36

나. 이행성과 모니터링 39

다. 최근 이행성과 평가결과 40

3. 지역/소지역 단위 SDGs 이행 사례 57

가. EU의 지역단위 이행 57

나. 노르딕의 소지역단위 이행: 지속가능발전 공동전략 69

제3장 한ㆍ중 SDGs 이행 비교 73

1. 한국의 SDGs 이행 74

가. 한국의 지속가능발전 정책 74

나. 한국의 2030 의제 및 SDGs 대응 77

다.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수립 추진 92

2. 중국의 SDGs 이행 106

가. 중국의 지속가능발전 정책 추진 현황 106

나. 중국의 2030 의제 및 SDG 대응 107

다. 중국의 2030 의제 국가이행계획 117

3. 한ㆍ중 SDGs 이행체계 비교 135

가. SDGs 이행체계 구성요소 135

나. 한ㆍ중 이행체계 비교 137

제4장 한ㆍ중 SDGs 이행 협력방안 142

1. 개요 143

가. SDG 협력의 필요성 143

나. 2030 의제 맥락에서 협력의 개념 151

2. 협력방안 I: 한ㆍ중 협력관계 SDGs 반영을 통한 정책정합성 153

가. SDG 주류화와 정책정합성 153

나. 한ㆍ중 협력관계에 SDGs 주류화 155

3. 협력방안 II: SDGs 이행을 위한 양국 협력 수요 163

가. '영향/교환' 유형의 협력기회 164

나. '결합/통합' 유형의 협력기회: 양국 SDGs 도전요인 기반의 협력 분야 169

4. 협력방안 III: 소지역 SDGs 모니터링 및 이행 협력체계 177

가. 소지역 단위 SDGs 이행체계 177

나. 한국과 중국의 국가 SDGs 지표 비교 180

다. 소지역 SDG 협력체계 구축 190

제5장 결론 197

참고문헌 202

[부록] 211

1. (요약보고서) 한ㆍ중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 비교 및 협력방안 마련: 关于中韩在联合国可持续发展目标(SDGs)落实进展的比较及合作方案 212

2. Indicator Threshold 242

3. 중국환경계획원(CAEP):中国实施2030议程和区域合作 研究报告 247

판권기 3

표 1-1.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2016-2035) 4대 목표 및 14개 전략 14

표 1-2. SDGs 이행 정책방안 20

표 1-3. 한국의 지속가능발전지표 체계 21

표 1-4. 목표별 지표의 Tier 구성 21

표 1-5. 차이나 리스크 대응방안 23

표 1-6. 한ㆍ중 공공외교 협력방안 25

표 1-7. 한ㆍ중ㆍ일 교통물류 협력-우리나라 주도 실천과제 및 세부 추진방안 26

표 1-8. 한반도 통일시대 대비 한ㆍ중 협력과제 27

표 2-1. 2030 의제 진행과정 29

표 2-2. 2030 의제의 후속조치 및 검토 기본 원칙 33

표 2-3. 목표, 세부목표, 지표 수 현황 35

표 2-4. 2018년 자발적 국별 검토(VNR) 참여국(46개국) 39

표 2-5. EU의 SDG 모니터링: 관련 SDG 모니터링 체계와 비교 60

표 2-6. 노르딕 지속가능발전 공동전략의 분야별 지표 70

표 3-1. 지속가능발전의 대내외 위협요인 79

표 3-2. SDGs 목표별 K-SDGs 세부목표 및 지표(안)(2018.9.5. 발표자료) 95

표 3-3. 중국 지속가능발전 평가지표 126

표 3-4. 한국과 중국의 SDGs 이행체계 비교 141

표 4-1.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 주요 내용 144

표 4-2. UN DESA의 SDGs 협력관계 유형 153

표 4-3. SDGs 목표별 한ㆍ중 협력관계 160

표 4-4. 유엔 기관의 SDGs 이행 노력 현황 163

표 4-5. 한국과 중국의 SDGs 달성도 비교 170

표 4-6. 한국의 비교우위 지표 173

표 4-7. 중국의 비교우위 지표 173

표 4-8. 양국 모두 진전이 필요한 지표 174

표 4-9. 한국과 중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별 지표 비교 183

표 4-10. 한ㆍ중ㆍ일 3국 정부 간 주요 협의체 193

그림 1-1. 2030 의제의 구성요소와 국가단위 이행과제 19

그림 2-1. 2030 의제의 구성 30

그림 2-2. UN 고위급정치포럼(HLPF) 일정 37

그림 2-3. EU의 SDGs 진행사항 61

그림 2-4. 노르딕 지속가능발전 공동전략 70

그림 2-5. 노르딕 SDG 프로그램의 구성과 이행관계자 71

그림 3-1.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체계도 80

그림 3-2. K-SDGs 작성 3단계 93

그림 3-3. 다양한 지역적 범위의 SDGs 이행 검토 136

그림 4-1. 한ㆍ중 교역 동향 145

그림 4-2. 한국과 중국의 상위 수출ㆍ수입국 현황(2016년 기준) 149

그림 4-3. 아시아 태평양 지역 주요 수출국(2016년 기준) 150

그림 4-4. 동ㆍ북동 아시아(ENEA)의 소지역 SDGs 이행 현황 191

이용현황보기

한·중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 비교 및 협력방안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35721 338.91 -19-1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35722 338.91 -19-1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