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Complete handbook of coaching (2nd ed.)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 역자 서문 _ 3
서론……………………………………………………… 11 1. 코칭의 정체성 _ 12 2. 코칭의 지적 기반 _ 16 3. 이 책의 의도와 구조 _ 23
1 코칭에 대한 정신역학 접근……………………………… 33 특징 _ 35 방법과 테크닉 _ 39 적용 _ 44 평가 _ 49
2 인지행동코칭…………………………………………… 55 특징 _ 58 방법과 테크닉 _ 62 적용 _ 68 평가 _ 73
3 코칭을 위한 해결중심 접근법………………………… 83 해결중심 접근법의 역사 _ 84 특징 _ 85 방법과 테크닉 _ 90 적용 _ 97 평가 _ 100
4 사람 중심 코칭 접근법…………………………………107 개념 소개 _ 107 특징 _ 109 방법과 테크닉 _ 112 적용 _ 114 평가 _ 118
5 코칭의 게슈탈트 접근……………………………………127 이론적 전통 _ 127 인간 기능에 대한 게슈탈트 관점 _ 129 주요 가정들과 믿음들 _ 130 특징 _ 132 A. 욕구 충족 과정 _ 133 B. 자기를 이용하는 방법 _ 137 C. 코칭 관계 _ 139 방법과 테크닉 _ 141 적용 _ 144 평가 _ 145
6 실존주의 코칭…………………………………………… 151 A. 관계성 _ 152 B. 불확실성 _ 153 C. 실존주의적 고뇌 _ 154 특징 _ 154 방법과 테크닉 _ 158 A. 현상학적 방법 _ 162 B. 서술적으로 질문하기 _ 164 적용 _ 165 평가 _ 166
7 존재론적 코칭………………………………………… 171 특징 _ 173 핵심 과정과 존재론적 코칭의 역동성 _ 177 방법과 테크닉 _ 178 적용 _ 184 평가 _ 188
8 내러티브 코칭…………………………………………193 짧은 배경이야기 _ 194 내러티브 접근방법의 주요 컨셉과 가정 요소들 _ 196 특징 _ 198 내러티브 코치의 역할과 관계 _ 206 방법과 테크닉 _ 208 적용 _ 209 평가 _ 212
9 성인의 심리적 발달과 코칭……………………………219 특징 _ 221 방법과 테크닉 _ 228 적용 _ 233 평가 _ 234
10 코칭에 대한 개인초월 접근……………………………241 특징 _ 245 창의성과 상상 _ 249 방법과 테크닉 _ 254 적용 _ 257 평가 _ 257
11 코칭에 대한 긍정 심리학 접근………………………… 263 특징 _ 265 방법과 테크닉 _ 270 적용 _ 274 평가 _ 278
12 교류 분석과 코칭………………………………………… 287 특징 _ 290 방법과 테크닉 _ 297 적용 _ 302 평가 _ 307
13 코칭에 대한 NLP 접근…………………………………311 특징 _ 313 방법과 테크닉 _ 320 적용 _ 329 평가 _ 330
■ 찾아보기 _ 335
이용현황보기
코칭이론의 모든 것 : 완벽한 코칭 핸드북. 이론편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70697
158.3 -19-3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70698
158.3 -19-3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본서는 코칭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종합적으로 심도 있게 설명해 주고 있어 코칭에 대한 학문적 및 이론적 갈증을 느끼는 독자들에게 그리고 코칭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을 원하는 독자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핸드북이라고 하는 명칭에 걸맞게 이 책은 코칭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이론적 바탕을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으며 왜 코칭의 방법과 절차가 그러한 관점에 따라서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는지를 알기 쉽게 전달하고 있다. 각 챕터들은 코칭의 이론적 기반에 대한 설명뿐만 아니라 그러한 이론적 근거들이 또한 다양한 장르의 코칭 영역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고 어떤 상황의 코칭에 가장 적합하게 응용될 수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본서는 단순한 이론서가 아닌 실천가들이 항상 참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설명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돋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