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목차

I. 개요 9

1. 연구 배경 9

2. 연구 목표 10

3. 연구범위 10

II. 정보공유를 위한 국방온톨로지 개념 12

1. 온톨로지 개념 12

가. 용어의 의미표현 방법 12

나. 분야별 온톨로지 정의 14

다. 영국군 국방EA를 위한 온톨로지 개념 16

라. 데이터 모델링 개념 19

2. 데이터 상호운용성 구현방안 21

3. 국방온톨로지 구축 및 활용사례 23

가. 지휘통제체계의 국방온톨로지 활용 23

나. 미 국방성의 정보공유 보장을 위한 온톨로지 구축 및 활용 26

다. 미 연방정부의 정보공유 보장을 위한 온톨로지 구축 및 활용 31

라. NATO의 정보공유 보장을 위한 온톨로지 구축 및 활용 32

4. 온톨로지 기반 국방EA 메타모델 34

가. NATO의 IDEAS 온톨로지 구축 및 활용 34

나. BORO 방법론을 활용한 국방EA 온톨로지 도입 현황 37

다. 영국군 MODAF 온톨로지 구축 및 활용 38

III. 미군의 국방EA 메타모델 구축사례 43

1. 미군의 국방EA 메타모델(DM2) 개발 프로세스 43

1단계: 국방아키텍처 모델 분석 43

2단계: 국방업무상의 용어 수집 45

3단계: "핵심" 용어 판별 45

4단계: "핵심" 용어에 관한 공인된 정의를 수집 45

5단계: 관련된 용어들을 그룹화 46

6단계: 새로운 용어 정의 제안 47

7단계: 용어간의 관계성 정립 47

8단계: 용어의 관계성 타입 정의 47

2. 국방EA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기반 환경 50

가. DoD 넷-중심 데이터 전략 50

나. DoD 넷-중심 국방EA 데이터 관리환경 52

다. 국방EA 데이터 품질 보장방안 54

라. DM2 온톨로지에 관련된 DARS 성능 개선 56

3. 수준별 국방EA 온톨로지 구축 57

가. DoDAF 적합성 수준 정의 57

나. 수준 1 적합성을 확보를 위한 DM2 데이터 사전 구축 58

다. 수준 2 적합성을 확보를 위한 DM2 분류체계 구축 58

라. 수준 3 적합성 확보를 위한 물리적 데이터 교환 구축 59

마. 수준 4 적합성을 확보를 위한 UAF/SysML v2 구축 60

4. 미군 DoDAF/DM2 구성관리 정책 62

가. DoD 아키텍처 공통체의 활동 62

나. 미군 DoDAF/DM2 워킹그룹 구성 62

IV. 우리군의 현 실태 분석 및 시사점 64

1. 우리군 현 실태 분석 64

가. 국방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MDR)관리 및 활용측면 64

나. 국방EA 메타모델 용어사전 측면 64

다. 국방EA 분류체계 및 온톨로지 표준화 구축 측면 65

2. 시사점 67

V. 우리군의 국방EA 메타모델 구축방안 68

1. 우리군의 국방EA 메타모델 표준화 개발방안 68

1 안) DM2 또는 MODEM을 한국화하여 표준화 구축 68

2 안) IDEAS를 기반으로 MND-AF v2.0 메타모델 표준화 구축 68

3 안) OMG UAF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MND-AF v2.0 메타모델 표준화 구축 68

2. 우리군의 국방EA 메타모델 발전 로드맵 70

가. ARMS 성능개선을 통한 국방EA 온톨로지 구축 70

나. 국방EA 메타모델 및 프레임워크 단계별 구축 방안 72

다. 국방EA 메타모델 발전 로드맵 73

마. 분야별 세부 발전 로드맵 – 국방EA 메타모델 및 프레임워크 구축 75

3. 우리군의 국방온톨로지 유효성 검증방법 79

가. 국방온톨로지 구축의 유효성 79

나. 아키텍처 데이터 저장소 구축 시 유효성 검증 방안 80

다. 각군 및 국가간 작전아키텍처 데이터 교환시 유효성 검증 방안 80

라. 체계 간 연동시 유효성 검증 방안 81

4. 우리군의 국방온톨로지 활용방안 82

가. 국방온톨로지를 활용한 국방EA 품질평가 자동화 방안 82

나. 온톨로지 기반 국방EA의 상호운용성 활용 82

5. 관련된 제도·규정 개선소요 도출 84

가. 넷-중심 운용환경(NCOE)을 제도·규정에 반영 84

나. 국방부 차원의 넷-중심 데이터 전략 수립 및 제도화 84

라. 국방부 차원의 넷-중심 서비스 전략 수립 및 제도화 84

마. 국방정보화기본계획서에 국방EA 메타모델(온톨로지) 구현 로드맵 반영 85

VI. 맺음말 86

약어 88

참고문헌 91

부록 : 美 DoDAF 및 英 MODAF 핵심내용 번역 93

I. DoDAF v2.0 DM2 핵심내용 101

II. DoDAF v2.02 DM2 핵심내용 128

III. MODAF MODEM 핵심내용 155

부록표목차

〈표 1-1〉 DoDAF 데이터 그룹에 공통 적용되는 IDEAS 온톨로지 하부구조 개념 118

〈표 2-1〉 모든 DoDAF 데이터 그룹에 적용 가능한 IDEAS 하부구조 개념 143

〈표 2-2〉 모든 DoDAF 데이터 그룹에 적용 가능한 IDEAS 하부구조 연관성 개념 144

그림목차

〈그림 1-1〉 온톨로지에 관련된 범위 11

〈그림 2-1〉 용어의 의미표현 수준 및 활용범위 13

〈그림 2-2〉 온톨로지의 일반화 계층 15

〈그림 2-3〉 클래스 개념의 벤 다이어그램 17

〈그림 2-4〉 하나의 클래스가 다른 것의 부분집합이 되는 특정화 관계 17

〈그림 2-5〉 온톨로지 내 공통의 패턴 형성 18

〈그림 2-6〉 개체들간 실제적인 관계성의 존재 18

〈그림 2-7〉 스스로가 클래스 들인 경쟁 타입 클래스 멤버 19

〈그림 2-8〉 메타데이터 표준화 구축을 통한 상호운용성 확보 21

〈그림 2-9〉 온톨로지 표준화 구축을 통한 상호운용성 확보방안 22

〈그림 2-10〉 지휘통제체계에서의 국방온톨로지 필요성 24

〈그림 2-11〉 개념도 예시 25

〈그림 2-12〉 시간적인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4-차원 온톨로지 모델 25

〈그림 2-13〉 전장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상위 온톨로지 모델 26

〈그림 2-14〉 UCore/C2 코아 용어 정의 27

〈그림 2-15〉 정부부처 간 정보교환을 위한 UCore 필요성 27

〈그림 2-16〉 UCore 개념적 데이터모델 예시 28

〈그림 2-17〉 지휘통제 공동체의 C2 코아 필요성 28

〈그림 2-18〉 C2 코아의 개념적 데이터모델 예시 29

〈그림 2-19〉 UCore와 C2 코아의 분류체계 관계 30

〈그림 2-20〉 UCore와 C2 코아 구축의 예 30

〈그림 2-21〉 BORO 온톨로지 식별 방법론 34

〈그림 2-22〉 IDEAS 상위수준 온톨로지 구조 35

〈그림 2-23〉 ISO 15926 데이터 아키텍처 36

〈그림 2-24〉 BORO 방법론 기반 국방EA 온톨로지 발전 37

〈그림 2-25〉 IDEAS 기반의 DoDAF와 MODAF 메타모델 발전 38

〈그림 2-26〉 IDEAS 기반 MODAF 온톨로지 모델 40

〈그림 2-27〉 MODAF 온톨로지 계층 42

〈그림 3-1〉 MODAF 온톨로지 계층 43

〈그림 3-2〉 DoD 핵심업무를 지원하는 DoDAF 메타모델 개발과정 44

〈그림 3-3〉 공인된 용어 정의 및 별칭을 기록하기 위한 템플릿과 예시 46

〈그림 3-4〉 선별된 용어들의 그룹화 46

〈그림 3-5〉 DM2 데이터 사전의 템플릿 및 예시 47

〈그림 3-6〉 DoDAF 개념적 데이터 모델 48

〈그림 3-7〉 사물을 지칭하는 용어의 개념 간 카테고리 관계 48

〈그림 3-8〉 최상위 BORO 개발절차와 IDEAS 최상위 온톨로지와의 관계 49

〈그림 3-9〉 넷-중심 데이터 전략의 범위 50

〈그림 3-10〉 DoD 메타데이터 등록소의 콘텐츠 51

〈그림 3-11〉 넷-중심 운용환경과 국방EA 데이터 관리자원 52

〈그림 3-12〉DARS 메타데이터 등록 서비스 구현 54

〈그림 3-13〉 기준데이터 구성요소 55

〈그림 3-14〉 AV-2 개발을 위한 템플릿 및 DM2 데이터 사전 활용 58

〈그림 3-15〉 CADM v1.5와 DM2간 분류체계 통합방안 59

〈그림 3-16〉 국방EA 프레임워크를 통합하기 위한 UAF 모델 60

〈그림 3-17〉 UAF/SysML v2 온톨로지 기반 의미추론 자동화 61

〈그림 3-18〉 미군의 DoDAF/DM2 워킹그룹 조직구성 63

〈그림 4-1〉 국방부 훈령 간 용어 차이점 65

〈그림 4-2〉 국방부 훈령 간 분류체계 차이점 65

〈그림 4-3〉 선진군 벤치마킹을 통한 우리군 구축방안 67

〈그림 5-1〉 우리군 넷-중심 국방EA 운영환경 70

〈그림 5-2〉 국방EA 메타모델 및 프레임워크 표준화 구축 분야 71

〈그림 5-3〉 국방EA 메타모델 공유환경 구축 분야 71

〈그림 5-4〉 국방EA 메타모델 구축에 따른 ARMS 성능개선 72

〈그림 5-5〉 단계별 국방EA 메타모델 및 프레임워크 구축방안 73

〈그림 5-6〉 국방EA 메타모델 발전 로드맵 (총괄) 73

〈그림 5-7〉 국방EA 메타모델 워킹그룹 구성방안 74

〈그림 5-8〉 국방EA 메타모델 데이터 사전 시스템 구축 75

〈그림 5-9〉 국방EA 메타모델 분류체계 시스템 구축 76

〈그림 5-10〉 국방EA 메타모델 온톨로지 시스템 구축 77

〈그림 5-11〉 국방EA 프레임워크 시스템 구축 77

〈그림 5-12〉 OSLC 기반 국방EA 활용 도구 네트워크 78

부록그림목차

〈그림 1-1〉 DoDAF 개념적 데이터 모델 104

〈그림 1-2〉 DM2 온톨로지 하부구조의 개관 107

〈그림 1-3〉 데이터 그룹들의 상호관계성을 상위수준에서 보여주는 DM2 개괄도 112

〈그림 1-4〉 최상위 온톨로지 하부구조 114

〈그림 1-5〉 DM2 공통 패턴 116

〈그림 1-6〉 DM2 도메인 클래스 계층도 122

〈그림 1-7〉 컬러-코딩을 갖는 UML 예제 124

〈그림 1-8〉 데이터 교환을 위한 DM2 중립적 모델의 역할 126

〈그림 1-9〉 PES XSD, PES XML, XMI, UML/SysML간의 관계 127

〈그림 2-1〉 개념적 수준의 DoDAF 메타모델 129

〈그림 2-2〉 DM2 온톨로지 하부구조의 개관 132

〈그림 2-3〉 DM2 온톨로지 하부구조의 개관 135

〈그림 2-4〉 IDEAS 하부구조 온톨로지의 최상위 개념 138

〈그림 2-5〉 정보구조의 스펙트럼 142

〈그림 2-6〉 DM2 공통패턴 143

〈그림 2-7〉 DM2 도메인 개념들은 IDEAS 하부구조 개념의 서브타입(확장) 146

〈그림 2-8〉 DM2 연관성들은 IDEAS 수학적 연관성의 서브타입(확장) 147

〈그림 2-9〉 아키텍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일반화된 패턴 149

〈그림 2-10〉 평가 프로세스에서의 아키텍처 데이터 공유를 위한 개념적인 패턴 151

〈그림 2-11〉 데이터 교환을 위한 중립적인 모델을 제공하는 DM2 역할의 예시 151

〈그림 2-12〉 교환을 위한 DM2 PES XSD의 최상위 구조 152

〈그림 2-13〉 데이터 교환을 위한 DM2 PES XSD의 IdeasData 부분의 샘플 153

〈그림 2-14〉 데이터 교환을 위한 DM2 PES XSD의 IdeasViews 부분의 샘플 154

〈그림 3-1〉 모델 구성요소들을 분류하는 분류체계의 예 156

〈그림 3-2〉 평가 프로세스에서의 아키텍처 데이터 공유를 위한 개념적인 패턴 158

〈그림 3-3〉 AV-2를 위한 MODAF 메타모델 인용 159

〈그림 3-4〉 AV-2를 위한 MODAF 메타모델 인용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