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도서
수학 교수·학습 향상을 위한 평가 : 한국수학교육학회 대한수학교육학회 2018년 연보 =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yearbook 2018
집필진: 고상숙, 권나영, 권점례, 김동근, 김민정, 김수환, 김현주, 박정은, 서보억, 서봉건 외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Part 1. 수학과 평가의 원리 및 방향 1장. 수학과 평가의 원리 및 방향
Part 2.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서 평가 사례 2장. 수업한 방식 그대로, 배움이 있는 과정 중심 평가 3장. 초등학교 과정 중심 평가 사례 4장.‘융합’역량에 초점을 맞춘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평가의 실제 5장. 교수 경험으로 파악한 과정 중심 평가의 실천 가능성 6장. 지필평가의 아쉬움, 수행평가로 달래다 7장. 수학 개념 쓰기와 수학 스토리 쓰기를 통한 문제해결력 평가
Part 3. 평가 도구 및 전략 설계 8장. 서술형, 논술형 평가 9장. 관찰 및 면담 평가 10장. 프로젝트 평가 11장. 포트폴리오를 통한 평가 도구 및 전략
Part 4.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12장. 교사 지식과 수업 평가 13장.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사례 14장. 학업성취도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이해 15장. PISA 및 TIMSS 평가에 대한 이해
이용현황보기
수학 교수·학습 향상을 위한 평가 : 한국수학교육학회 대한수학교육학회 2018년 연보 =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yearbook 2018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73219
510.7 -19-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73220
510.7 -19-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학교 현장에서 평가가 그 본연의 목적에 맞게 올바르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수의 질과 학생의 성장 및 배움에 기여할 수 있는 평가 방법에 대한 교사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보는 수학 교수-학습 향상을 위한 평가를 주제로 삼아, 과정 중심 평가를 중심으로 수학 교수-학습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평가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및 전문성 신장을 돕고자, Part 1. 수학과 평가의 원리 및 방향, Part 2.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서 평가 사례, Part 3. 평가 도구 및 전략 설계, Part 4.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관련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Part 1은 수학과 평가에 대한 독자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NCTM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출된 수학과 평가의 7가지 원리(수학, 학습, 공평성, 개방성, 타당성, 일관성, 역동성)에 대한 소개 및 우리나라의 수학과 평가의 방향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Part 2는 독자들이 수학 교수-학습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평가 수행 과정을 더욱 쉽고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초, 중, 고등학교급에서 실제로 수행된 총 6개의 과정 중심 평가 사례에 대한 소개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각 사례에서는 수업에서 사용된 교수-학습 지도안, 평가 자료, 학생 자료 등을 제공하여 독자들이 수학 교수-학습 향상을 위한 평가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Part 3에서는 서술형/논술형 평가, 관찰 및 면담 평가, 프로젝트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개념 및 각 유형의 평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 도구와 전략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고, 이와 더불어 각 유형별로 평가 도구 및 전략의 적용 사례를 간략하게 제시하여 독자들이 평가 도구의 활용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탐색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하였다. Part 4는 교사 지식과 수업 평가, 국내외에서 진행된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사례, 우리나라의 학업성취도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PISA 및 TIMSS 평가에 대한 소개로 내용을 구성하여 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지식 및 전문성 신장을 돕고자 하였다.
출판사 리뷰(서평) 수학(예비)교사들이 꼭 읽어봤으면 한다. 현재 학교 전선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학 교수·학습 평가의 현황을 한눈에 들여다 볼 수 있으며, 앞으로 수학 교과에서 과정 중심 평가 체제가 확고히 구축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잘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