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발간사 3
Ⅰ. 머리말 13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6
1. 자연ㆍ지리적 환경 17
2. 고고ㆍ역사적 환경 19
3. 문헌기록 25
Ⅲ. 조사개요 33
1. 개요 34
2. 동회랑 동편지구 조사 35
3. 조사범위 및 보고서 작성방법 36
Ⅳ. 조사내용 40
1. 제1구역 43
2. 제2구역 65
3. 제3구역 79
4. 제4구역 99
5. 제5구역 116
6. 제6구역 128
7. 제7구역 147
Ⅴ. 고찰 286
1. 와전류 287
2. 토기류 296
3. 황룡사지 동회랑 동편지구의 구조와 성격 305
Ⅵ. 맺음말 317
참고문헌 320
Abstract 322
抄録 323
摘要 324
판권기 326
도면 1. 경주분지 내 중요사찰(寺址) 분포현황도 15
도면 2. 경주분지 항공촬영(1969년) 18
도면 3. 조사지역 위치 및 주변유적 분포도 19
도면 4. 조사지역 위치도 20
도면 5. 동여지도(경상도 중부), 조선후기 23
도면 6. 옛 지도에 표시된 황룡사(일제강점기, 1918년) 23
도면 7. 옛 지도에 표시된 황룡사(일제강점기, 1933년) 24
도면 8. 신라왕경복원도(藤島亥治郞, 『朝鮮建築史論』, 1930) 24
도면 9. 황룡사지 유구 배치(안) 35
도면 10. 황룡사지 발굴조사 조사갱(그리드) 번호 37
도면 11. 전체 유구배치도 및 조사구역 39
도면 12. 동회랑 동편지구 전체 도면 42
도면 13. 제1구역 유구도면 43
도면 14. 제2구역 유구도면 65
도면 15. 제3구역 유구도면 79
도면 16. 제4구역 유구도면 99
도면 17. 제5구역 유구도면 116
도면 18. 제6구역 유구도면 128
도면 19. 제7-1구역 유구도면 147
도면 20. 제7-2구역 유구도면 150
사진 1. 동회랑 동편지구 발굴조사 전경 41
사진 2. 제1구역 전경(남→북) 44
사진 3. 담장1의 석렬(남→북) 44
사진 4. 담장2 전경(북→남) 44
사진 5. 담장4의 전경(서→동) 45
사진 6. 담장1과 담장4의 접속부(남→북) 45
사진 7. 담장1과 건물지1의 적심(북→남) 45
사진 8. 담장 내곽 건물지2 전경(동→서) 45
사진 9. 배수로1 전경(동→서)(2016년 재발굴) 46
사진 10. 배수로1 개석(2016년 재발굴) 46
사진 11. 제2구역 전경(남동→북서) 66
사진 12. 담장1와 담장5의 접속부(남→동) 66
사진 13. 담장2의 석렬과 장대석렬(북→남) 66
사진 14. 건물지3 전경(동→서) 67
사진 15. 건물지3 남편 장대석렬(동→서) 67
사진 16. 장대석유구 및 우물지1 67
사진 17. 건물지4 전경(동→서) 80
사진 18. 건물지4 적심(남→북) 81
사진 19. 건물지4 적심(동→서) 81
사진 20. 담장6(북→남) 81
사진 21. 담장1과 담장6의 접속부(서→동) 81
사진 22. 담장2와 담장6(서→동) 81
사진 23. 배수로(동→서) 81
사진 24. 제4구역 전경(서→동) 100
사진 25. 건물지5 전경(서→동) 101
사진 26. 건물지5 초석(북→남) 101
사진 27. 담장1과 우물지2(남→북) 101
사진 28. 우물지2(동→서) 101
사진 29. 담장2 배수로6(암거시설) 102
사진 30. 배수로7(암거시설) 102
사진 31. 제5구역 전경(동→서) 117
사진 32. 원형유구(추정 유물지)와 주변 석렬(서→동) 117
사진 33. 원형유구와 서편석렬(서→동) 118
사진 34. 원형유구과 서편석렬(서→동) 118
사진 35. 전축유구(서→동) 118
사진 36. 전축유구(남→북) 118
사진 37. 담장2의 석렬 118
사진 38. 담장2 상부 담장8(동→서) 118
사진 39. 제6구역 전경(동→서) 129
사진 40. 해당구역 내 전축렬과 석렬(남→북) 129
사진 41. 석재 제거 후 전축렬(남→북) 129
사진 42. N19E94 조사갱 북편에서 노출된 담장11과 상부 석렬(동→서) 130
사진 43. 제6구역 내 담장2 보축흔적(동→서) 130
사진 44. 장대석렬 상부 담장8(제5구역) 130
사진 45. 건물지7 전경(동→서) 131
사진 46. 우물지와 집석유구(서→동) 131
사진 47. 우물지 131
사진 48. 배수로9 전경(동→서) 132
사진 49. 배수로10(북→남) 132
사진 50. 7-1구역 전경(서→동) 148
사진 51. 건물지8ㆍ9 적심(서→동) 149
사진 52. 건물지8ㆍ9 적심배치(서→동) 149
사진 53. 건물지9 적심과 북편 'ㄴ'형 전축열 149
사진 54. 담장2와 배수로11ㆍ12 149
사진 55. 7-2구역 전경 150
사진 56. 건물지10과 전축유구(서→동) 151
사진 57. 건물지10의 동남우 전축유구(남→북) 151
사진 58. 건물지11 적심(서→동) 152
사진 59. N51E105조사갱 동북 모서리 석렬 152
사진 60. 건물지12 적심(서→동) 153
사진 61. 담장2와 담장12 전경(동→서) 153
사진 62. 담장12(서→동) 154
사진 63. 담장12와 담장13의 교차부분 석렬(북서→남동) 154
도 1. 병 각종 잔존흔 303
도 2. 황룡사지 발굴 유구 현황도 305
도 3. 동회랑 동편 유구 현황도 306
도 4. 동회랑 동편 유구배치 모식도 306
도 5. 제3구역 발굴현황도 308
도 6. 제4구역 발굴현황도 308
도 7. 제4구역 및 건물지5의 전경 308
도 8. 담장9,10, (추정)우물지 309
도 9. 담장9의 북편 전축렬 309
도 10. 전축렬 상부 부석유구 309
도 11. 제7구역 내 선대 전축유구 310
도 12. 제4구역 서편에서 발굴된 선대 우물지 310
도 13. 唐佛寺多院式布局平面示意圖(幷列式, 橫聯式), 『中國古代建築寺』第二卷 p.589(圖3-10-17) 311
도 14. 青龍寺遺址遺蹟分布圖, 『青龙寺 西明寺』 p.11(圖6) 312
도 15. 西明寺遺址遺蹟分布圖, 『青龙寺与西明寺』, p.123(圖66) 312
도 16. 長安 大興善寺 復元平面圖(『中國建築史論匯刊』第十輯 p.101(圖29)) 313
도 17. 『關中創立戒壇圖經』 에 수록된 伽藍圖 314
도 18. 『關中創立戒壇圖經』에 가람배치 모식도 315
도 19. 강당 북서편 연못 316
도 20. 강당 북편 대옹 저장시설 316
도 21. 황룡사지 유구분포현황도(연못지, 대옹 저장시설) 316
도 22. 등잔 316
도 23. 벼루 316
도 24. 청자완(중국) 31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637762 | 951.3109 -20-3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637763 | 951.3109 -20-3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