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한국어판 서문

서장 조선에서의 경찰지배와 민중-과제와 방법
제1절 문제의 소재
제2절 연구사 정리와 이 책의 주안점
제3절 이 책의 구성

제1장 조선왕조 말기 ‘경찰’ 체계의 형성
제1절 서울의 징벌·단속기구와 포도청
제2절 지방에서의 ‘경찰’
제3절 조선사회에서의 질서유지의 정치문화
제4절 통치와 민본주의
맺음말 조선왕조 말기의 경찰과 민중

제2장 갑오개혁기의 경찰개혁
머리말
제1절 제1차 갑오개혁기의 경찰개혁
제2절 제2차 갑오개혁기의 경찰개혁
맺음말 갑오개혁기 경찰제도 개혁의 좌절 요인

제3장 대한제국의 경찰지배
머리말
제1절 대한제국의 경찰구조
제2절 경찰통치의 이념
맺음말 ‘덕치적 경찰지배’의 정치문화

제4장 말단경찰과 민중의 정치문화
머리말
제1절 말단경찰의 정치문화
제2절 ‘호소’의 정치문화
정리와 전망 민중이 바라는 경찰상

제5장 조선식민지화 과정에서의 경찰과 민중
머리말
제1절 러일전쟁기의 경찰과 민중
제2절 고문경찰개혁과 민중
정리와 전망

제6장 의병전쟁과 헌병보조원 제도의 확립
머리말
제1절 인정仁政의 종언終焉과 ‘응징적 토벌’
제2절 조선인 헌병보조원의 탄생
제3절 헌병보조원과 치안유지
정리와 전망 헌병보조원의 재편과 분열

제7장 ‘무뢰’와 ‘창의倡義’의 사이
머리말
제1절 폭력의 만연
제2절 헌병보조원의 반역
정리와 전망 한국병합전의 불온한 민정

제8장 무단정치와 헌병보조원·순사보
머리말
제1절 헌병보조원·순사보제도의 운용 구조
제2절 헌병보조원·순사보의 순응과 일탈
전망 ‘왕화’와 ‘황화’를 둘러싼 딜레마와 조선인 경찰관

종장 경찰관 속의 ‘덕치’와 ‘무단’
제1절 근대 조선에서의 ‘경찰’의 정치문화
제2절 식민지 지배하 경찰의 정치문화의 변질
제3절 전망과 과제

찾아보기
저자·역자약력

이용현황보기

식민지 조선의 경찰과 민중세계 1894-1919 : '근대'와 '전통'을 둘러싼 정치문화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68157 353.360951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68158 353.360951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02827 353.360951 -19-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 책은 1894년부터 1919년까지의 조선민중의 생활세계와 경찰과의 대항관계에 초점을 맞춰, 그 특징을 ‘정치문화’라는 시각에서 바라보려 한 것이다. 왜 경찰이 대상인가. 그것은 경찰이 민중과 광범위한 접점을 갖고, 민중을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한 권력이기 때문이기도 하며, 근현대의 정치권력(주권국가·식민지)과 사람들과의 지배와 저항을 둘러싼 최전선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경찰은 지난 150년 사이에 그 모습이 크게 변화했다. 그 원인은 일본의 가혹한 조선 식민지 지배에 있으며, 거기에서 만들어진 경찰의 폭력성은 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된 후에도 ‘친일파’들에 의해 대한민국의 경찰 속에 파고들었다. 조선 근현대사에서 ‘경찰’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우리들 속에 파고들어 극복하기 힘든 식민지주의의 폭력의 잔상과 싸우는 것이기도 하다(‘군대’도 그러한 의미에서 중요하다). 더구나, 그것이 단지 물리적인 폭력으로써만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구축되어 사람들의 의식과 행동까지도 규제하는 ‘문화’가 되어 가고 있다고 한다면 더 말할 것도 없다. (한국어판 서문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