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셋’ 밖으로 기맹기 「내 ID는 강남미인!」(2016~2017) 이연 「화장 지워주는 남자」(2018~)
비혼의 조건 호올 「슬픔의 미학」 김정연 「혼자를 기르는 법」(2015~2018)
나쁜 남자를 사랑한 개념녀 요니 「소설」(2018~2019)
헬조선이냐 탈조선이냐 경선 「데일리 프랑스」(2018~)
맘카페에서나 하라던 이야기 수신지 「며느라기」(2017~2018) 쇼쇼 「아기낳는만화」(2017~2018)
여자, 퀴어, 여자 퀴어 검둥 「안녕은하세요」(2018~2019)
냉장고에서 뛰쳐나온 여자들 박지은 「아메리카노 엑소더스」(2014~2019)
‘빻은’ 고전 다시 읽기 돌배 「계룡선녀전」(2017~2018) seri, 비완 「그녀의 심청」(2017~2019)
연대하는 여성 매미, 희세 「마스크걸」(2015~2018)
여성 서사 웹툰 추천
이용현황보기
다 된 만화에 페미니즘 끼얹기 : 여성 서사 웹툰 읽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80644
305.42 -19-6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80645
305.42 -19-6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18495
305.42 -19-65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연재와 연재 사이에 우리가 아는 여성이 있다" 여성주의 시각에서 읽고 분석한 여성 작가의 웹툰
여성 서사 웹툰 비평서. 「단지」부터 「마스크걸」까지 여성의 이야기를 다룬 웹툰 14편을 선정해 작품의 서사 구조를 분석하고, 여기에 '탈코르셋'부터 비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페미니즘 논의를 더한다. 선정된 작품은 모두 여성 작가의 작품이다. 이 같은 작품의 서사와 캐릭터 이해를 통해 여성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를 살펴본다.
저자는 작품을 빌려 여성의 현실을 말한다. 「내 ID는 강남미인!」을 분석하며 여성에게 가해지는 외모 압박을 비판한다. 「소설」과 「데일리 프랑스」를 통해 연애를 둘러싼 성별 불균형을 논한다. 「며느라기」 속 며느리의 위치, 「아기낳는만화」 속 기혼 유자녀 여성의 고충에 대해서 나눈다. 「계룡선녀전」을 펼쳐 우리가 어린 날 흡수했던 고전의 성차별적 요소를 지적하고, 「아메리카노 엑소더스」가 제시한 미래 지향적 여성상에 주목한다.
책은 10대 여성이 겪는 가정폭력을 다룬 「단지」로 시작해 여성의 연대를 말하는 「마스크걸」로 마무리된다. 그 사이에는 여성의 대학 및 유학 생활, 연애와 결혼 및 출산과 육아의 현실이 등장하는 웹툰이 있다.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배열이다. 현실의 여성 말고도, 과거의 여성과 미래의 여성 또한 웹툰을 통해 만나는 시간을 마련한다.
책속에서
[P.13] 이 책의 분석 대상을 여성 작가의 웹툰으로 한정한 데는 한 가지 이유가 더 있다. 한국과 일본 만화계에서는 여성 작가가 쓴 여성 독자 타깃 만화를 '순정만화'로 통칭해왔다. '정확히 말할 수는 없지만 여자들이 좋아할 만한 것'을 뭉뚱그려 분류하는 여성혐오적 시각은 비평계에서도 여성을 소외시켰다.
[P. 16] 이 책이 어떤 여성 창작자에게는 작업을 이어나가는 작은 힘이 되기를 바란다. 여자들의 이야기가 흩어지지 않고 계보를 그려나갈 미래를 상상한다. 같은 마음이 모여 현재의 세대가 다음 세대와 연결되길 기대한다. 이것이 이 책을 쓰는 목적이다.
[P. 59~60] 아름다운 몸의 기준은 유행에 따라 달라지고, 가까워졌나 싶으면 저만치 멀어진다. '예쁘면 삶이 변한다'는 기약 없는 미래와 필사적인 추격전을 벌이는 여성의 절망감은 너무 커서 자기파괴적으로 재현된다. (...) 반복적인 좌절의 경험은 가벼운 자기혐오로 나타날 수도 있고 생사를 가르는 병이 되기도 한다. 아름다워지라는 압력은 그래서 위험하다. 그것이 여성 개개인에게 어떤 무게와 방향으로 작용할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