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4
Ⅰ. 서론 19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9
가. 전체 10년(2016-2025)의 연구사업 계획 19
나. 연구사업 추진 경과(2016-18년) 23
다. 2017-18년 연구사업의 성과와 한계 24
2. 연구 내용 27
3. 연구 방법 31
Ⅱ. 이론적 배경 : 교육통계 국제협력사업의 지속적 발전 방안 탐색 37
1. 1~3차년도 연구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개관 37
가. 1차년도 이론적 배경 개관 37
나. 2차년도 이론적 배경 개관 39
다. 3차년도 이론적 배경 개관 42
2. 한국의 교육개발협력 개관 43
가.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정책과 전략 43
나. 한국의 교육개발협력 현황 57
Ⅲ. 아시아 3개국 교육통계ㆍ지표 컨설팅 결과 64
1. 아시아 3개국 교육통계ㆍ지표 컨설팅 개요 64
가. 컨설팅 추진 경과 64
나. 교육통계체제 진단틀 67
2. 몽골 교육통계ㆍ지표 컨설팅 결과 73
가. 몽골 컨설팅 경과 개요 73
나. 몽골 교육통계ㆍ지표 발전 수준 진단 74
다. 몽골 교육통계 개선을 위한 도출과제 79
라. 몽골 컨설팅 주요 성과 85
마. 몽골 교육통계 발전 계획 89
3. 베트남 교육통계ㆍ지표 컨설팅 결과 94
가. 베트남 컨설팅 경과 개요 94
나. 베트남 교육통계ㆍ지표 발전 수준 진단 96
다. 베트남 교육통계 개선을 위한 도출과제 101
라. 베트남 컨설팅 주요 성과 106
마. 베트남 교육통계 발전 계획 108
4. 스리랑카 교육통계ㆍ지표 컨설팅 결과 112
가. 스리랑카 컨설팅 경과 개요 112
나. 스리랑카 교육통계ㆍ지표 발전 수준 진단 114
다. 스리랑카 교육통계 개선을 위한 도출과제 125
라. 스리랑카 컨설팅 주요 성과 131
마. 스리랑카 교육통계 발전 계획 133
5. 종합 및 평가 134
가. 아시아 3개국 컨설팅 결과 종합 134
나. 아시아 3개국 컨설팅에 대한 평가 136
다. 국가별 컨설팅 총평 144
6. 국제기구와의 협력 148
Ⅳ. 2주기 교육통계ㆍ지표 협력을 위한 국제협력 모델 정립 158
1. 교육통계체제 발전 수준에 따른 모델 160
2. 협력유형에 따른 모델 166
3. 협력내용 및 단계에 따른 모델 170
4. 2주기 교육통계ㆍ지표 국제협력 방안 176
가. 2주기 교육통계ㆍ지표 국제협력 방향 176
나. 2주기 교육통계 컨설팅 국가 선정 180
다. 2주기 연구사업의 내용과 추진 방법 183
Ⅴ. 결론 186
1. 요약 187
가. 연구 개요 187
나. 1주기 교육통계ㆍ지표 컨설팅 결과 188
다. 2주기 교육통계ㆍ지표 협력을 위한 국제협력 모델 정립 190
2. 제언 191
가. 교육통계 국제협력 정책ㆍ사업 방향 192
나. 교육통계 국제협력 정책ㆍ사업의 효과성 제고 193
다. 국제사회와의 교류 및 국제 네트워크 활용 198
참고문헌 201
Abstract 206
판권기 209
[그림 Ⅰ-1] 전체 연구사업의 목표 20
[그림 Ⅰ-2] 1주기 3년차 교육통계 역량 강화 컨설팅 수행 단계 29
[그림 Ⅰ-3] 2019년 연구 내용 개요 30
[그림 Ⅱ-1] 국제개발협력 추진 체계 45
[그림 Ⅱ-2] 연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수립 절차 52
[그림 Ⅱ-3] 최근 5년의 ODA 지원 규모와 교육분야 비율 추이 57
[그림 Ⅱ-4] 최근 5년의 교육분야 세부분야별 지원 규모 58
[그림 Ⅲ-1] 협력국가 교육통계 역량 강화 컨설팅 추진 프로세스(2017~2019년) 67
[그림 Ⅲ-2] 몽골교육통계 진단 개념도 75
[그림 Ⅲ-3] 몽골 교육통계 단계별 발전 모형 84
[그림 Ⅲ-4] 몽골 교육통계 지침 개정(안) 87
[그림 Ⅲ-5] 몽골 교육통계 포켓북 88
[그림 Ⅲ-6] 베트남 국무총리 결정(No.43ㆍ2010ㆍQD-TTG:국가통계지표시스템의 발행), 교육부고시(39ㆍ2011ㆍTT-BGDDT: 교육 및 훈련 통계 지표 시스템 공표) 97
[그림 Ⅲ-7] 베트남 교육통계 발전 과제 105
[그림 Ⅲ-8] 유치원 및 고등교육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규정 공표(1904/QD-BGDDT, 2019.7.4.) 107
[그림 Ⅲ-9] 베트남 교육통계 발전 미션 109
[그림 Ⅲ-10] 베트남 교육통계 발전 비전 및 추진전략 111
[그림 Ⅲ-11] 수집된 통계자료와 조사지 116
[그림 Ⅲ-12] 스리랑카 국가 교육정보 관리시스템(NEMIS) 117
[그림 Ⅲ-13] 스리랑카 교육통계 관리 현황 117
[그림 Ⅲ-14] 스리랑카 교육통계 조사 절차 118
[그림 Ⅲ-15] 스리랑카 통계작성 프로세스 119
[그림 Ⅲ-16] 스리랑카 초ㆍ중등교육체계 123
[그림 Ⅲ-17] 스리랑카 교육통계 발전과제 모형 128
[그림 Ⅲ-18] 스리랑카 교육통계 정보화 구축 구조 예시(컨설팅단 제시안) 132
[그림 Ⅳ-1] 우리나라 교육통계 발전 단계 162
[그림 Ⅳ-2] SABER-EMIS 개념적 분석틀 172
[그림 Ⅳ-3] 2021년 정부부처제안사업 주요 변동 사항 175
[그림 Ⅳ-4] KOICA 국가지원계획(CP) 개념도 175
[그림 Ⅳ-5] 교육통계 국제협력 내용 및 단계에 따른 모형 176
[그림 Ⅳ-6]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SDG4 세부지표별 데이터 가용 현황 177
[그림 Ⅳ-7] 2주기 교육통계 역량 강화 컨설팅 지원서 양식 18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634751 | 379.129 -19-3 | v.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634752 | 379.129 -19-3 | v.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