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10
제1장 서론 16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1.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 문제 19
2. 본 연구의 차별성 20
제2절 연구 내용 20
1. 디지털 시민성 개념 연구 20
2. 디지털 시민성의 영역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 실태 21
3. 디지털 시민성 교육 현황 탐색 22
4. 디지털 시민성 교육 방안 제시 23
제3절 연구 방법 23
1. 개념 분석 23
2. 문헌 연구 25
3. 초점그룹 면담 26
4. 전문가 자문 및 정책협의회 26
제2장 디지털 시민성 관련 개념 논의 27
제1절 디지털 시민성 및 유사 개념 간 관계 탐색 28
1.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리터러시 28
2. 미디어 리터러시와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29
3. 디지털 시민성과 유사 개념 간의 관계 33
제2절 시민성과 디지털 시민성 37
제3절 소결 39
제3장 디지털 시민성 개념 연구 41
제1절 조사 개요 42
제2절 디지털 시민성 개념적 정의: 선행요인 43
1. 1기(1997년-2000년대 중반)에 강조된 디지털 시민성 내용 44
2. 2기(2000년대 중반-2010년대 중반)에 강조된 디지털 시민성 내용 45
3. 3기(2010년대 중반-현재)에 강조된 디지털 시민성 내용 48
4. 디지털 시민성 선행요인 및 내용: 시기별 공통점과 차이점 48
제3절 디지털 시민성 영역 및 내용 49
1. 인지적 영역 및 내용 50
2. 정의적 영역 및 내용 53
3. 행동 영역 56
제4절 소결: 디지털 시민성 개념 59
제4장 디지털 시민성 관련 학습자 실태 및 경험 61
제1절 청소년의 디지털 기기 접근성 및 디지털 시민성 실태 62
1. 개요 62
2. 한국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 현황 65
제2절 디지털 시민성 관련 학습자 경험 75
1. 개요 75
2. 디지털 시민성과 학습자 경험 76
3. 소결 82
제5장 디지털 시민성 지원을 위한 교육 현황 86
제1절 교육 과정 분석 87
1. 개요 87
2. 교육과정 분석이 시사하는 바 132
제2절 국내교육 사례 분석 135
1. '사이좋은 디지털 세상' 교육 지원 135
2. '디지털 시대 시민되기' 138
3. 페이스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안 141
4. 디지털 시민성 관련 교과교육 자료 145
5. 교육사례 분석이 시사하는 바 150
제3절 교육정책 분석 152
1. 디지털 시민성 영역 관련 정책 152
2. 교육정책 분석이 시사하는 바 159
제6장 디지털 시민성 교육 방안 162
제1절 디지털 시민성 개념을 토대로 한 교육 163
1. 왜, 지금 디지털 시민성과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고민해야 하는가? 163
2. 진화하는 개념으로서 '디지털 시민성' 164
3. 디지털 시민성 개념 165
제2절 학습자의 디지털 시민성 경험을 고려한 교육 166
제3절 디지털 시민성 교육 방안 168
1.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목표 168
2.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방향 169
3. 디지털 시민성 교육 접근법 173
4.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선 방향 174
제4절 디지털 시민성 교육 지원을 위한 제언 176
1. 교사 연수 지원 및 홍보 176
2. 자료 개발 및 공유 177
3.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중장기 로드맵 필요 177
4. 디지털 시민성 교육 주무 부서에 대한 논의 필요 178
참고문헌 179
[부록 1] 연구 참여자용 설명서 185
[부록 2] 언론 보도 분석 대상 189
[부록 3] 선행연구 목록 192
판권기 193
〈표 1-1〉 Walker 와 Avant 개념 분석 방법 절차 (최윤아ㆍ고일선, 2017 재정리) 24
〈표 1-2〉 문헌연구 대상 25
〈표 1-3〉 전문가 자문 및 협의회 참여 대상 26
〈표 2-1〉 디지털 시민성 규정과 유사 개념의 영향 34
〈표 3-1〉 디지털 시민성 선행요인 및 시기별 분류 44
〈표 3-2〉 시기별로 변화하는 디지털 시민성 강조점 49
〈표 3-3〉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인지적 영역 및 내용(1기: 1997년-2000년대 중반) 50
〈표 3-4〉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인지적 영역 및 내용(2기: 2000년대 중반-2010년대 중반) 51
〈표 3-5〉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인지적 영역 및 내용(3기: 2010년대 중반-현재) 52
〈표 3-6〉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인지적 영역 및 내용 53
〈표 3-7〉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정의적 영역 및 내용(1기: 1997년-2000년대 중반) 54
〈표 3-8〉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정의적 영역 및 내용(2기: 2000년대 중반-2010년대 중반) 54
〈표 3-9〉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정의적 영역 및 내용(3기: 2010년대 중반-현재) 55
〈표 3-10〉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정의적 영역 및 내용 56
〈표 3-11〉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행동 영역 및 내용(1기: 1997년-2000년대 중반) 57
〈표 3-12〉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행동 영역 및 내용(2기: 2000년대 중반-2010년대 중반) 57
〈표 3-13〉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행동 영역 및 내용(3기: 2010년대 중반-현재) 58
〈표 3-14〉 디지털 시민성 구성요소 중 행동 영역 및 내용 58
〈표 4-1〉 지적도구활용능력으로서 정보통신활용능력 행동지표 64
〈표 4-2〉 ICCS 조사내용 64
〈표 4-3〉 2018 청소년 생애학습역량 기술통계 분석 결과 65
〈표 4-4〉 초등학생 생애학습역량의 지적도구활용능력-정보통신활용역량 행동지표 특성: 컴퓨터 활용 시간 66
〈표 4-5〉 초등학생 생애학습역량의 지적도구활용능력-정보통신활용역량 행동지표 특성: 컴퓨터 활용 능력 수준 67
〈표 4-6〉 중학생 생애학습역량의 지적도구활용능력-정보통신활용능력 행동지표 특성: 컴퓨터 활용 시간 67
〈표 4-7〉 중학생 생애학습역량의 지적도구활용능력-정보통신활용능력 행동지표 특성: 컴퓨터 활용 능력 수준 67
〈표 4-8〉 고등학생 생애학습역량의 지적도구활용능력-정보통신활용역량 행동지표 특성: 컴퓨터 활용 시간 68
〈표 4-9〉 고등학생 생애학습역량의 지적도구활용능력-정보통신활용역량 행동지표 특성: 컴퓨터 활용 능력 수준 68
〈표 4-10〉 매체를 통한 청소년들의 정치 사회적 참여 현황 69
〈표 4-11〉 인터넷과 SNS를 통한 시민참여 70
〈표 4-12〉 ICCS 2016 시민지식 수준의 정의와 기준 71
〈표 4-13〉 ICCS 2016 시민지식 수준 단계별 분포 72
〈표 4-14〉 ICCS 2016 공공 신뢰 수준 분포 73
〈표 4-15〉 인터넷과 SNS를 통한 시민참여 현황 74
〈표 4-16〉 학생 면담 참여자 정보 및 코드 75
〈표 4-17〉 초점그룹 면담 질문 주제 및 내용 76
〈표 4-18〉 B중학교 학생들이 제시한 디지털 시민성 81
〈표 5-1〉 디지털 시민성 분석 척도 89
〈표 5-2〉 분석 대상별 성취기준 하위요소와 디지털 시민성 분석틀 90
〈표 5-3〉 사회(지리영역) 과목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내용 91
〈표 5-4〉 사회(일반사회 영역) 과목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내용 98
〈표 5-5〉 공통사회 과목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내용 106
〈표 5-6〉 사회ㆍ문화 과목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내용 109
〈표 5-7〉 정치와 법 과목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내용 112
〈표 5-8〉 사회문제 탐구 과목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내용 115
〈표 5-9〉 중학교 '도덕' 과목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내용 117
〈표 5-10〉 생활과 윤리 과목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내용 119
〈표 5-11〉 윤리와 사상 과목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내용 121
〈표 5-12〉 중학교 정보 과목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내용 122
〈표 5-13〉 고등학교 정보 과목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내용 127
〈표 5-14〉 사이좋은 디지털 세상 교육과정 137
〈표 5-15〉 페이스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안 142
〈표 5-16〉 핵심 역량별 교육방안 147
〈표 5-17〉 초등학생용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 교과서의 미디어 단원 소개 148
〈표 5-18〉 조희연 교육감 2기 백서에서의 약속 1 154
〈표 5-19〉 조희연 교육감 2기 백서에서의 서울시교육청 디지털 시민성 및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계획 155
〈표 5-20〉 디지털 시민성 및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 연수 교과 편성 156
〈표 5-21〉 경상북도교육청 디지털 시민성 교육 추진 내용 157
〈표 6-1〉 시민상의 3단계 (Kahne and Westheimer, 2004 정리) 168
〈표 6-2〉 Kahne과 Westheimer의 시민상 3단계를 활용한 디지털 시민성 단계 169
〈표 6-3〉/〈표 6-2〉 교과목별 향후 요구되는 디지털 시민성 내용 170
〈표 6-4〉/〈표 6-3〉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디지털 시민성 내용 171
[그림 2-1] 디지털 역량의 6가지 요소(JISC, 2019, 1쪽) 29
[그림 2-2]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영역도(UNESCO, 2014, 2쪽) 30
[그림 2-3]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핵심 역량, 기초 학습 요소 및 수행 목표의 관계도(정현선 외, 2015, 69쪽) 32
[그림 2-4] 디지털 리터러시와 유사 개념들의 관계도(Ala-Mutka, 2011. 30쪽) 33
[그림 2-5] 디지털 시민성 역량 틀(한유경, 2018, 59쪽) 35
[그림 3-1] 디지털 시민성 개념도 59
[그림 4-1] 매체를 통한 청소년들의 정치 사회적 참여 현황 69
[그림 4-2] 매체를 통한 청소년들의 정치 사회적 참여 현황 70
[그림 4-3] 인터넷과 SNS를 통한 시민참여 71
[그림 4-4] ICCS 2016 시민지식 수준 단계별 분포 72
[그림 4-5] ICCS 2016 공공신뢰수준 73
[그림 4-6] 인터넷과 SNS를 통한 시민참여 현황 74
[그림 5-1] 사이좋은 디지털 세상 프레임워크 136
[그림 5-2] 중ㆍ고등학생을 위한 '디지털 시대 시민되기' 목차 139
[그림 5-3] 수업의 흐름과 활동 안내 140
[그림 5-4] 페이스북 디지털 리터러시 라이브러리 누리집 141
[그림 5-5] 페이스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활동 예시 145
[그림 5-6] 정보통신 윤리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 146
[그림 5-7] 중학교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 교과서의 미디어 단원 사례 149
[그림 5-8] 고등학교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 교과서의 미디어 단원 사례 150
[그림 6-1] '디지털'의 의미와 디지털 시민성 강조점의 변화 164
[그림 6-2] 디지털 시민성의 영역과 내용 16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