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2019 국민환경의식조사 개요 14

제2장 2019 국민환경의식조사 주요 결과 18

1. 환경인식 18

2. 환경태도/실천 24

3. 환경수요/정책 30

4. 물환경 36

5. 생태계서비스 44

6. 종합분석 및 시사점 50

제3장 2019 국민환경의식조사 설문지와 통계표 53

1. 국민환경의식조사 설문지 53

2. 통계표 66

가. 환경인식 66

나. 환경태도/실천 99

다. 환경수요/정책 134

라. 특별세션 1: 물환경 186

마. 특별세션 2: 생태계서비스 210

참고문헌 224

판권기 2

표목차

〈표 1-1〉 표본설계 및 조사방법 16

〈표 1-2〉 응답자 특성 비교(2018년 vs. 2019년) 17

〈표 3-1〉 환경 관심 정도 66

〈표 3-2〉 부문별 환경상태 만족 정도: 대기(공기)질(미세먼지, 오존 등) 67

〈표 3-3〉 부문별 환경상태 만족 정도: 강/하천/호수/바다 수질(녹조, 적조 등) 69

〈표 3-4〉 부문별 환경상태 만족 정도: 실내ㆍ실외 소음 정도 70

〈표 3-5〉 부문별 환경상태 만족 정도: 쓰레기 처리(냄새, 경관 등) 72

〈표 3-6〉 부문별 환경상태 만족 정도: 생활 속 화학물질(세제, 가습기 살균제, 락스, 섬유 유연제, 방향제, 소독제 등)로 인한 오염 73

〈표 3-7〉 부문별 환경상태 만족 정도: 생물다양성, 멸종위기종 서식지, 생태계 보전 75

〈표 3-8〉 부문별 환경상태 만족 정도: 도시 녹지 면적 및 공원 이용 76

〈표 3-9〉 부문별 환경상태 만족 정도: 자연경관(경치) 78

〈표 3-10〉 부문별 환경상태 만족 정도: 모든 부문을 고려한 환경 전반의 상태 79

〈표 3-11〉 부문별 환경상태 만족 정도: 부문별 만족 %(종합) 81

〈표 3-12〉 부문별 환경상태 만족 정도: 만족도 평균(종합) 82

〈표 3-13〉 환경 용어 인지 여부: 인지 %(종합) 84

〈표 3-14〉 기후변화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 87

〈표 3-15〉 기후변화 발생과 관련한 입장 90

〈표 3-16〉 기후변화 발생의 주요 원인 91

〈표 3-17〉 기후변화 심각 정도 93

〈표 3-18〉 기후변화가 본인에게 심각한 정도 94

〈표 3-19〉 기후변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받을 시점 96

〈표 3-20〉 환경보전 책임이 가장 큰 주체 97

〈표 3-21〉 환경태도(환경친화적 행동 대 편리함) 99

〈표 3-22〉 친구나 동료 대비 환경보전 실천 정도 101

〈표 3-23〉 환경보전 행동별 실천 여부: 실천 %(종합) 102

〈표 3-24〉 친환경적 태도 및 생활습관 실천의 어려움: 동의 %(종합) 105

〈표 3-25〉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1) 107

〈표 3-26〉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2) 108

〈표 3-27〉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3) 110

〈표 3-28〉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4) 111

〈표 3-29〉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5) 113

〈표 3-30〉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6) 114

〈표 3-31〉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7) 116

〈표 3-32〉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8) 117

〈표 3-33〉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9) 119

〈표 3-34〉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10) 120

〈표 3-35〉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11) 122

〈표 3-36〉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12) 123

〈표 3-37〉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 동의 %(종합) 125

〈표 3-38〉 환경 관련 진술별 동의 수준: 동의 정도 평균(종합) 128

〈표 3-39〉 환경정보 취득 정도 131

〈표 3-40〉 환경정보 취득 주 경로 132

〈표 3-41〉 우리나라 발전 평가에서의 중요 기준 134

〈표 3-42〉 환경과 경제성장 간 관계에 관한 진술(1) 135

〈표 3-43〉 환경과 경제성장 간 관계에 관한 진술(2) 137

〈표 3-44〉 환경과 경제성장 간 관계에 관한 진술(3) 138

〈표 3-45〉 환경과 경제성장 간 관계에 관한 진술(4) 140

〈표 3-46〉 환경과 경제성장 간 관계에 관한 진술: 동의 %(종합) 141

〈표 3-47〉 환경과 경제성장 간 관계에 관한 진술: 동의 정도 평균(종합) 143

〈표 3-48〉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환경문제(1순위) 144

〈표 3-49〉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환경문제(1+2순위) 147

〈표 3-50〉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환경문제(1+2+3순위) 150

〈표 3-51〉 가장 효율적인 플라스틱 쓰레기 해결방법(1순위) 153

〈표 3-52〉 가장 효율적인 플라스틱 쓰레기 해결방법(2순위) 155

〈표 3-53〉 환경보전 책임이 가장 큰 주체 156

〈표 3-54〉 주체별 환경보전 노력 평가: 중앙정부 158

〈표 3-55〉 주체별 환경보전 노력 평가: 지방자치단체 159

〈표 3-56〉 주체별 환경보전 노력 평가: 기업 161

〈표 3-57〉 주체별 환경보전 노력 평가: 시민단체(환경단체) 162

〈표 3-58〉 주체별 환경보전 노력 평가: 일반 국민 164

〈표 3-59〉 주체별 환경보전 노력 평가: 잘함 %(종합) 165

〈표 3-60〉 주체별 환경보전 노력 평가: 평균 점수(종합) 167

〈표 3-61〉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1순위) 168

〈표 3-62〉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1+2순위) 171

〈표 3-63〉 환경문제 해결의 어려움에 관한 진술(1) 174

〈표 3-64〉 환경문제 해결의 어려움에 관한 진술(2) 176

〈표 3-65〉 환경문제 해결의 어려움에 관한 진술(3) 177

〈표 3-66〉 환경문제 해결의 어려움에 관한 진술(4) 179

〈표 3-67〉 환경문제 해결의 어려움에 관한 진술(5) 180

〈표 3-68〉 환경문제 해결의 어려움에 관한 진술(6) 182

〈표 3-69〉 환경문제 해결의 어려움에 관한 진술별 동의 여부: 동의 %(종합) 183

〈표 3-70〉 환경문제 해결의 어려움에 관한 진술별 동의 여부: 동의 정도 평균(종합) 185

〈표 3-71〉 원인별 수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 생활하수 186

〈표 3-72〉 원인별 수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 산업폐수 188

〈표 3-73〉 원인별 수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 축산폐수 및 분뇨 189

〈표 3-74〉 원인별 수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 비료 농약 등 농업관련 원인 191

〈표 3-75〉 원인별 수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 강/하천 등의 인위적 시설물(댐, 보 등) 192

〈표 3-76〉 원인별 수질에 미치는 영향정도: 영향정도 평균(종합) 194

〈표 3-77〉 양호한 수질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부문 195

〈표 3-78〉 5년 후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수질 예상 197

〈표 3-79〉 정부 및 지자체의 홍수 조절 및 예방 사업 평가 198

〈표 3-80〉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수준 200

〈표 3-81〉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을 해치는 요인(1+2순위) 201

〈표 3-82〉 수돗물의 수질 만족도 203

〈표 3-83〉 수돗물 직접 음용 여부 204

〈표 3-84〉 수돗물을 직접 음용하지 않는 경우: 주요 음용수 206

〈표 3-85〉 수돗물을 직접 음용하지 않는 경우: 수돗물을 직접 음용하지 않는 이유 207

〈표 3-86〉 생태계서비스 인지정도 210

〈표 3-87〉 생태계서비스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 211

〈표 3-88〉 생태계로부터 얻는 직간접 혜택의 중요성 214

〈표 3-89〉 생태계서비스별 중요 정도(종합) 216

〈표 3-90〉 정책수립에 생태계서비스 개념 필요정도 220

〈표 3-91〉 정책수립에 생태계서비스 개념이 필요하다고 답한 경우: 추가 세금납부 용의 222

그림목차

〈그림 2-1〉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18

〈그림 2-2〉 우리나라의 환경상태에 대한 만족도(1) 19

〈그림 2-3〉 우리나라의 환경상태에 대한 만족도(2) 20

〈그림 2-4〉 기후변화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21

〈그림 2-5〉 기후변화 발생에 대한 입장 22

〈그림 2-6〉 기후변화에 대한 사회적 및 개인(본인)에 대한 심각성 23

〈그림 2-7〉 기후변화에 대한 부정적 영향에 대한 시기 24

〈그림 2-8〉 환경태도(환경친화적 행동 대 편리함) 25

〈그림 2-9〉 친구나 동료에 비해 환경보전 실천 정도 평가 25

〈그림 2-10〉 환경보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하는 행동 26

〈그림 2-11〉 친환경적 태도 및 생활습관 실천의 어려움 27

〈그림 2-12〉 친환경적 노력에 대한 태도 28

〈그림 2-13〉 환경정보에 대한 충분 여부 29

〈그림 2-14〉 환경관련 정보를 접하는 매체 30

〈그림 2-15〉 우리나라의 종합적인 발전평가 기준 31

〈그림 2-16〉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관계(1) 31

〈그림 2-17〉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관계(2) 32

〈그림 2-18〉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33

〈그림 2-19〉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1) 34

〈그림 2-20〉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2) 35

〈그림 2-21〉 환경문제 해결에 대한 어려움의 이유 36

〈그림 2-22〉 원인별 수질 영향정도 평가 37

〈그림 2-23〉 양호한 수질 유지의 필요성 평가 38

〈그림 2-24〉 향후 5년 후 수질에 대한 예상 39

〈그림 2-25〉 정부 및 지자체의 홍수 조절 및 예방사업에 대한 충분성 평가 40

〈그림 2-26〉 생물다양성에 대한 평가(1) 41

〈그림 2-27〉 생물다양성에 대한 평가(2) 42

〈그림 2-28〉 수돗물에 대한 만족도 42

〈그림 2-29〉 수돗물 음용 여부 및 주 음용수 43

〈그림 2-30〉 수돗물을 음용하지 않는 이유 44

〈그림 2-31〉 생태계서비스 용어에 대한 인지도 45

〈그림 2-32〉 생태계서비스의 연상이미지 46

〈그림 2-33〉 생태계서비스의 혜택에 대한 중요성 47

〈그림 2-34〉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필요성 48

〈그림 2-35〉 자연자원 관리정책 관련 추가 납세 용의 49

〈그림 2-36〉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50

〈그림 2-37〉 우리나라의 환경상태에 대한 만족도(패널분석 2018년, 2019년) 51

이용현황보기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2], 별책 부록 : 2019 국민환경의식조사 = An integrated assessment to environmental valuation via impact pathway analysis. [2],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 2019 survey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82510 363.7 -20-48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82511 363.7 -20-48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