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과제의 개요 29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29
1. 본 연구의 목적 29
2. 본 연구의 필요성 29
제2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목표 32
1. 본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2
2. 본 연구의 목표 32
제2장 국내외 현황 36
제1절 해외 현황 36
1. 국가별 현황 36
2. 국제기구별 현황 55
제2절 국내현황 60
1. IPv6 도입 추진 경과 60
2. IPv6 도입 추진 실적 61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66
제1절 차세대인터넷주소(IPv6) 이용 기반 구축 66
1. 국내 백본ISP 간 IPv6 상호연동을 위한 지원사업 추진 66
2. IPv6 상호연동 전·후 국내 트래픽 소통 현황 비교분석 71
3. 서비스 부문의 IPv6 도입 지원을 위한 중소 CP(Contents Provider) 사업자 지원 사업 추진 82
4. IPv6 이용자 확대 및 글로벌 IPv6 이용률 제고를 위한 유선부문 IPv6 도입 지원사업 추진 93
제2절 차세대인터넷주소(IPv6) 자율 도입 지원 104
1. 공공부문 IPv6 도입 지원 104
2. 글로벌 IPv6 동향 조사 및 분석 110
3. 글로벌 IPv6 측정 현황 조사 117
4. 국내 ISP 등 CPND 각 분야의 IPv6 이용률 모니터링 방안 도출 122
5. 모바일 앱 IPv6 호환성 및 통신여부 점검 방법론 분석 133
6. IPv6 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 운영 및 개선 142
7. IPv6 장비 도입 기업 세제감면 제도 운영 150
제3절 차세대인터넷주소(IPv6) 전용시험망 운영 및 고도화 159
1. IPv6 종합지원센터 및 전용시험망 운영 159
제4장 사업비 집행실적 170
제5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78
제6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83
제7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87
제8장 성과 227
제9장 참고문헌 231
[그림 1.1.1] 모바일기기 IPv6 지원 기기수 증가분 예상 30
[그림 1.1.2] 유무선 인터넷망의 IPv6 전환 개념도 31
[그림 2.1.1] 미국 IPv6 이용률 36
[그림 2.1.2] 중국 IPv6 이용률 42
[그림 2.1.3] 일본 IPv6 이용률 46
[그림 2.1.4] 영국 IPv6 이용률 49
[그림 2.1.5] 프랑스 IPv6 이용률 51
[그림 2.1.6] 베트남 IPv6 이용률 52
[그림 3.1.1] 인터넷 트래픽 정산체계 분류 67
[그림 3.1.2] 인터넷 트래픽 정산시스템 구성도 67
[그림 3.1.3] 영상메신저 '큐신저'서비스 구성도 85
[그림 3.1.4] ㈜소만사 지원사업 사업범위 구성도 89
[그림 3.2.1] 정보자원 IPv6 점검(1단계) 107
[그림 3.2.2] IPv6 기술검증 순서도(2단계) 108
[그림 3.2.3] IPv6 도입 정보화전략계획(3단계) 108
[그림 3.2.4] Google IPv6 이용률 측정 방법 117
[그림 3.2.5] Akamai IPv6 이용현황 118
[그림 3.2.6] APNIC IPv6 Web Log 예제 119
[그림 3.2.7] CISCO 국가별 IPv6 이용현황 120
[그림 3.2.8] CISCO 국가별 IPv6 이용률 산정 공식 120
[그림 3.2.9] 국가별 Local Top 100 Web Site IPv6 지원 여부 확인 방안 122
[그림 3.2.10] 국가별 Local Top 100 Web Site DNS IPv6 지원 여부 확인 방안 124
[그림 3.2.11] 전세계 국가별 Platform IPv6 지원여부 확인 방안 순서도 및 설명 126
[그림 3.2.12] 전 세계 국가별 Network IPv6 지원여부 확인 방안 순서도 및 설명 128
[그림 3.2.13] KT 모바일 회선의 IPv6 전환 시뮬레이션(KT 모바일 가입자 1400만 기준) 131
[그림 3.2.14] IPv6 환경에서 모바일 앱의 IPv6 호환성 확보를 위한 필수 요소 134
[그림 3.2.15] 시험 환경 구성도 135
[그림 3.2.16] 테스트 결과 - DNS 결과 137
[그림 3.2.17] 테스트 결과 - IP Check 결과 137
[그림 3.2.18] IPv6 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 사용자 메뉴 142
[그림 3.2.19] IPv6 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 관리자 메뉴 143
[그림 3.2.20] IPv6 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 메인화면 143
[그림 3.2.21] IPv6 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 > IPv6 준비도 자가진단 149
[그림 3.2.22] IPv6 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 관리자 > IPv6 장비현황 관리 14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