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서문 5

Ⅰ. 서론 10

Ⅱ. '다마스쿠스의 봄'(2011)으로 시작된 내전의 국제화 19

1. 2019 중동ㆍ북아프리카 7개 국내 무력충돌 20

2. 시리아 내전의 배경과 계기 21

3. 국제사회의 분열과 중재노력 실패 23

4. 돌출변수 IS의 등장(2014)과 미러의 군사개입 25

5. 아랍의 봄 이후 여타 중동폭력 사태비교, 시리아 내전의 독특성 27

Ⅲ. 미국주도 IS격퇴 연합작전(2014~현재) 30

1. 역사적 배경: 미국-시리아 상호불신 관계 31

2. 미국 주도 CJTF(연합합동군)-OIR(고유결의작전): 계기, 경과, 성과 35

(1) IS위협 확산과 연합 군사개입 35

(2) IS격퇴 성과 37

3. 미국주도 IS퇴치 연합작전에 대한 유엔, 러시아, 이란, 시리아의 반응 38

4. 연합군 vs. 시리아ㆍ러시아군 교전위험(2017~2018) 40

5.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적 철군선언(2018.12)과 이행 유보 44

Ⅳ. 러시아의 아사드지원 참전(2015~현재) 47

1. 역사적 배경: 러시아-시리아 전통적 신뢰 관계 48

2. 2015년 군사개입 동기와 계기 53

3. 러시아군의 아사드정권 지원 참전에 대한 국제사회의 상반된 반응 56

4. 러시아의 아사드정권 지원작전 성과와 비용 56

(1) 2대 전투목표: IS격퇴 & 아사드정권의 영토 재탈환 56

(2) 미국주도 연합군과의 이해 불일치 요소: 아사드 지원/온건반군에 대한 공격/이란결탁 58

(3) 러시아의 "승리" 선언과 재건재촉 58

(4) 푸틴대통령의 대선운동 활용 60

(5) 참전의 인적, 물적 비용 61

Ⅴ. 실패한 평화프로세스: 아사드에 대한 미러 상반된 인식 63

1. 유엔주도 프로세스의 실패 & 러시아 주도 '아스타나 프로세스'의 등장 64

2. 2017년 이후 '아스타나 프로세스' vs. '브뤼셀 프로세스' 69

3.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한계: 러시아/중국의 거부권 행사 71

(1) 아사드정권에 대한 구속력있는 유엔안보리의 제재결의 불능 71

(2) R2P(보호책임, Responsibility to Protect)개념 근간 유엔총회의 대응과 한계 77

4. 중국 변수 82

5. P5 타협안으로서의 유엔안보리 결의문 2254(2015) 83

Ⅵ. 전망: 불투명 86

1. 국제적 요인 ① : 아사드정권에 대한 인식차(미국ㆍEU vs. 러시아) 87

2. 국제적 요인 ② :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간극, P3 vs. P2 구도 89

3. 국제적 요인 ③ : 러시아, 중국, 이란간 영향력 경쟁가능성, 그리고 북한의 관심 90

4. 국내적 요인: 인종, 종교 복합성과 외부세력 연계 93

Ⅶ. 결론: 미국의 역외균형 전략 & 러시아의 친러세력 확충 99

1. 미러 긴장관계속 시리아 의제 101

2. 미러의 시리아 내전 군사적 개입과 대립 102

3. 러시아의 대미 밸런싱 효과 104

4. "주권존중, 내정간섭 불가 원칙" vs. "R2P개념" 대치 105

5. 트럼프 대통령의 대러 및 대중동 정책 불가예측성 106

6. 2019년 8월 기준 물음들 107

Ⅷ/Ⅵ. 부록 110

1. Kofi Annan's Six-Point Peace Plan presented to Syrian President Bashar al-Assad(2012.3.10.) 111

2. Final communiqué of the Action Group for Syria(2012.6.30.) 113

3.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Syria Support Group(ISGG)(2015.11.14.) 123

4.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254(2015)(2015.12.18.) 128

판권기 3

표목차

〈표 1〉 3중 충위론적 교전구도(국가내전, 역외 종파갈등, 국제열강개입) 28

〈표 2〉 러시아 참전(2015.9) 이전 실패한 평화계획들 66

〈표 3〉 러시아 참전(2015.9) 이후 실패한 평화계획들 67

〈표 4〉 유엔안보리의 시리아 내전 관련 결의문 73

〈표 5〉 러시아의 안보리 결의문 초안 거부권 행사 74

〈표 6〉 시리아 내전관련 유엔총회의 결의/서신 79

〈표 7〉 유엔안보리 결의 2254(2015) 요지 84

그림목차

〈그림 1〉 중동ㆍ북아프리카 지도 21

〈그림 2〉 2019년 6월 기준 시리아 내전 전세 26

〈그림 3〉 시리아 지도 35

〈그림 4〉 타르투스항 50

이용현황보기

시리아 내전 : 미국·러시아의 군사개입과 갈등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51902 327.16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