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몽암대사문집 蒙庵大師文集 해제 / 5
일러두기 / 22

몽암대사문집 상권 蒙庵大師文集 上

시 1 詩一 -42편

추 대사를 전송하며 送樞大師 ......... 25
홍류동에서 입에서 나오는 대로 읊다 紅流洞口呼 ......... 26
하 장실에 대한 만사 【 친상 親喪 이다. 】 挽荷丈室 【 親 】 ......... 27
김 석사의 시에 화운하다 和金碩士? ......... 28
또 又 ......... 29
사념에 젖어 有所思 ......... 30
내원에서 호서의 도우에게 부치다 在內院寄湖西道友 ......... 31
하 석사가 일흔의 나이에 옛날 독서하던 곳을~ 嘆河碩士七十重尋讀書處 ......... 32
용유담에서 내려오며 下龍遊潭 ......... 33
천안 광덕사에서 강 진사를 응대하다 天安廣德寺酬姜進士 ......... 34
금강산에서 백운을 우연히 읊다 金剛山中白雲偶吟 ......... 35
어떤 승려가 경산의 넉넉한 살림살이 말하기에~ 有僧言京山好居以唱酬之 ......... 36
소나무 松 ......... 37
법화암의 시에 차운하다 次法華庵? ......... 38
홍류동에서 삼가 최 학사의 시에 차운하다 紅流洞謹次崔學士? ......... 39
진유를 보내며 送振宥 ......... 40
인 대사가 고향에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며 送仁大師之故山 ......... 41
두류에 은거하며 頭流隱居 ......... 42
오대산에서 우연히 읊다 五臺山偶吟 ......... 43
자조 自嘲 ......... 44
회옥을 보내며 送會玉 ......... 45
삼가 영월과 환송 두 분 화상의 진영 시에 차운하다 謹次瀛月喚松二和尙眞? ......... 46
관북의 능사가 출발할 임시에 한마디 말을 청하기에~ 關北能師臨行求語 ~ ......... 47
여 대사가 서봉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며 送如大師歸棲鳳 ......... 48
내원의 초당 內院草堂 ......... 49
남해 금산에 올라가서 登南海錦山 ......... 50
상무주에서 우연히 읊다 在上無住偶吟 ......... 51
재차 해인사에 들어가다 再入海印寺 ......... 52
유감 有感 ......... 53
황산 산거 黃山山居 ......... 54
관북으로 돌아가는 계헌을 전송하며 送戒憲歸關北 ......... 55
삼가 여러 석사들의 조춘 시에 차운하다 謹次諸碩士早春? ......... 56
수인이 두류에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며 送守仁歸頭流 ......... 57
홍사가 나를 따라 두류에서 황산까지 온 그 정이~ 鴻師隨余自頭流至黃山 ~ ......... 58
삼가 조 석사의 시에 차운하다 謹次曹碩士? ......... 59
척총에게 수답하며 그 종친의 죽음을 애도하다 酬隻?挽其從親 ......... 60
관 선사와 작별할 적에 시를 지어 주며 아울러~ 留別?禪師兼挽其親 ......... 61
금강산으로 가는 홍사에게 시 두 수를 지어서~ 金剛弘師示二偈以侑其行 ......... 62
총사가 한마디 말을 청하기에 賽?師求語 ......... 63
인사가 한마디 말을 청하기에 賽仁師求語 ......... 64
자술 自述 ......... 65
경사가 한마디 말을 청하기에 賽擎師求語 ......... 66
떠날 임시에 정암 형이 한마디 말을 청하기에~ 臨行靜庵兄求一語以偈上之 ......... 67

칠언절구 七言 ? 句 -5편

또 동파의 시에 차운하다 又次東波? ......... 68
구름 깊어 있는 곳 알지 못하겠네 雲深不知處 ......... 69
눈 속에서 진유를 기다리며 雪中待振有 【 二首 】 ......... 70
기이 其二 ......... 71
고사리를 캐다 採蕨 ......... 72
박 석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朴碩士? ......... 73

칠언율시 七言律詩 -32편

윤 대사가 한마디 말을 청하기에 몰현금의 시~ 沒絃琴一律賽允大師求語 ......... 74
율 대사가 한마디 말을 청하기에 무위진인의 시~ 無位眞人一首賽律大師求語 ......... 75
삼가 현판에 걸린 와운 법로의 시에 차운하다 謹次臥雲法老板上? ......... 76
남악이 제야와 선암의 시를 보여 주며 화운을~ 南嶽示除夜?及仙岩?要和 ~ ......... 77
고성 삼일포 사선정의 시에 차운하다 次高城三日浦四仙亭? 【 三首 】 ......... 78
기이 其二 ......... 79
기삼 其三 ......... 80
또 취원루의 시에 차운하다 又次聚遠樓? ......... 81
낙산사 이화정의 시에 차운하다 洛山寺梨花亭? ......... 82
금강산 구룡담을 관광하고 觀金剛山九龍潭 ......... 83
정양사에서 삼가 오서파의 시에 차운하다 正陽寺謹次吳西坡? ......... 84
삼가 연담 유일 법로의 금강산 신계사 시에~ 謹次蓮潭法老金剛山神溪寺? ......... 85
삼가 금강내산의 시에 차운하다 謹次金剛內山? ......... 86
삼가 금강산 비로봉의 시에 차운하다 謹次金剛山毘盧峰? ......... 87
삼가 금강산 백정봉의 시에 차운하다 謹次金剛山百鼎峰? ......... 88
이 석사의 시에 수답하다 酬李碩士 ......... 89
백마강에서 옛일을 회상하며 白馬江懷古 ......... 90
삼가 내원암의 시에 차운하다 敬次內院庵? ......... 91
삼가 화암사의 시에 차운하다 謹次華岩寺? ......... 92
삼가 쌍용 장로의 시에 차운하다 謹次雙聳長老? ......... 93
진안현감에게 올리다 上鎭安縣監 ......... 94
관북의 우사가 현담을 나누던 도중에 재 梓 로~ 關北愚師玄談未半而欲歸? ~ ......... 95
영순사가 길 떠날 즈음에 한마디 말을 청하기에~ 永絢師臨行求語以偈酬之 ......... 96
견암의 현판 위의 시에 차운하다 次見庵板上? ......... 97
낙모대의 시에 차운하여 붓을 달리다 走次落帽臺? ......... 98
차운하여 북해 장로에게 증정하다 次呈北海長老 ......... 99
삼가 연담 유일 노한 老漢 의 시에 차운하여~ 謹次蓮老?酬直大師求語 ......... 100
우 대사가 관북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며 送愚大師歸關北 ......... 101
병중에 우연히 읊다 病中偶吟 ......... 102
인사가 한마디 말을 청하기에 賽仁師求語 ......... 103
호서의 승은사가 병으로 고향에 돌아가면서~ 湖西勝恩師以病歸?要余數語 ~ ......... 104
금강의 기사가 걸망을 메고 고향으로 돌아가기에~ 金剛杞師挑包歸?浪吟一偈 ~ ......... 105
밀양 수월루의 시에 차운하다 次密陽水月樓? ......... 106
내원사에서 여러 석사들의 시에 수답하다 內院寺酬諸碩士? ......... 107

오언율시 五言律詩 -11편

원희 사미가 길 떠날 즈음에 한마디 말을 청하기에~ 爰熙沙彌臨行求語以偈示之 ......... 108
황산의 비석 荒山碑 ......... 109
사람을 보내며 送人 ......... 110
남악이 제야와 선암의 시를 보여 주며 화답을~ 南嶽示除夜?及仙巖?要和 ~ ......... 111
보덕굴에서 우연히 읊다 寶德窟偶吟 ......... 112
삼가 차운하여 낙문 사미에게 주다 敬次贈樂文沙彌 ......... 113
박 석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朴碩士? ......... 114
백련의 은거지에서 白蓮幽居 ......... 115
태화의 은거지 太華幽? ......... 116
또 김 석사의 시에 수답하다 又酬金碩士 ......... 117
함양군수에게 올리다 上咸陽郡守 ......... 118
오언절구 五言 ? 句 -6편
어떤 승려가 경산의 넉넉한 살림 이야기하기에~ 有僧言京山好居以偈酬之 ......... 119
기 基 사미에게 보여 주다 示基沙彌 ......... 120
김 진사의 시에 삼가 차운하다 謹次金進士 ......... 121
유감 有感 ......... 122
소백산 내원에서 병들어 읊다 小伯山內院病吟 【 四首 】 ......... 123
기이 其二 ......... 124
기삼 其三 ......... 125
기사 其四 ......... 126
참학하는 중에게 보여 주다 示?學僧 ......... 127

시 2 詩二 -4편

삼가 농암 김 상국의 58 운에 차하다 謹次農庵金相國五十八? ......... 128
절을 개축하며 지은 축문 穿屋隅祝文 ......... 134
농산 화상 진영 찬문 聾山和尙影? ......... 136
봉성당 진영 찬문 鳳城堂影? ......... 137

주 / 138

몽암대사문집 하권 蒙庵大師文集 下

서 書 -33편

종정 양암 장로 탁현에게 준 글 與宗正讓庵長老 【 卓賢 】 書 ......... 169
또 又 ......... 171
제봉 장로 성연에게 준 글 與提峰長老 【 聖淵 】 書 ......... 173
또 又 ......... 175
연담 법로에게 올린 글 上蓮潭法老書 ......... 177
표원의 재소에 답한 글 答表院齋所書 ......... 179
남악에게 답한 글 答南岳書 ......... 182
영파 법로 성규에게 올린 글 上影波法老 【 聖珪 】 書 ......... 185
나운 장로에게 올린 글 上懶雲長老書 ......... 187
청파 장로 혜원에게 올린 글 上靑坡長老 【 惠苑 】 書 ......... 188
영호 장로에게 올린 글 上影湖長老書 ......... 190
해봉 법로 유기에게 올린 글 上海峰法老 【 有機 】 書 ......... 192
경파 장로 유백의 별세를 위문한 글 問鏡波長老 【 有伯 】 揖世書 ......... 194
중봉 태여에게 준 글 與中峰 【 泰如 】 書 ......... 196
원 상국의 죽음을 애도하며 올린 글 上元相國吊書 ......... 198
이 운봉 사또에게 올린 글 上李雲峰使道書 ......... 200
또 又 ......... 202
또 又 ......... 204
또 又 ......... 206
또 又 ......... 208
민 판서에게 올린 글 上閔判書 ......... 210
또 又 ......... 212
또 又 ......... 214
민 장령에게 올린 글 上閔掌令書 ......... 216
또 又 ......... 218
조 홍산에게 올린 글 上趙鴻山書 ......... 220
송 남원에게 올린 글 上宋南原書 ......... 222
또 又 ......... 224
송 진사에게 올린 글 上宋進賜書 ......... 226
또 又 ......... 228
상주목사에게 올린 글 上尙州牧使書 ......... 231
이 진안에게 올린 글 上李鎭安書 ......... 234
봉명 내원의 청장에 답한 글 答鳴鳳內院請狀書 ......... 235

기문 記文 -7편

무량사 시왕전 중수기 無量寺十王殿重修記 ......... 237
송 진사 칠우정기 宋進士七友亭記 ......... 240
마곡사 시왕전기 麻谷寺十王殿記 ......... 242
중관음기 中觀音記 ......... 244
심원암에 종을 설치한 일에 대한 기문 深院庵懸鍾記 ......... 247
은적암 중건기 隱寂庵重建記 ......... 250
능여암기 能如庵記 ......... 253

서문 序文 -8편

『범망경』 서문 梵網經序 ......... 255
『지장경』 서문 地藏經序 ......... 258
해인사 불량계 서문 海印寺佛糧契序 ......... 260
실상사 법전 등촉계 서문 實相寺法殿燈燭契序 ......... 262
등촉계문 燈燭契文 ......... 265
등촉찬문 燈燭?文 ......... 267
수성대 중수기 水聲臺重修記 ......... 268
금강산 표훈사의 부역을 견감 ?減 한 것을 기록한 글 金剛山表訓?役記 ......... 271

권문 勸文 -16편

법전권문 法殿勸文 ......... 273
개와권문 蓋瓦勸文 ......... 275
가사권문 袈裟勸文 ......... 277
주종권문 鑄鍾勸文 ......... 279
대책권문 大?勸文 ......... 281
주기권문 鑄器勸文 ......... 282
도배권문 塗排勸文 ......... 283
상모권문 像貌勸文 ......... 285
명등권문 明燈勸文 ......... 286
통용권문 通用勸文 ......... 287
또 又 ......... 288
법전권문 法殿勸文 ......... 289
별축 別祝 ......... 291
또 又 ......... 295
또 又 ......... 298
금강산 법기보살에게 청원한 글 金剛山法起菩薩請 ......... 301

주 / 303

역자 후기 / 339

찾아보기 / 342

이용현황보기

몽암대사문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62236 294.689 -19-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62237 294.689 -19-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몽암대사문집 蒙庵大師文集 』은 조선 후기 승려인 몽암 기영 蒙庵箕穎 의 시문집이다. 2권1책이며, 동국대학교 소장 필사본과 김민영 金敏榮 소장 필사본이 알려져 있을 뿐, 인쇄본으로 간행된 적은 없다. 『한국불교전서 韓國佛敎全書 』 제10권에 수록되어 있다.
시는 권두에 칠언시 42편, 칠언절구 5편, 칠언율시 32편, 오언율시 11편, 오언절구 6편과 권말에 실린 <삼가 농암 農庵 김 상국의 58운 韻 에 차하다 (謹次農庵金相國五十八韵) > 1수 및 축문과 영찬 影賛 3수로 구성되어 있고, 문은 서 書 33편, 기문 記文 7편, 서문 序文 8편, 권문 勸文16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몽암의 행적 자체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그가 지리산을 기반으로 전국의 절을 다니며 운수행각 雲水行脚 하였다는 것이 이 문집에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지리산은 물론이고 해인사와 공주 일대의 사찰과 관련된 글이 많고, 또한 금강산과 금강산을 오가는 길목의 강원도 일대 지역과 관련한 시문도 여러 편이어서 그의 발자취를 엿볼 수 있는 소중한 단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