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총설 1 Ⅰ.헌법의 의의…1Ⅱ.헌법의 특성…3 Ⅲ.헌법의 분류…5Ⅳ.헌법의 제정…7 Ⅴ.헌법개정권력(憲法改正權力)…10Ⅵ.헌법의 개정…10 Ⅶ.헌법의 변동…14Ⅷ.헌법의 변천…15 Ⅸ.헌법수호(=보장)의 의의…17Ⅹ.현행 헌법상 헌법수호제도…19 ⅩⅠ.국가긴급권(國家緊急權)…20ⅩⅡ.저항권(抵抗權)…22 ⅩⅢ.방어적 민주주의(防禦的 民主主義)…24 대한민국헌정사 26 Ⅰ.헌법의 제정…26Ⅱ.헌법의 개정…26 국가형태와 구성요소 31 Ⅰ.국가의 개념…31Ⅱ.국가형태…32 Ⅲ.대한민국의 국가형태…33Ⅳ.대한민국의 구성요소…34 Ⅴ.헌법전문(前文)…38Ⅵ.한국헌법의 기본원리…39 Ⅶ.국민주권(國民主權)의 원리…40 Ⅷ.자유민주주의의 원리 및 민주적 기본질서…42 Ⅸ.법치주의(法治主義)의 원리…45Ⅹ.사회국가(=복지국가)의 원리…47 ⅩⅠ.현행 헌법상 경제질서…49ⅩⅡ.문화국가(文化國家)의 원리…52 ⅩⅢ.평화국가(平和國家)의 원리와 평화주의적 국제질서…53 ⅩⅣ.헌법과 제도적 보장…56ⅩⅤ.정당제도(政黨制度)―복수정당제…58 ⅩⅥ.선거제도(選擧制度)…63ⅩⅦ.공무원제도…67 ⅩⅧ.군사제도…73 기본권총론 76 Ⅰ.기본권(基本權)의 의의…76 Ⅱ.기본권의 역사적 발전과정(각국의 인권선언사)…76 Ⅲ.기본권의 성격…81Ⅳ.기본권의 분류…84 Ⅴ.기본권의 주체…86Ⅵ.기본권의 효력…92 Ⅶ.기본권의 갈등…96Ⅷ.기본권의 내재적 한계…99 Ⅸ.기본권의 제한…102Ⅹ.기본권의 침해와 구제…110 ⅩⅠ.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113ⅩⅡ.행복추구권(幸福追求權)…115 ⅩⅢ.열거되지 않은 기본권…118ⅩⅣ.평등권(平等權)…119 자유권적 기본권 126 Ⅰ.총설…126Ⅱ.생명권(生命權)…128 Ⅲ.신체(身體)의 자유…132Ⅳ.거주?이전의 자유…145 Ⅴ.주거(住居)의 자유…148Ⅵ.사생활의 비밀과 자유…150 Ⅶ.통신의 자유…153Ⅷ.양심의 자유…157 Ⅸ.종교의 자유…161Ⅹ.언론, 출판의 자유…167 ⅩⅠ.집회, 결사의 자유…180ⅩⅡ.학문의 자유…183 ⅩⅢ.예술의 자유…185ⅩⅣ.직업선택의 자유…187 ⅩⅤ.재산권(財産權)…192 정치적 기본권 200 Ⅰ.정치적 기본권 총설…200Ⅱ.참정권…201 청구권적 기본권 204 Ⅰ.청구권적 기본권 총설…204Ⅱ.청원권(請願權)…205 Ⅲ.재판청구권(裁判請求權)…207Ⅳ.형사보상청구권(刑事補償請求權)…210 Ⅴ.국가배상청구권(國家賠償請求權)…212Ⅵ.손실보상청구권(損失補償請求權)…214 Ⅶ.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犯罪被害者救助請求權)…216 사회적 기본권 218 Ⅰ.사회적 기본권 총설…218Ⅱ.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219 Ⅲ.교육을 받을 권리…221Ⅳ.근로의 권리…223 Ⅴ.근로3권…225Ⅵ.환경권(環境權) …228 Ⅶ.보건권, 가족권과 모성권…230Ⅷ.국민의 기본적 의무…231 Ⅸ.납세의 의무…232Ⅹ.국방의 의무…233 ⅩⅠ.교육을 받게 할 의무…236ⅩⅡ.근로의 의무…236 ⅩⅢ.환경보전의 의무…237ⅩⅣ.재산권 행사의 공공복리적합의무…238 통치구조 서설 239 Ⅰ.통치구조의 근본이념…239Ⅱ.통치구조론의 내용…240 통치구조의 구성원리 241 Ⅰ.국민주권의 원리…241Ⅱ.대의제의 원리(=국민대표주의)…241 Ⅲ.권력분립의 원리…244 정부형태 서설 249 Ⅰ.정부형태…249Ⅱ.대통령제(大統領制)…249 Ⅲ.의원내각제(議院內閣制)…251Ⅳ.이원집행부제(=二元政府制)…254 Ⅴ.의회정부제(=회의제)…255Ⅵ.우리나라 정부형태의 변천과정…256 국회 258 Ⅰ.의회주의의 의의…258Ⅱ.의회의 형태…261 Ⅲ.국회의 헌법상 지위…261 국회의 구성원리 263 Ⅰ.양원제(兩院制)…263Ⅱ.단원제(單院制)…265 Ⅲ.우리 헌법상 국회의 구성…265Ⅳ.국회의 기관…266 Ⅴ.위원회(委員會)…267 국회의 운영 269 Ⅰ.회기제(會期制)…269Ⅱ.정족수(定足數)…270 국회의 권한 272 Ⅰ.입법에 관한 권한(=입법권)…272Ⅱ.법률제정권한…274 Ⅲ.법률 이외의 입법에 관한 권한…275 국회의 재정에 관한 권한 277 Ⅰ.서설…277Ⅱ.제정입법권(조세법률주의)…277 Ⅲ.예산의 심의, 확정권…279Ⅳ.국회의 정부재정행위에 대한 통제권…281 Ⅴ.결산심사권…282 헌법기관 구성에 관한 권한 283 Ⅰ.대통령선출권…283Ⅱ.헌법기관 구성원의 선출권…283 Ⅲ.헌법기관 구성원의 임명에 대한 동의권…283 국회의 국정통제에 관한 권한 285 Ⅰ.국정감사 및 조사권…285 Ⅱ.국무총리 임명동의권 및 국무총리?국무위원 해임건의권…288 Ⅲ.국무총리, 국무위원의 출석요구 및 질문권…289 Ⅳ.탄핵소추권…289Ⅴ.국회의 자율권…291 국회의원의 헌법상 지위 294 Ⅰ.국회의원의 헌법상 지위…294Ⅱ.국회의원의 특권…296 Ⅲ.국회의원의 권능과 의무…298 대통령과 행정부 300 Ⅰ.정부형태에 따른 대통령의 지위…300Ⅱ.현행 헌법상 대통령의 지위…300 Ⅲ.대통령의 선거…301 대통령의 신분상 지위 303 Ⅰ.대통령의 권한대행…303Ⅱ.대통령의 형사상 특권…304 Ⅲ.대통령의 책무와 예우…304 대통령의 권한 306 Ⅰ.행정에 관한 권한…306Ⅱ.국회와 입법에 관한 권한…308 Ⅲ.사면권(赦免權)…312Ⅳ.헌법기관 구성 관여권…313 Ⅴ.국민투표부의권…314Ⅵ.정당해산제소권…314 Ⅶ.긴급재정경제처분, 명령권…315Ⅷ.긴급명령권…316 Ⅸ.계엄선포권…317 대통령의 권한행사방법과 통제 319 Ⅰ.권한행사의 방법…319Ⅱ.권한행사의 통제…320 정부 321 Ⅰ.국무총리…321Ⅱ.국무회의…322 Ⅲ.국무위원…323Ⅳ.행정각부…324 Ⅴ.감사원…325Ⅵ.선거관리위원회…326 법원(法院) 328 Ⅰ.법원의 비교법적 지위…328Ⅱ.현행 헌법상 법원의 지위…328 Ⅲ.사법권의 개념…330Ⅳ.사법권의 본질과 기능…330 Ⅴ.사법권의 범위…331Ⅵ.사법권의 한계…333 Ⅶ.사법권의 독립…334Ⅷ.법원의 독립…335 Ⅸ.법관의 독립…335Ⅹ.법원의 조직…339 ⅩⅠ.대법원…340ⅩⅡ.하급법원…341 ⅩⅢ.법원의 권한…343ⅩⅣ.법적 쟁송에 관한 재판권…343 ⅩⅤ.위헌법률심사제청권…344ⅩⅥ.명령, 규칙, 처분심사권…345 ⅩⅦ.규칙제정권…348ⅩⅧ.재판의 심급제…349 ⅩⅨ.재판의 공개제…350ⅩⅩ.배심제도…351 ⅩⅩⅠ.법정질서의 유지제도…352 헌법재판소 354 Ⅰ.헌법재판의 의의…354Ⅱ.헌법재판의 본질…354 Ⅲ.헌법재판권 행사의 소극주의와 적극주의…355Ⅳ.헌법재판기관의 유형…356 Ⅴ.우리 헌법상 헌법재판제도의 변천…357Ⅵ.헌법재판의 한계…358 Ⅶ.헌법재판소의 헌법상 지위…359Ⅷ.헌법재판소의 구성…360 Ⅸ.헌법재판소의 조직…360 헌법재판소의 심판절차 361 Ⅰ.일반심판절차…361Ⅱ.심판당사자와 대표자, 대리인…361 Ⅲ.심리(審理)…362Ⅳ.심판(審判)…363 Ⅴ.종국결정(終局決定)…364 헌법재판소의 권한 365 Ⅰ.위헌법률심판권…365Ⅱ.탄핵심판권…370 Ⅲ.정당해산심판권…371Ⅳ.권한쟁의심판권…373 Ⅴ.헌법소원심판…375Ⅵ.규칙제정권…379
더 보기
머 리 말 헌법이란 국민의 기본권과 국가 통치기구의 조직과 작용에 관한 법이다. 본 저서는 헌법의 주요 내용인 헌법관, 헌법의 서설, 헌법의 기본원리, 헌법의 민주적 기본질서, 기본권, 통치기구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헌법의 최대 사명은 국민의 기본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이므로 통치기구의 조직원리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전제로 운용되어야 한다. 본 저서는 기본권과 통치기구를 일원적으로 이해하여 통치기구는 국민의 기본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수단으로, 기본권은 통치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 내지 목표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헌법은 국민의 기본권 보장의 초석인 동시에 성문의 바이블이라 할 수 있다. 최근 공무원시험 헌법과목의 출제형식에 있어서 사례 및 판례 유형의 비중이 증대됨에 따라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국가시험 수험생들은 본 저서와 판례 기본서를 함께 학습하기를 권한다. 수험생들은 각종 공무원시험 준비과정에서 사례를 접근할 때 이론과 학설에 치우쳐 공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수험방법이다. 사례의 해결은 먼저 실정법인 조문을 중심으로 접근하고, 조문이 없을 경우에 학설이나 이론 내지 최고법원 판례의 내용을 참고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라 할 것이다. 본 저서는 헌법학습자와 수험생이 헌법의 기초체계를 효율적으로 습득하고, 수험준비 과정 중에 사례해결을 위한 이론 및 판례의 참고자료로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특히 본 저서가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 특히 서경대학교 공공인적자원학부 및 대구사이버대학교 복지행정학과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끝으로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도와주신 고마운 분들 중,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 이하 임직원분들께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9년 8월 공저자 백윤철.이준복.문재태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