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부 고대ㆍ중세사 제1장 한반도 제2장 고조선 제3장 부여족과 그 이동 제4장 삼 한 제5장 삼국의 발흥 : 백제 제6장 삼국의 발흥 : 고구려 제7장 삼국의 발흥 : 신라 제8장 일본과 3국 제9장 고 려 제10장 중국ㆍ일본ㆍ몽고 제11장 조선의 건국 제12장 임진왜란사(1) : 전사 제13장 임진왜란사(2) : 서울 함락 제14장 임진왜란사(3) : 북부 지방에서의 전투 제15장 임진왜란사(4) : 서울 수복 제16장 임진왜란사(5) : 세스페데스 신부 제17장 임진왜란사(6) : 강화 회담 제18장 임진왜란사(7) : 정유재란 제19장 임진왜란사(8) : 울산 전투 제20장 임진왜란사(9) : 전후의 변화 제21장 병자호란과 만청관계 : 동아시아의 이삭 제22장 하멜의 표착
제 2 부 정치와 사회 제23장 8도의 지리와 문물 제24장 왕과 왕궁 제25장 정 파 제26장 정부 조직과 통치 제27장 봉건제도ㆍ농노ㆍ사회제도 제28장 여성과 혼속 제29장 아동 생활 제30장 가정ㆍ음식ㆍ복식 제31장 상제와 장례 풍습 제32장 옥외 생활 : 그 성격과 이용 제33장 무속과 신비한 동물학 제34장 전설과 민담 제35장 격언과 속담 제36장 조선의 호랑이 제37장 종 교 제38장 교육과 문화
제 3 부 근대ㆍ현대사 제39장 천주교의 전래 제40장 박해와 순교 제41장 프랑스 선교사의 입국 제42장 쇄국정책의 붕괴 제43장 병인양요 제44장 초기의 한ㆍ미관계 제45장 오페르트의 굴총 사건 제46장 신미양요 제47장 대일 문호 개방 제48장 조약의 체결 제49장 경제 사정 제50장 갑신정변 제51장 청일전쟁과 대한제국 제52장 러일전쟁 제53장 을사조약
역주자 참고문헌 역자 후기
이용현황보기
은자의 나라 한국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05327
951 -20-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05328
951 -20-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은자의 나라 한국 《한말외국인기록》 전 23권은 전 건국대학교 석좌교수 신복룡이 1973년부터 시작하여 27년에 걸쳐 번역·주석한 노작이다. 필자들은 흔히 알려진 하멜(H. Hamel)로부터 여행가인 드레이크(H. Drake)에 이르는 22명의 저자가 격동의 조선조 말기와 일제 강점기에 조선을 방문하여 목격한 기록이다. 필자에 따라서 관심과 주제가 다르기는 하지만 대체로 그들이 기록한 여행기, 문화사, 정치외교사, 선교사, 의학사의 일차 사료들이며, 필자가 직접 그린 그림과 그가 촬영했거나 수집한 사진들은 개화기 조선의 문명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 시대적 요망에 맞게 새로운 체제와 편집으로 11책으로 전면 개정판을 냈다. 이 전집이 완간되었을 때, “한국 개화기 연구사(硏究史)는 이 전집의 출판 전과 후로 그 시대를 구분해야 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필자는 미국 필라델피아 출신으로 본디 버지니아의 럿거스대학에서 자연과학을 전공했다. 그는 일본 후쿠이(福井) 영주의 초청을 받아 초창기 도쿄제국대학에서 물리와 화학을 가르치다가 일본의 역사에 매료되어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는 일본사를 연구하면서 조선을 알지 않고서는 일본을 바로 이해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 한국사를 공부하여 이 대작을 남겼다. 그가 일본에서 봉직하던 기간은 조선의 개항기였기 때문에 그의 저술에 담겨 있는 조선의 대외관계사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이 책은 개화기의 역사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사와 당쟁에 대한 독특한 해석으로 일본의 식민사관과는 다른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말년에는 귀국하여 이타카에서 목사로 활동하다가 타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