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지(皇旨)로 정하신 《만주인들의 신위에 제사하고 하늘에 제사하는 칙례(則例)》 제일권(第一卷) 04. 신위에 제사하고 하늘에 제사하기 위하여 말한 것73 05. 새로 수확한 제철 음식을 공양하며 배등제(背燈祭)하기 위하여 말한 것87 06. 만주인들의 신위에 제사하던 옛일을 한데 모아서 기록한 것99 07. 곤녕궁(坤寧宮)에서 설날에 예를 올리는 의주(儀注)175 08. 당자(堂子)의 정식전(亭式殿)에서 설날에 예를 올리는 의주(儀注)179 09. 당자(堂子)의 정식전(亭式殿)에서 신위에 제사하는 의주(儀注)183 10. 당자(堂子)의 정식전(亭式殿)에서 신위에 제사할 때에 축원하는 말195 11. 샹시(?angsi) 신의 정식전(亭式殿)에서 신위에 제사하는 의주(儀注)199 12. 샹시(?angsi) 신의 정식전(亭式殿)에서 신위에 제사할 때에 축원하는 말203 13. 신위(神位)를 청(請)하여서 당자(堂子)에 공양하는 의주(儀注)205 14. 신위(神位)를 청(請)하여서 궁(宮)에 들이는 의주(儀注)213 15. 곤녕궁(坤寧宮)에서 매월 신위에 제사하는 의주(儀注)219 16. 곤녕궁(坤寧宮)에서 매월 신위에 제사할 때에 축원하는 말309 17. 신위에 제사한 이튿날 하늘에 제사하는 의주(儀注)341 18. 신위에 제사한 이튿날 하늘에 제사할 때에 창(唱)하는 말369
만문본 『흠정만주제신제천전례(hesei toktobuha manjusai wecere metere kooli bithe)』는 청나라 최초의 공식적 제사 문헌으로 만주족의 제사 문화를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만주족의 제사 의례에 관한 공식 규범을 기록한 이 책은 제사 의례의 내용과 방법을 각 시기나 유형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은 물론, 제사 의례에 사용하는 물품의 종류와 수량, 모습과 규격까지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특히 각 제사 의례에서 샤먼이 대상에게 바치는 만주어 축문을 격식에 맞게 제시한 축사(祝詞)부분은 구비전승되어 오던 만주어 축문을 문자로 정착시켰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흠정만주제신제천전례』에 기록된 만주족의 제사 문화는 우리 문화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제사 문화의 양상을 이해하는 데도 유익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하늘은 물론 부처와 보살, 다양한 신들을 모시며 자신의 소원을 비는 우리 민간 신앙의 모습이 만주족의 제사 문화와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문화가 다른 문화에 영향을 주고 그로부터 새로운 모습의 문화가 꽃피게 된다는 점을 생각할 때, 만주족과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우리에게도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금 깨닫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