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발간사 / 전범권

저자

목차

제1장 2020년 산림과 임업의 전망 / 박현 ; 정병헌 ; 김기동 ; 신중훈 ; 한희 ; 이수민 ; 장주연 ; 유리화 ; 박지현 ; 김준헌 ; 김영환 5

01. 국내외 경제 여건과 전망 8

1.1. 국외 경제 여건과 전망 8

1.2. 국내 경제 여건과 전망 9

02. 임업생산액 동향과 전망 16

2.1. 임업 16

2.2. 임산업 17

03. 임업 동향과 전망 18

3.1. 목재 18

3.2. 목재펠릿 19

3.3. 단기소득임산물 22

3.4.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PLS, Positive List System) 제도 25

04. 산림서비스 산업의 동향과 전망 27

4.1. 산림탄소시장 27

4.2. 산림복지서비스 29

4.3. 수목진료서비스 30

제2장 산림·임업·산촌의 주요 이슈 33

제1편 빅데이터 기반 산림재해 관리 / 원명수 35

01. 데이터 테크놀로지(Data Technology) 36

1.1. DT 시대의 개막 36

1.2. IT와 DT의 차이는 무엇일까? 37

1.3. 빅데이터가 우리 생활에 어떻게 활용이 가능할까? 38

02. 빅데이터와 산림재해관리 41

2.1. 산불관리 분야 41

2.2. 산사태관리 분야 45

2.3. 산림병해충관리 분야 48

03. 여건변화 및 미래전망 54

3.1. 여건변화 분석 54

3.2. 4차 산업혁명 요소기술로 인한 산림·임업분야의 변화 전망 56

제2편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산림경영 / 이문용 57

01. 서론 58

02. 빅데이터 기술의 현황 및 중요성 59

2.1. 빅데이터 시장 전망 59

2.2. 빅데이터 분석의 중요성 59

2.3. 빅데이터의 힘 : 2017 대선 분석 60

03. 빅데이터의 특징 61

3.1. 빅데이터 특징 : 규모(Volume) 61

3.2. 빅데이터 특징 : 다양성(Variety) 61

3.3. 빅데이터 특징 : 속도(Velocity) 62

3.4. 빅데이터의 유용성 62

04. 빅데이터 활용 전략 64

4.1. 빅데이터 활용 원리 : 관찰(Observation) 64

4.2. 빅데이터 활용 원리 : 발견(Discovery) 65

4.3. 빅데이터 활용 원리 : 예측(Prediction) 65

4.4. 빅데이터 활용 원리 : 학습(Learning) 66

05. 결론 68

제3편 산림자원 순환경제의 기회와 도전 / 배재수 ; 김영환 ; 한희 ; 신중훈 69

01. 논의 배경 70

02. 우리나라 산림자원의 현재와 미래 73

2.1. 국가 산림자원의 현재와 미래 73

2.2. 경제림육성단지의 산림자원 76

2.3. 시사점 78

03. 우리나라 임업의 현재와 미래 80

3.1. 거시지표 80

3.2. 임업지표 81

3.3. 목재수급의 장기 전망 85

3.4. 시사점 86

04. 산림과 임업의 기회 요인 87

4.1. 산림흡수원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포함 87

4.2.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사업의 경쟁력 확보 88

4.3. 경제림육성단지의 재편 89

05. 산림자원 순환경제의 이해 90

5.1. 이론적 배경 90

5.2. 개념 정의 91

5.3. 일본의 순환형 임업 사례 92

5.4. 산림자원 순환경제의 필요성 95

06. 새로운 도전 : 산림자원의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중점과제 97

제4편 목조건축 시장의 동향과 전망 / 심국보 101

01. 대형 목조건축물을 실현하는 공학목재 102

02. 세계의 목조건축 동향 104

03. 우리나라의 목조건축 동향 107

04. 국산재의 목조건축 재료 활용 가능성 111

05. 목조건축 확대를 위한 필요조건 112

제5편 산림생명산업의 동향과 전망 / 오세량 115

01. 산림생명산업 개념 및 범위 116

1.1. 생명산업 개념 116

1.2. 생명산업 범위 116

1.3. 산림생명산업 개념 및 범위 119

02. 산림생명자원 개념 및 범위 120

2.1. 생명자원 개념 및 범위 120

2.2. 산림생명자원 현황 124

2.3. 천연물자원 현황 126

03. 산림생명산업 현황 129

3.1. 우리나라 생명산업 현황 129

3.2. 산림생명산업 정책 동향 132

3.3. 산림과학기술 기본계획 134

04. 산림생명산업의 전망 140

제6편 지방분권시대 농산촌 발전 전략 / 오형은 141

01. 농산촌 이해 142

1.1. 용어 정의 142

1.2. 과소화, 고령화, 재정악순환 143

1.3. 농산촌 정책 145

02. 지방분권시대 146

2.1. 국토균형발전과 커뮤니티기반의 주거환경 조성 146

2.2. 지방분권을 위한 재정분권 146

03. 농산촌 지자체 주도의 어려움 149

3.1. 추진체계 149

3.2. 지역역량 150

3.3. 사업과 예산 151

04. 지자체 주도형 농산촌 발전전략 154

4.1. 통합형 공간 계획 수립 154

4.2. 융합형 조직체계 개편 157

4.3. 다양한 일자리 육성 160

05. 맺음말 163

제7편 지방분권시대 귀산촌 정책 / 장주연 ; 설아라 165

01. 우리나라 산촌이 직면한 현실 166

1.1. 인구감소 166

1.2.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의 강화 167

1.3. 인구감소와 지방분권시대의 산촌정책 169

02. 산촌의 인구 추이와 특성 171

2.1. 산촌의 인구 추이 171

2.2. 산촌 인구 추이의 특성 176

2.3. 정책적 시사점 183

03. 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산촌정책 184

3.1. 귀산촌 정책 184

3.2. 귀산촌인 정착 실태 190

3.3. 정책적 시사점 195

04. 지방분권시대, 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귀산촌 정책의 방향과 과제 197

제3장 부문·품목 전망과 이슈 203

제8편 목재산업 여건 및 원목 수급 동향과 전망 / 김기동 205

01. 목재산업 여건 206

1.1. 국내총생산 206

1.2. 건설부문 208

1.3. 2020년 예산 213

02. 원목 215

2.1. 수급동향 215

2.2. 수급전망 220

제9편 제재목, 합판 및 보드류 수급 동향과 전망 / 김기동 223

01. 제재목 224

1.1. 수급동향 224

1.2. 수급전망 227

02. 합판 229

2.1. 수급동향 229

2.2. 수급전망 232

03. 파티클보드 234

3.1. 수급동향 234

3.2. 수급전망 236

04. 중밀도 섬유판 238

4.1. 수급동향 238

4.2. 수급전망 241

제10편 목재펠릿 수급 동향과 전망 / 이수민 243

01. 목재펠릿 산업 정책 244

1.1.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의 이용·보급 촉진 244

1.2. 목재펠릿과 목재칩의 품질규격 개정 247

1.3.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와 신재생에너지 시장 249

02. 국내 목재펠릿 수급 동향 252

2.1. 국내 목재펠릿 수입 동향 252

2.2. 국내 목재펠릿 생산 및 가격 현황 257

03. 2020년 및 중장기 국내 목재펠릿 시장 전망 259

3.1. 2020년 산림정책 변화에 따른 시장 영향 259

3.2.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260

3.3. 2020년 목재펠릿 시장 전망 263

3.4. 2020년 이후 중장기 목재펠릿 시장 전망 267

제11편 산림과수 및 표고버섯 수급 동향과 전망 / 정병헌 ; 이욱 269

01. 임산물 생산 동향 270

1.1. 단기소득임산물 생산 동향 270

1.2. 단기소득임산물 수출입 동향 271

02. 밤 272

2.1. 수급 동향 272

2.2. 수급 전망 276

03. 대추 278

3.1. 수급 동향 278

3.2. 수급 전망 281

04. 떫은감 283

4.1. 수급 동향 283

4.2. 수급 전망 286

05. 표고버섯 288

5.1. 수급 동향 288

5.2. 수급 전망 295

제12편 산채류 및 약용류 수급 동향과 전망 / 박홍우 ; 전권석 297

01. 산채류 및 약용류의 개황 298

1.1. 산채류 및 약용류의 국내 총생산액 298

1.2. 산채류 및 약용류의 업종·품목별 종사 호수 299

1.3. 임가소득 동향 301

1.4. 산채류 및 약용류의 수급 전망 302

02. 고사리 303

2.1. 수급 동향 303

2.2. 수급 전망 306

03. 더덕 308

3.1. 수급 동향 308

3.2. 수급 전망 311

04. 도라지 313

4.1. 수급 동향 313

4.2. 수급 전망 316

05. 산양삼 317

5.1. 수급 동향 317

5.2. 산양삼 산업의 활성방안 및 향후 전망 320

06. 오미자 322

6.1. 수급 동향 322

6.2. 수급 전망 325

07. 당귀 326

7.1. 수급 동향 326

7.2. 수급 전망 329

제13편 PLS제도 도입에 따른 단기소득 임산물 재배 대응 방안 / 김준헌 ; 이상현 331

01. PLS제도 332

02. 임산물의 약제 등록 및 사용 실태 336

2.1. 약제 등록 336

2.2. 농약사용 실태 조사 338

03. 산림병해충 항공방제에 의한 비의도적 비산 340

04. 단기소득 임산물의 재배 대응 방안 341

제14편 산림탄소시장의 동향과 전망 / 한희 ; 배재수 ; 김영환 ; 신중훈 343

01. 들어가며 344

02. 국내외 산림탄소배출권 시장 동향 346

2.1. 국외 동향 346

2.2. 국내 동향 349

03. 국내 산림탄소배출권 사업의 전망 354

3.1. 산림부문의 감축량 산정 방식 354

3.2. 산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전망 356

3.3. 산림탄소배출권 사업의 정책적 활용 방안 357

04. 나가며 360

제15편 산림복자서비스의 동향과 전망 / 유리화 ; 장윤선 361

01. 국민여가활동 및 트렌드 변화 362

02. 산림복지서비스 현황 및 수요 364

2.1. 산림복지서비스 현황 364

2.2. 2019년 산림휴양·복지활동 실태 조사결과 367

2.3. 산림복지서비스 수요 변화 368

03. 산림복지서비스 전망 375

제16편 수목진료서비스의 동향과 전망 / 박지현 377

01. 생활권 도시림 378

1.1. 생활권 도시림 현황 378

1.2. 생활권 도시림의 기능 379

02. 국내·외 수목진료서비스의 동향 381

2.1. 국내 수목진료서비스의 동향 381

2.2. 국외 수목진료서비스의 동향 385

03. 수목진료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 389

3.1. 보다 체계적인 수목진료서비스 389

3.2. 수목진료서비스의 전망과 발전방향 392

2020 산림·임업전망 자료집 오류 정정 사항 397

판권기 399

이용현황보기

(2020) 산림·임업 전망 : 국민이 누리는 산림, 임업, 산촌의 가치를 실현하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29330 634.9 -20-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29331 634.9 -20-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