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SUMMARY)

목차

I. 총괄과제 7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8

1-1. 연구개발 목적 8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8

1-3. 연구 개발 범위 12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4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의 국제적 경향 14

국내 기술개발 현황 15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16

제1세부 16

제2세부 16

제3세부 16

제4세부 17

제5세부 17

제6세부 17

제7세부 18

제8세부 18

제9세부 18

제10세부 18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19

4-1. 목표달성도 19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29

제1세부 29

제2세부 29

제3세부 30

제4세부 30

제5세부 31

제6세부 31

제7세부 31

제8세부 32

제9세부 32

제10세부 33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3

7.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33

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33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33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33

11. 기타사항 34

12. 참고문헌[내용누락;p.35-38] 35

〈별첨1〉 자체평가의견서[내용누락;p.35-38] 35

II. 제1세부 36

보고서 요약서 36

요약문(SUMMARY) 37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0

1-1. 연구개발 목적 40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40

1-3. 연구개발 범위 42

1-4. 연차(단계)별 목표 및 내용 42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3

항생제 내성 감시 시스템 구축의 국제적 경향 43

항생제 내성 감시 시스템 구축의 국내 경향 43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44

1. 항생제 내성 감시 통합기반시스템 구축 44

2. 다제내성균 감염의 위험인자 및 임상적 경제적 영향 분석 54

3. 연구성과 99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100

4-1. 목표달성도 100

4-2. 관련분야 기여도 101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102

항생제 내성 감시 통합 기반시스템의 운영 102

다제내성균 감염의 위험인자 분석 102

다제내성균 감염의 임상적 경제적 영향 분석 102

연구 종료 후 시스템의 지속적 활용 및 참여병원 확대 102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02

7.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102

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103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103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103

11. 기타사항 105

12. 참고문헌 105

별첨 106

[별첨1] 자체평가의견서[내용누락;p.109-114] 106

[별첨3] 실적 증빙자료 107

[별첨4] 기타 첨부서류 118

III. 제2세부 120

보고서 요약서 120

요약문(SUMMARY) 121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24

1-1. 연구개발 목적 124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124

1-3. 연구개발 범위 124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25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126

통합기반시스템 네트워크 운영 126

다제내성균 DB 및 네트워크의 보완 및 업그레이드 132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133

4-1. 목표달성도 133

4-2. 관련분야 기여도 133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133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34

7.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134

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134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134

별첨 135

[별첨1] 자체평가의견서[내용누락;p.143-146] 135

[별첨2] 최종보고서 비공개 승인요청서[내용누락;p.143-146] 135

[별첨3] 실적 증빙자료 136

[별첨4] 기타 첨부서류 138

IV. 제3세부 140

보고서 요약서 140

요약문(SUMMARY) 141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44

1-1. 연구개발 목적 144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144

1-3. 연구개발 범위 145

1.4. 연차(단계)별 목표 및 내용 146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47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148

3-1. 전체 연구 수행 흐름도 148

3-2. 연구 수행 주요 내용 148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245

4-1. 목표별 성과지표 245

4-2. 목표별 달성도 246

4-3. 관련 분야 기여도 246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247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48

7.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248

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248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248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248

11. 기타사항[내용누락;p.110-115] 249

12. 참고문헌[내용누락;p.110-115] 249

별첨 249

[별첨1] 자체평가의견서[내용누락;p.110-115] 249

[별첨2] 최종보고서 비공개 승인요청서[내용누락;p.110-115] 249

[별첨3] 실적 증빙자료 250

V. 제4세부 252

보고서 요약서 252

요약문(SUMMARY) 253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56

1-1. 연구개발 목적 256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256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62

항균제 사용과 다약제 내성균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pilot study 시행(unpublished data) 262

항균제 사용량과 질병 발생 위험도 증가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262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264

3-1. 연구수행 내용 264

3-2. 연차(단계)별 목표 및 내용 266

3-3. 1, 2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원문불량;p.147] 267

3-4. 3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 288

3-5. 4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 316

3-6. 5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 331

3-7. 연구 성과 345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346

4-1. 목표달성도 346

4-2. 관련분야 기여도 349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350

5-1-1. 예상 활용분야 350

5-1-2. 연구종료 3년 이내의 연구결과 활용계획 351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53

항생제 지표개발 353

해외의 계열별 항생제 처방량 산출(DDD or DOT 이용) 353

급성 신우신염에서의 항생제 처방 354

광범위 항생제 처방 실태와 국가 차원의 항생제 스튜어드십 354

항생제 스튜어드십 프로그램 355

7.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355

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355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356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356

11. 기타사항 357

각 병원별 균주 수집과 항생제 처방 자료 수집 과정의 문제점 357

국내 항생제 스튜어드십 프로그램의 문제점 357

국내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데이터의 항생제 사용량 분석에서의 문제점 357

12. 참고문헌 358

별첨 360

[별첨1] 자체평가의견서[내용누락;p.226-230] 360

[별첨2] 최종보고서 비공개 승인요청서[내용누락;p.226-230] 360

[별첨3] 실적 증빙자료 361

VI. 제5세부 369

보고서 요약서 369

요약문(SUMMARY) 370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373

1-1. 연구개발 목적 373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373

1-3. 연구개발 범위 373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73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374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380

4-1. 목표달성도 380

4-2. 관련분야 기여도 380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380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81

7.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381

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381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381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382

11. 기타사항 382

12. 참고문헌 383

별첨 384

[별첨1] 자체평가의견서[내용누락;p.254-257] 384

[별첨2] 최종보고서 비공개 승인요청서[내용누락;p.254-257] 384

[별첨3] 실적 증빙자료[내용누락;p.254-257] 384

[별첨4] 기타 첨부서류 385

VII. 제6세부 387

보고서 요약서 387

요약문(SUMMARY) 388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391

1-1. 연구개발 목적 391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391

1-3. 연구개발 범위 392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92

항생제의 치료효과와 약동학적인 결정요인 392

인종에 따른 약동학적 특성 차이 393

항생제 관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393

Colistin 약물농도감시 393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394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396

4-1. 목표달성도 396

4-2. 관련분야 기여도 396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396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97

7.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397

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397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397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397

11. 기타사항[내용없음] 398

12. 참고문헌 398

별첨 399

[별첨1] 자체평가의견서[내용누락;p.272-275] 399

[별첨2] 최종보고서 비공개 승인요청서[내용누락;p.272-275] 399

[별첨3] 실적 증빙자료 400

VIII. 제7세부 406

보고서 요약서 406

요약문(SUMMARY) 407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10

1-1. 연구개발 목적 410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410

1-3. 연구개발 범위 410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11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411

7.1. MRSA 균혈증 환자에 대한 다기관 전향적 코호트 유지 411

7.2. MRSA 균혈증 균주의 미생물학적 특성 연구 413

7.3. MRSA 균주의 미생물학적 특성에 따른 치료 예후 분석 417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421

4-1. 목표달성도 421

4-2. 관련분야 기여도 421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422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424

7.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424

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424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425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425

11. 기타사항[내용누락;p.302-305] 426

12. 참고문헌[내용누락;p.302-305] 426

별첨 426

[별첨1] 자체평가의견서[내용누락;p.302-305] 426

[별첨2] 최종보고서 비공개 승인요청서[내용누락;p.302-305] 426

[별첨3] 실적 증빙자료 427

[별첨4] 기타 첨부서류 430

IX. 제8세부 432

보고서 요약서 432

요약문(SUMMARY) 433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36

1-1. 연구개발 목적 436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436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40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441

1차년도(2012-2013) 441

2차년도(2013-2014) 445

3차년도(2014-2015) 448

4차년도(2015-2016) 452

5차년도(2016-2017) 457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459

4-1. 목표달성도 459

4-2. 관련분야 기여도 460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461

(광범위 폐렴사슬알균 백신의 도입 이전 단계) 침습성 균주의 유전형과 항생제 내성 정도 분석 461

(광범위 폐렴사슬알균 백신 도입 이후) 지역사회 폐렴사슬알균 집락균주의 혈청형 분포 변화와 여전히 높은 다제내성률 인지 461

(광범위 폐렴사슬알균 백신 도입 이후 국가예방접종 사업 시작 이전) 지역사회 폐렴사슬알균 집락균주의 유전형 분석 461

기술적측면 461

경제·산업적측면 461

사회적측면 461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462

7.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464

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464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464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465

11. 기타사항[내용없음] 435

11. 참고문헌 466

별첨 467

[별첨1] 자체평가의견서[내용누락;p.346-354] 467

[별첨2] 최종보고서 비공개 승인요청서[내용누락;p.346-354] 467

[별첨3] 실적 증빙자료 468

[별첨4] 기타 첨부서류 471

X. 제9세부 473

보고서 요약서 473

요약문(SUMMARY) 475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78

1-1. 연구개발 목적 478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478

1-3. 연구개발 범위 478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79

그람음성세균의 carbapenem 내성 현황 479

Acinetobacter spp.의 carbapenem 내성 획득 기전 480

P. aeruginosa 의 carbapenem 내성 획득 기전 483

K. pneumoniae의 carbapenem 내성 획득 기전 485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489

1단계 1차년도 489

1단계 2차년도 496

1단계 3차년도 504

2단계 1-2차년도 511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522

4-1. 목표달성도 522

4-2. 관련분야 기여도 523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524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525

7.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526

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526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527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528

11. 기타사항[내용없음] 477

11. 참고문헌 529

별첨 530

[별첨1] 자체평가의견서[내용누락;p.417-421] 530

[별첨2] 최종보고서 비공개 승인요청서[내용누락;p.417-421] 530

[별첨3] 실적 증빙자료 531

XI. 제10세부 549

보고서 요약서 549

요약문(SUMMARY) 550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553

1-1. 연구개발 목적 553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553

1-3. 연구개발 범위 553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553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555

1단계 : ESBL 생성 장내세균 요로감염의 베타락탐제 치료효과 전향적 연구 556

2단계 : ESBL 생성 장내세균 복강내감염의 베타락탐제 치료효과 562

3-2. 연구개발 추진체계 567

3-3. 추진일정 568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569

4-1. 목표달성도 569

4-2. 관련분야 기여도 569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571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572

7.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572

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572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572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573

11. 기타사항[내용없음] 552

11. 참고문헌 574

별첨 575

[별첨1] 자체평가의견서[내용누락;p.466-469] 575

[별첨2] 최종보고서 비공개 승인요청서[내용누락;p.466-469] 575

[별첨3] 실적 증빙자료 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