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판권기
태극기 변천사
발간사 / 주영생
100인의 문인과 독립운동가 열전을 발간하며 / 이강안
목차
전북의 정신 16
조국 광복에 몸 바친 전북 애국지사의 우국충정 / 송희 17
의병활동 18
3.1독립만세운동 19
독립유공자 20
나라 잃은 슬픔에 목숨 끊는 자정순국의 충정 / 신남춘 23
김근배 선생(1847~1910) 23
김영상 선생(1836~1911) 24
장태수 선생(1841~1910) 25
정동식 선생(1850~1910) 25
전주(全州) 28
선비정신의 산성 전주 한옥마을 / 김황곤 29
3.1독립만세운동 30
조국 광복의 별이 되다 김영휘(金永輝) / 김황곤 33
오로지 조국 독립과 광복을 위해 헌신한 김인전(金仁全) / 신남춘 36
생명을 걸고 애국, 애족의 행동을 실천한 김진억(金鎭億) / 김환생 39
반일 극일의 웅변으로 민중의 의분을 일으킨 김춘배(金春培) / 김월숙 42
광양에서 의병을 일으킨 맹인 의병장 백낙구(白樂九) / 박경희 45
한옥마을을 수호한 선비 최병심(崔秉心) / 소순상 47
익산(益山) 52
미륵산 정기 이은 불굴의 의지 익산의 항일투쟁과 애국충절 / 신남춘 53
3.1독립만세운동의 정신적 지주 문용기(文鏞祺) / 구순자 57
평생 나라 사랑을 몸소 실천한 엄창섭(嚴昌燮) / 김영진 59
시조 시인이자 국문학자이며 독입운동가 이병기(李秉岐) / 심재남 63
전북 유일의 생존 애국지사 이석규(李錫奎) / 서상옥 67
구국의 대열에서 혼신의 힘을 쏟은 이재환(李載煥) / 양봉선 71
3.1독립만세운동의 산파 임규(林圭) / 이숙희 74
"신간회운동은 독립운동의 수확기이다"라는 격문을 작성한 임영택(林榮澤) / 최정아 76
구국의 대열에서 혼신의 힘을 쏟은 장경춘(張京春) / 안영 78
살신성인 정신으로 조국 독립운동 의지를 불태운 정동식(鄭東植) / 유현상 82
군산(群山) 86
수탈의 현장에서 일어난 의거 / 심옥남 87
군산의 노동운동 88
옥구 소작쟁의 89
3.1독립만세운동 90
태인의병을 이끈 민족 지도자 임병찬(林炳瓚) / 최장순 93
조국을 사랑했던 열혈 청년 김영현(金寧炫) / 유응교 95
옥구 일대 독립만세운동 계획 주도 김홍렬(金洪烈) / 전근표 97
전 재산을 독립자금으로 헌납한 애국지사 이인식(李仁植) / 이종희 99
조국 독립의 뜻을 굽히지 않은 조수완(趙守完) / 김옥중 104
사할린의용대 소대장, 신민부 별동반장 역임 채세윤(蔡世允) / 김은실 107
정읍(井邑) 112
호남의병 불붙인 병오창의 태인의병 / 최신림 113
인간다운 삶, 인간 존엄성에 가치를 둔 멸사봉공의 자세 고평(高平) / 박귀덕 116
대인의 풍모를 지닌 선각자 라용균(羅容均) / 이여산 119
무정부주의 독립운동가 백정기(白貞基) / 이희근 123
노년의 열혈 의사 유병우(柳秉禹) / 임석재 128
노년의 열혈 의병장 이성화(李成化) / 양규창 131
겨레의 소원을 일구어 내는 애국애족의 불꽃 차병선(車炳先) / 장욱 134
김제(金堤) 138
김만경 넓은 벌에 끝없는 우국충정 / 박영택 139
산미증식계획 139
소작쟁의 140
3.1독립만세운동 141
독립운동가 142
항일비밀결사 광복단의 군자금 모금 곽경렬(郭京烈) / 전용직 143
국내와 만주에서 항일무장투쟁 전개 박운경(朴雲景) / 송일섭 146
언론을 통해 국권 수호와 제도 개혁에 힘쓴 이기(李沂) / 김계식 149
광복군 제1지대장 역임 이종희(李鍾熙) / 오영자 153
부친과 함께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이칠봉(李七峰) / 김광원 155
조선 말기 문신이자 근대의 애국계몽가 장태수(張泰秀) / 김재교 157
항일구국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중앙고등보통학교 설립 장현식(張鉉植) / 유대준 160
『항쟁시보』를 발간, 한·중 양국의 공동 투쟁을 도모한 정현섭(鄭賢燮) / 우미자 163
위인동화 : 최익현이 태인에서 거의할 때 간부로 활동 유종규(柳鍾奎) / 김영 168
남원(南原) 176
남원의 구국운동 그 편력을 더듬어 / 소재호 177
남원 덕과면 도화곡 3.1독립만세운동의 함성 178
남원 장터 3.1독립만세운동 만세 소리 청천의 벽력이었다 178
의병장 양한규를 받들어 칭송하리 179
선구적 의병활동을 펼친 고광덕(高光德) / 공숙자 181
대한국민회를 조직 민중의 봉기 호소 박기영(朴琪永) / 김두성 184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조선 내 특파외무부원으로 활약 박정석(朴正錫) / 안도 187
남원 장날 만세운동 현장에서 순절 방극용(房極鏞) / 양영아 190
이석용 의진인 호남의병창의동맹단에서 항일의병투쟁 소팔백(蘇八伯) / 소재호 193
의병을 일으켜 적을 토벌하고 국권 회복 결의 양한규(梁漢奎) / 김사은 196
창씨개명, 신사참배, 삭발, 일장기 게양 거부 운동 주도 이태현(李太鉉) / 황용수 199
무장투쟁을 통해 국권을 회복하고자 한 황석(黃奭) / 박철영 201
완주(完州) 204
도처가 비경이요, 곳곳이 정서 순화의 고장 / 백봉기 205
자활자립형 의병진, 완주에 우뚝 206
가금재 전투, 유지명 등의 혁혁한 공훈 207
고산의 고흥 유씨 일문 구의사의 구국 충절 기리노니 207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옥중 순국 고정식(高貞植) / 오연미 210
일제의 심장을 겨눈 깊은 밤의 총소리 김춘배(金春培) / 신영규 213
수백 명의 의병을 모아 일본군과 교전한 유지명(柳志明) / 송일섭 217
무주(茂朱) 220
신명선과 칠연의총 / 전선자 221
칠연의총 앞에서 221
무주의 의병사 222
심남일 의진에서 선봉장으로 활약 강무경(姜武景) / 왕태삼 225
덕유산을 거점으로 활동한 의병장 신명선(申明善) / 이연희 228
무주에서 3.1독립만세운동을 주도 전일봉(全日奉) / 최화경 232
항일 학생 결사 '연구회'를 결성하고 국권 회복 정진 최낙철(崔洛哲) / 이정숙 236
진안(鎭安) 240
진안은 명승의 고장, 창의도 활화산이었다 / 이용미 241
마이산에 붉게 피어난 호남의병창의동맹단 241
마령 장터 3.1독립만세운동 242
황준성 의병장의 장렬한 생애 243
마이산에서 호남의병창의동맹단을 결성 이석용(李錫庸) / 황송해 244
호남 최초의 의병인 태인의병에서 중근장으로 활약 최제학(崔濟學) / 신팔복 246
이석용 의진에서 참모로 활동 한사국(韓士國) / 한선자 250
완도, 해남 일대에서 활동한 의병장 황준성(黃俊聖) / 박정념 253
백의민족단을 조직하여 독립 자금 후원 이름 없는 독립운동가 / 허호석 255
장수(長水) 258
장수 독립운동가 행적을 찾아서 / 전일환 259
산서와 번암의 3.1독립만세운동 259
백용성 조사, 그를 우러러 받들리니 260
정인승 선생, 조선의 얼 한글을 지켜냈네 261
문태서, 장한 의병대장이 되다 261
민종식 의진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한 의병장 김동신(金東臣) / 강순필 263
장수읍 독립만세운동을 계획, 독립사상을 고취 박영춘(朴永春) / 조미애 265
대구감옥에서 100인의 동지를 탈출시키고 순국한 박춘실(朴春實) / 최기춘 269
호남 최고의 의병장 전기홍(全其泓) / 전병윤 272
임실(任實) 276
애국선열들의 항일운동이 전국에서 으뜸인 호국의 성지 임실 / 김추리 277
비밀결사대 임자동밀맹단 단원으로 활약 김인식(金仁植) / 윤현순 282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 천도교의 최고 지도자 박준승(朴準承) / 진원종 286
오수리 장날 독립만세운동 주동 오병용(吳秉鎔) / 조윤수 289
오수리 장터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주동 이기송(李基松) / 김추리 292
임실군 오수리 장터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주동 이회열(李會烈) / 김학 295
붓으로 지켜낸 구국의 신념 조희제(趙熙濟) / 이내빈 299
민족 광복운동의 밀알이 된 독립운동가 허박(許樸) / 김정길 303
순창(淳昌) 306
고추장보다도 매운 의지로 다진 순창의 의병정신 / 정재영 307
독립운동을 하다 잡혀 온 독립투자 무료 변론 김병로(金炳魯) / 장교철 311
순창 정읍 태인 장성 등지에서 항일무장투쟁 전개 김선여(金善汝) / 구윤상 315
임시정부 통신원으로 국내에 밀파되어 군자금 모금 김일두(金一斗) / 김경희 318
후진들에게 학문을 가르치고 항일사상을 고취 설진영(薛鎭永) / 설임수 321
최익현 의병부대에서 대포장으로 활약 채영찬(蔡永贊) / 소병열 325
순창·고부 등 전라남북도 일대에서 의병장으로 활동 신보현(申甫鉉) / 박일천 327
최산흥 의병부대에 들어가 항전하며 군자금 모금활동 양경학(梁景學) / 배재열 331
회문산에서 의병을 일으켜 국권 회복에 정진 양윤숙(楊允淑) / 김기찬 334
중군장 최산홍 의진에 가담 순창군 일대에서 활약 이황룡(李黃龍) / 이상우 338
양윤숙 의병장의 휘하에서 군자금 모금 활동 정기선(鄭基善) / 김은숙 341
김경관 의진에 참가하여 군자금 조달 진치언(陳致彦) / 소동호 343
이경춘 이석용 양윤숙 의진에서 일군과 전투 전개 최산흥(崔山興) / 이진재 347
고창(高敞) 350
선운사 동백보다 더 붉은 단심으로 일제에 맞선 / 진동규 351
면암 최익현이 무성서원에서 거의하자 참가하여 활약 강종회(姜鍾會) / 박종은 354
고석진 고용진과 함께 면암 최익현 의진에서 활약 고예진(高禮鎭) / 송희 357
최익현의 태인의거 당시 참모로 군사 모집 활동 고석진(高石鎭) / 김경녀 360
파리강화회의에 보낼 장서의 서명운동 전개 고용진(高龍鎭) / 김기화 362
전남 장성에서 「창의포고문」 살포 고제남(高濟南) / 김현조 366
고창 무장 부안과 전남의 담양 등지에서 활약 김공삼(金公三) / 김상휘 370
구국의 혼 불태워 민족의식 고취 김승옥(金升玉) / 심옥남 374
무장 장터 군중 선두에서 독립선언서 낭독 김영완(金永玩) / 이재천 377
전북감독부를 조직하고 감독에 취임, 군자금 모집 노진룡(魯鎭龍) / 이점이 379
기삼연이 거의하자 무기를 수집하여 제공 박도경(朴道京) / 정군수 381
백성기와 함께 동지 규합, 을사늑약 반대운동 전개 백인수(白麟洙) / 정정애 385
이대국 의병장의 선봉장으로 활약 서종채(徐鍾採) / 김금남 388
총독 데라우치에게 국권반환요구서, 일본군 철병요구서 제출 유장렬(柳漳烈) / 황호정 390
장성 함평 영광 일대에서 항일투쟁 전개 이철형(李哲衡) / 김영렬 393
최익현 의병부대 소모장 겸 중군장으로 활약 정시해(鄭時海) / 유영봉 395
독립의군부 특파 내외순찰사로 활약 최전구(崔銓九) / 김호심 400
부안(扶安) 404
뼛속 깊은 충의와 애국혼이 빛나는 부안 / 김황곤 405
의병활동 408
조선공단당 조직부장 및 초대 책임비서 역임 김철수(金錣洙) / 기세원 412
임시정부 군자금 모집책으로 활동 신헌(辛憲) / 신진탁 415
위인소설 : 팔도사민 「창의포고문」을 작성하여 전국에 살포 고치범(高致範) / 노령 420
창작판소리 426
늠름한 기상의 의병장 이석용(李錫庸) / 안숙선 ; 김용택 427
용맹정진한 민족대표 33인 백용성(白龍城) / 방수미 ; 김병용 434
3.1독립만세운동의 정진적 지주 문용기(文鏞祺) / 박애리 ; 안도현 441
전북 3.1독립만세운동의 주역 전주 신흥·기전학교 독립만세운동 / 이자람 ; 곽병창 445
자유를 꿈꾼 독립운동가 백정기(白貞基) / 왕기석 ; 신귀백 453
3.1혁명과 대한민국임시정부 / 송재영 ; 임진택 460
전북 독립운동가, 애국 사적을 서사문학으로 엮다 / 소재호 46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625468 | 951.63092 -20-18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625469 | 951.63092 -20-18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