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시행계획 개요 21

1-1. 시행계획 수립주체 21

1-2. 법적근거 및 시행절차 21

1-3. 시행계획 수립목적 및 범위 22

1-4. 시행계획 수립 추진경과 22

1-5. 총량관리 목표 23

가. 목표수질 23

나. 부하량 관리목표 24

1-6. 시행계획 요약 26

가. 시행계획 대상유역 및 수질현황 26

나. 오염원 현황 및 전망 46

다. 오염부하량 현황 및 전망 50

라. 지역개발계획 55

마. 삭감계획 70

바. 총량관리 할당부하량 및 연차별 할당부하량 88

사. 개별할당시설 지정현황 94

아. 삭감이행계획 99

자. 시행계획 이행관리 104

제2장 유역환경 조사 110

2-1. 유역 구분 110

가. 시행계획 대상유역 현황 110

나. 소유역 구분 111

다. 소유역 점유율 114

2-2. 수계환경자료 조사 130

가. 기상조사 130

나. 수자원조사 133

다. 하천조사 138

라. 호소조사 141

마. 수질조사 163

바. 유량조사 179

2-3. 토지이용 지정실태조사 181

가. 토지이용 규제 현황 181

제3장 오염원 조사 183

3-1. 오염원 조사방법 183

가. 오염원 현황 조사방법 183

나. 장래 오염원 예측방법 186

3-2. 개발계획 및 삭감계획 조사방법 188

가. 개발실적 및 개발계획 조사방법 188

나. 삭감계획 조사방법 193

3-3. 오염원 및 개발사업 현황 194

가. 생활계 197

나. 축산계 201

다. 산업계 207

라. 토지계 219

마. 양식계 223

바. 매립계 223

사. 환경기초시설 225

3-4. 오염원 전망 229

가. 오염원 전망 총괄 229

나. 오염원그룹별 전망 236

제4장 개발·삭감계획 조사결과 및 부하량 299

4-1. 개발계획 조사결과 및 개발부하량 299

가. 개발계획에 따른 개발부하량 총괄 299

나. 기준년도 개발계획 300

다. 3단계 개발계획 302

4-2. 삭감계획 조사결과 및 삭감부하량 318

가. BOD 318

나. TP 323

다. 3단계 삭감계획 328

제5장 오염부하량 산정 352

5-1. 오염부하량 총괄 352

가.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오염부하량 352

나. 오염원 그룹별 소유역별 오염부하량 357

5-2. 자연증감에 따른 오염부하량 409

가.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오염부하량 409

나. 오염원 그룹별 소유역별 오염부하량 414

다. 관거배출비 466

5-3. 개발계획에 따른 오염부하량 467

가.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오염부하량 468

나. 개발계획에 따른 오염원 그룹별 소유역별 오염부하량 473

5-4. 삭감계획에 따른 오염부하량 525

가.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오염부하량 525

나. 오염원그룹별 소유역별 오염부하량 528

제6장 수질 모델링 563

6-1. 목표수질 및 수질현황 563

가. 단위유역 목표수질 및 기준유량 563

나. 단위유역 수질현황 564

6-2. 수질 모델링 566

가. 수질모델의 구성 566

나. 목표수질 달성여부 평가 588

제7장 총량관리 할당부하량 및 연차별 할당부하량 590

7-1. 총량관리 할당부하량 590

가. 할당부하량 590

7-2. 연차별 할당부하량 602

가. 단위유역별 연차별 할당부하량 602

나. 소유역별 부하량 635

다.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부하량 691

제8장 삭감이행계획 928

8-1. 개별할당시설 지정현황 928

가. 개별 할당대상시설 지정근거 및 할당방법 928

나. BOD 할당시설 지정현황 928

다. TP 할당시설 지정현황 930

8-2. 세부 삭감이행계획 933

가. 연차별 삭감부하량 933

나. 삭감시설 설치 및 투자계획 935

제9장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 이행관리 945

9-1. 이행관리체계 구축 945

가. 이행관리 추진체계 945

나. 오염총량관리 부서별 이행관리 역할 947

9-2. 오염원조사 및 오염부하량, 삭감부하량 산정계획 952

가. 오염원조사 계획 952

나. 오염부하량 및 삭감부하량 산정방안 952

9-3. 할당시설 및 비할당시설의 지정·관리계획 953

9-4. 지역개발사업 사후관리계획 954

가. 지역개발부하량 누적관리대장 작성방법 954

나. 지역개발부하량 누적관리대장 활용방안 955

다. 개발사업 배출부하량 최소화 방안 956

라. 지역개발사업 사후관리 계획 966

9-5. 오염물질 배출·삭감시설 및 목표수질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계획 967

가. 오염물질 배출·삭감시설 수질·유량 모니터링 계획 967

나. 목표수질관리를 위한 수질·유량 모니터링 계획 970

9-6. 이행평가 계획 973

가. 이행평가 방법 973

나. 이행평가보고서 작성계획 973

다. 이행평가보고서 관련 자료 제출 975

표목차

〈표 1-1〉 단위유역별 시행계획 수립대상 단위유역 및 관리대상물질 22

〈표 1-2〉 단위유역별 목표수질 및 기준유량 23

〈표 1-3〉 기본계획 BOD 할당부하량 24

〈표 1-4〉 시행계획 BOD 할당부하량 24

〈표 1-5〉 기본계획 TP 할당부하량 25

〈표 1-6〉 시행계획 TP 할당부하량 25

〈표 1-7〉 단위유역별 소유역 현황 27

〈표 1-8〉 오염원그룹별 점유율 27

〈표 1-9〉 단위유역별 BOD 수질현황 44

〈표 1-10〉 단위유역별 TP 수질현황 45

〈표 1-11〉 단위유역별 오염원 전망 총괄 48

〈표 1-12〉 BOD 발생부하량 전망 총괄 50

〈표 1-13〉 TP 발생부하량 전망 총괄 51

〈표 1-14〉 BOD 배출부하량 전망 총괄 52

〈표 1-15〉 TP 배출부하량 전망 총괄 53

〈표 1-16〉 단위유역별 BOD 지역개발부하량 총괄(누적) 55

〈표 1-17〉 3단계 기승인 개발사업 총괄(BOD) 56

〈표 1-18〉 단위유역별 TP 지역개발부하량 총괄(누적) 60

〈표 1-19〉 단위유역별 3단계 기승인 개발사업 현황(TP) 61

〈표 1-20〉 단위유역별 삭감방안 및 삭감부하량 70

〈표 1-21〉 단위유역별 주요 삭감시설 설치계획 71

〈표 1-22〉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설치계획 및 현황 73

〈표 1-23〉 방류수 수질개선 계획 및 현황 73

〈표 1-24〉 방류수 수질개선 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73

〈표 1-25〉 환경기초시설 관거정비 설치계획 및 현황 74

〈표 1-26〉 환경기초시설 관거정비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74

〈표 1-27〉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75

〈표 1-28〉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75

〈표 1-29〉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75

〈표 1-30〉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76

〈표 1-31〉 단위유역별 삭감방안 및 삭감부하량 77

〈표 1-32〉 단위유역별 주요 삭감시설 설치계획 79

〈표 1-33〉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설치계획 및 현황 83

〈표 1-34〉 방류수 수질개선 계획 및 현황 84

〈표 1-35〉 환경기초시설 관거정비 설치계획 및 현황 85

〈표 1-36〉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86

〈표 1-37〉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86

〈표 1-38〉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87

〈표 1-39〉 단위유역 최종년도 오염원그룹별 BOD 할당부하량 88

〈표 1-40〉 단위유역 연차별 BOD 할당부하량 총괄 89

〈표 1-41〉 단위유역 최종년도 오염원그룹별 TP 할당부하량 90

〈표 1-42〉 단위유역 연차별 TP 부하량 총괄표 92

〈표 1-43〉 BOD 할당시설 지정현황 95

〈표 1-44〉 TP 할당시설 지정현황 98

〈표 1-45〉 연차별 BOD 삭감부하량 총괄표 99

〈표 1-46〉 BOD 할당에 의한 삭감시설 및 이행시기 99

〈표 1-47〉 BOD 할당이외의 방법에 의한 삭감시설 삭감부하량 및 이행시기 100

〈표 1-48〉 연차별 TP 삭감부하량 총괄표 101

〈표 1-49〉 TP 할당에 의한 삭감시설 및 이행시기 102

〈표 1-50〉 TP 할당이외의 방법에 의한 삭감시설 삭감부하량 및 이행시기 103

〈표 1-51〉 오염물질 배출·삭감시설(할당시설 포함) 수질유량 모니터링 계획 105

〈표 1-52〉 관리대상 하천지점의 유량·수질측정 계획 107

〈표 2-1〉 대구광역시 낙동강수계 단위유역 현황 111

〈표 2-2〉 단위유역별 소유역 현황 113

〈표 2-3〉 오염원별 점유율 114

〈표 2-4〉 기상조사표 131

〈표 2-5〉 물공급 현황 조사표 134

〈표 2-6〉 하천현황 조사표 139

〈표 2-7〉 보 현황 조사표 140

〈표 2-8〉 호소 현황 조사표 141

〈표 2-9〉 수질조사 지점 현황 167

〈표 2-10〉 수질분석방법 168

〈표 2-11〉 수질분석방법 169

〈표 2-12〉 5월 유량조사결과 179

〈표 2-13〉 7월 유량조사결과 179

〈표 2-14〉 9월 유량조사결과 180

〈표 2-15〉 10월 유량조사결과 180

〈표 2-16〉 토지이용 규제현황 181

〈표 3-1〉 단위유역별 과거개발실적 현황 188

〈표 3-2〉 단위유역별 기준년도 개발사업 189

〈표 3-3〉 단위유역별 3단계 개발계획 190

〈표 3-4〉 단위유역별 3단계 기승인 개발사업 191

〈표 3-5〉 단위유역별 3단계 추가계획 192

〈표 3-6〉 오염원그룹별 현황 194

〈표 3-7〉 단위유역별 오염원그룹별 현황 195

〈표 3-8〉 단위유역별 오염원그룹별 현황 196

〈표 3-9〉 단위유역별 행정구역별 가정인구 현황 197

〈표 3-10〉 단위유역별 행정구역별 물사용량 현황 198

〈표 3-11〉 단위유역별 행정구역별 가정용 물사용량 현황 199

〈표 3-12〉 단위유역별 행정구역별 영업인구 물사용량 현황 200

〈표 3-13〉 행정구역별 축산 현황 201

〈표 3-14〉 행정구역별 폐수배출업소수 현황 207

〈표 3-15〉 행정구역별 폐수발생량 현황 211

〈표 3-16〉 행정구역별 폐수배출량 현황 215

〈표 3-17〉 행정구역별 토지이용 현황 219

〈표 3-18〉 행정구역별 양식 현황 223

〈표 3-19〉 행정구역별 매립장 침출수 처리시설수 현황 223

〈표 3-20〉 행정구역별 매립장 침출수 발생량 현황 224

〈표 3-21〉 배출원별 매립장 침출수 처리시설 현황(2014) 224

〈표 3-22〉 환경기초시설 기본정보(2016) 225

〈표 3-23〉 환경기초시설 방류유량 방류수질 현황(2016년) 227

〈표 3-24〉 간이공공처리 방류유량 및 방류수질 현황 228

〈표 3-25〉 행정구역별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현황 228

〈표 3-26〉 행정구역별 비점오염저감시설 배수구역 및 방류선 현황 228

〈표 3-27〉 행정구역별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운영 현황 228

〈표 3-28〉 단위유역별 자연증감에 따른 오염원 전망 230

〈표 3-29〉 개발계획에 따른 단위유역 오염원 증가 232

〈표 3-30〉 단위유역 오염원 전망 총괄(자연증감+개발계획) 234

〈표 3-31〉 행정구역별 자연증감 인구 전망 236

〈표 3-32〉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인구(가정인구+영업인구) 증가 237

〈표 3-33〉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가정인구 증가 238

〈표 3-34〉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영업인구 증가 239

〈표 3-35〉 행정구역별 인구 전망 총괄 240

〈표 3-36〉 행정구역별 자연증감 인구(가정인구+영업인구) 물사용량 전망 241

〈표 3-37〉 행정구역별 자연증감 가정인구 물사용량 전망 242

〈표 3-38〉 행정구역별 자연증감 영업인구 물사용량 전망 243

〈표 3-39〉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인구(가정인구+영업인구) 물사용량 증가 244

〈표 3-40〉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가정인구 물사용량 증가 245

〈표 3-41〉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영업인구 물사용량 증가 246

〈표 3-42〉 행정구역별 인구(가정인구+영업인구) 물사용량 전망 총괄 247

〈표 3-43〉 행정구역별 가정인구 물사용량 전망 총괄 248

〈표 3-44〉 행정구역별 영업인구 물사용량 전망 총괄 249

〈표 3-45〉 행정구역별 자연증감 가축 사육두수 전망 250

〈표 3-46〉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가축 사육두수 증가 256

〈표 3-47〉 행정구역별 가축 사육두수 전망 총괄 256

〈표 3-48〉 행정구역별 자연증감 폐수배출업소수 전망 262

〈표 3-49〉 행정구역별 자연증감 산업폐수 발생량 전망 266

〈표 3-50〉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폐수배출업소수 증가 270

〈표 3-51〉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산업폐수 발생량 증가 270

〈표 3-52〉 행정구역별 산업폐수 배출업소수 전망 총괄 274

〈표 3-53〉 행정구역별 산업폐수 발생량 전망 총괄 278

〈표 3-54〉 행정구역별 자연증감 토지이용면적 전망 282

〈표 3-55〉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토지이용 면적변화 286

〈표 3-56〉 행정구역별 토지이용면적 전망 총괄 290

〈표 3-57〉 행정구역별 자연증감 양식장 시설면적 전망 294

〈표 3-58〉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양식장 시설면적 증가 294

〈표 3-59〉 행정구역별 양식장 시설면적 전망 총괄 294

〈표 3-60〉 행정구역별 자연증감 매립장 침출수 처리시설수 전망 295

〈표 3-61〉 행정구역별 자연증감 매립장 침출수 발생량 전망 295

〈표 3-62〉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매립장 침출수 처리시설수 증가 296

〈표 3-63〉 개발계획에 따른 행정구역별 매립장 침출수 발생량 증가 296

〈표 3-64〉 행정구역별 매립장 침출수 처리시설수 전망 총괄 296

〈표 3-65〉 행정구역별 매립장 침출수 발생량 전망 총괄 297

〈표 4-1〉 금호C 단위유역 개발부하량 총괄 299

〈표 4-2〉 단위유역별 개발계획 총괄 현황 299

〈표 4-3〉 금호C 단위유역 기준년도 개발사업 조사결과 300

〈표 4-4〉 단위유역별 기준년도 개발사업 조사결과 301

〈표 4-5〉 금호C 단위유역 개발계획 현황 302

〈표 4-6〉 3단계 기승인 개발사업 총괄 303

〈표 4-7〉 3단계 추가개발사업 현황 306

〈표 4-8〉 단위유역별 개발사업현황 총괄 307

〈표 4-9〉 단위유역별 3단계 기승인 개발사업 현황 308

〈표 4-10〉 단위유역별 3단계 추가개발사업 현황 317

〈표 4-11〉 단위유역별 삭감계획 총괄 318

〈표 4-12〉 단위유역별 삭감방안 및 삭감부하량 318

〈표 4-13〉 단위유역별 주요 삭감시설 설치계획 318

〈표 4-14〉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설치계획 및 현황 319

〈표 4-15〉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설치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19

〈표 4-16〉 방류수 수질개선 계획 및 현황 319

〈표 4-17〉 방류수 수질개선 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19

〈표 4-18〉 환경기초시설 관거정비 설치계획 및 현황 320

〈표 4-19〉 환경기초시설 관거정비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20

〈표 4-20〉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21

〈표 4-21〉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21

〈표 4-22〉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22

〈표 4-23〉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22

〈표 4-24〉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22

〈표 4-25〉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22

〈표 4-26〉 단위유역별 삭감계획 총괄 323

〈표 4-27〉 단위유역별 삭감방안 및 삭감부하량 323

〈표 4-28〉 단위유역별 주요 삭감시설 설치계획 324

〈표 4-29〉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설치계획 및 현황 324

〈표 4-30〉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설치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24

〈표 4-31〉 방류수 수질개선 계획 및 현황 325

〈표 4-32〉 방류수 수질개선 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25

〈표 4-33〉 환경기초시설 관거정비 설치계획 및 현황 325

〈표 4-34〉 환경기초시설 관거정비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25

〈표 4-35〉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26

〈표 4-36〉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26

〈표 4-37〉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27

〈표 4-38〉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27

〈표 4-39〉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27

〈표 4-40〉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27

〈표 4-41〉 단위유역별 삭감방안 및 삭감부하량 328

〈표 4-42〉 단위유역별 주요 삭감시설 설치계획 330

〈표 4-43〉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설치계획 및 현황 332

〈표 4-44〉 방류수 수질개선 계획 및 현황 332

〈표 4-45〉 방류수 수질개선 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32

〈표 4-46〉 환경기초시설 관거정비 설치계획 및 현황 333

〈표 4-47〉 환경기초시설 관거정비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33

〈표 4-48〉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34

〈표 4-49〉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34

〈표 4-50〉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34

〈표 4-51〉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35

〈표 4-52〉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35

〈표 4-53〉 단위유역별 삭감방안 및 삭감부하량 336

〈표 4-54〉 단위유역별 주요 삭감시설 설치계획 338

〈표 4-55〉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설치계획 및 현황 342

〈표 4-56〉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설치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42

〈표 4-57〉 방류수 수질개선 계획 및 현황 343

〈표 4-58〉 방류수 수질개선 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44

〈표 4-59〉 환경기초시설 관거정비 설치계획 및 현황 345

〈표 4-60〉 환경기초시설 관거정비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46

〈표 4-61〉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47

〈표 4-62〉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47

〈표 4-63〉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48

〈표 4-64〉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48

〈표 4-65〉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 및 현황 349

〈표 4-66〉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에 따른 삭감부하량 및 재원조달 방안 350

〈표 5-1〉 BOD 발생부하량 전망 총괄 352

〈표 5-2〉 BOD 배출부하량 전망 총괄 353

〈표 5-3〉 TP 발생부하량 전망 총괄 354

〈표 5-4〉 TP 배출부하량 전망 총괄 355

〈표 5-5〉 생활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357

〈표 5-6〉 생활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359

〈표 5-7〉 생활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362

〈표 5-8〉 생활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364

〈표 5-9〉 축산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369

〈표 5-10〉 축산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371

〈표 5-11〉 축산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374

〈표 5-12〉 축산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376

〈표 5-13〉 산업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381

〈표 5-14〉 산업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383

〈표 5-15〉 산업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386

〈표 5-16〉 산업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388

〈표 5-17〉 토지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393

〈표 5-18〉 토지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395

〈표 5-19〉 토지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398

〈표 5-20〉 토지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400

〈표 5-21〉 양식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405

〈표 5-22〉 양식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405

〈표 5-23〉 양식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406

〈표 5-24〉 양식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406

〈표 5-25〉 매립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407

〈표 5-26〉 매립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407

〈표 5-27〉 매립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총괄) 408

〈표 5-28〉 매립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총괄) 408

〈표 5-29〉 BOD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09

〈표 5-30〉 BOD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10

〈표 5-31〉 TP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11

〈표 5-32〉 TP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12

〈표 5-33〉 생활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14

〈표 5-34〉 생활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16

〈표 5-35〉 생활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19

〈표 5-36〉 생활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21

〈표 5-37〉 축산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26

〈표 5-38〉 축산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28

〈표 5-39〉 축산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31

〈표 5-40〉 축산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33

〈표 5-41〉 산업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38

〈표 5-42〉 산업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40

〈표 5-43〉 산업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43

〈표 5-44〉 산업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45

〈표 5-45〉 토지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50

〈표 5-46〉 토지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52

〈표 5-47〉 토지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55

〈표 5-48〉 토지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57

〈표 5-49〉 양식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62

〈표 5-50〉 양식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62

〈표 5-51〉 양식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63

〈표 5-52〉 양식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63

〈표 5-53〉 매립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64

〈표 5-54〉 매립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64

〈표 5-55〉 매립계 TP 발생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65

〈표 5-56〉 매립계 TP 배출부하량 전망(자연증감) 465

〈표 5-57〉 환경기초시설별 관거배출비 466

〈표 5-58〉 BOD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68

〈표 5-59〉 BOD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69

〈표 5-60〉 TP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70

〈표 5-61〉 TP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71

〈표 5-62〉 생활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73

〈표 5-63〉 생활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75

〈표 5-64〉 생활계 TP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78

〈표 5-65〉 생활계 TP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80

〈표 5-66〉 축산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85

〈표 5-67〉 축산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87

〈표 5-68〉 축산계 TP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90

〈표 5-69〉 축산계 TP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92

〈표 5-70〉 산업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97

〈표 5-71〉 산업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499

〈표 5-72〉 산업계 TP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02

〈표 5-73〉 산업계 TP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04

〈표 5-74〉 토지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09

〈표 5-75〉 토지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11

〈표 5-76〉 토지계 TP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14

〈표 5-77〉 토지계 TP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16

〈표 5-78〉 양식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21

〈표 5-79〉 양식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21

〈표 5-80〉 양식계 TP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22

〈표 5-81〉 양식계 TP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22

〈표 5-82〉 매립계 BOD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23

〈표 5-83〉 매립계 BOD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23

〈표 5-84〉 매립계 TP 발생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24

〈표 5-85〉 매립계 TP 배출부하량 전망(개발계획) 524

〈표 5-86〉 BOD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25

〈표 5-87〉 TP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26

〈표 5-88〉 생활계 BOD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28

〈표 5-89〉 생활계 TP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31

〈표 5-90〉 축산계 BOD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36

〈표 5-91〉 축산계 TP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39

〈표 5-92〉 산업계 BOD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44

〈표 5-93〉 산업계 TP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47

〈표 5-94〉 토지계 BOD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52

〈표 5-95〉 토지계 TP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55

〈표 5-96〉 양식계 BOD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60

〈표 5-97〉 양식계 TP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60

〈표 5-98〉 매립계 BOD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61

〈표 5-99〉 매립계 TP 삭감부하량(삭감계획) 561

〈표 6-1〉 대구광역시 단위유역별 목표수질 및 기준유량 563

〈표 6-2〉 단위유역별 BOD 수질현황 564

〈표 6-3〉 단위유역별 TP 수질현황 565

〈표 6-4〉 주요 수질모델과 특성 567

〈표 6-5〉 국내에 적용된 수질모델의 비교 569

〈표 6-6〉 QUALKO2 모형의 소구간(element) 구성요소 571

〈표 6-7〉 QUALKO 모형의 소구간(element) 구성요소 572

〈표 6-8〉 HEC-RAS 모식도 및 수리모델 적용 하천 및 구간 576

〈표 6-9〉 대구광역시 수질모델 수리계수 579

〈표 6-10〉 유달율 산정 방법의 일반적 분류 582

〈표 6-11〉 대구광역시 단위유역의 소유역별 유달율(금호C) 583

〈표 6-12〉 대구광역시 단위유역의 소유역별 유달율(낙본G) 584

〈표 6-13〉 대구광역시 수질모델 적용하천 및 구간 구분 586

〈표 6-14〉 대구광역시 금호C, 낙본진 단위유역별 TP 목표수질 달성여부 평가 588

〈표 7-1〉 기본계획 BOD 할당부하량 590

〈표 7-2〉 기본계획 TP 할당부하량 590

〈표 7-3〉 단위유역 최종년도 오염원그룹별 BOD 할당부하량 591

〈표 7-4〉 단위유역 최종년도 오염원그룹별 TP 할당부하량 592

〈표 7-5〉 최종년도 BOD 소유역별 할당부하량 594

〈표 7-6〉 최종년도 TP 소유역별 할당부하량 597

〈표 7-7〉 단위유역 연차별 BOD 할당부하량 총괄 602

〈표 7-8〉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BOD 할당부하량 총괄 604

〈표 7-9〉 단위유역별 BOD 지역개발부하량 총괄(누적) 605

〈표 7-10〉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BOD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606

〈표 7-11〉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BOD 개발계획 부하량(누적) 607

〈표 7-12〉 단위유역 오염원 그룹별 연차별 BOD 여유량(누적) 608

〈표 7-13〉 단위유역 BOD 삭감계획 부하량 총괄(누적) 609

〈표 7-14〉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BOD 삭감계획부하량(누적) 610

〈표 7-15〉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BOD 최종 배출부하량 611

〈표 7-16〉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BOD 할당부하량(누적) 612

〈표 7-17〉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BOD 잔여량(누적) 613

〈표 7-18〉 단위유역 연차별 TP 부하량 총괄표 614

〈표 7-19〉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TP 할당부하량 총괄 616

〈표 7-20〉 단위유역별 TP 지역개발부하량 총괄(누적) 619

〈표 7-21〉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TP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620

〈표 7-22〉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TP 개발계획 부하량(누적) 622

〈표 7-23〉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TP 여유량(누적) 624

〈표 7-24〉 단위유역 TP 삭감계획 부하량 총괄(누적) 626

〈표 7-25〉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TP 삭감계획부하량(누적) 627

〈표 7-26〉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TP 최종 배출부하량 629

〈표 7-27〉 단위유역 오염원그룹별 연차별 TP 할당부하량(누적) 631

〈표 7-28〉 단위유역 오염원 그룹별 연차별 TP 잔여량(누적) 633

〈표 7-29〉 소유역별 연차별 BOD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635

〈표 7-30〉 소유역별 연차별 BOD 개발계획부하량(누적) 638

〈표 7-31〉 소유역별 연차별 BOD 여유량(누적) 641

〈표 7-32〉 소유역별 연차별 BOD 삭감계획부하량(누적) 644

〈표 7-33〉 소유역별 연차별 BOD 최종배출부하량 647

〈표 7-34〉 소유역별 연차별 BOD 할당부하량 650

〈표 7-35〉 소유역별 연차별 BOD 잔여량(누적) 653

〈표 7-36〉 소유역별 연차별 TP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656

〈표 7-37〉 소유역별 연차별 TP 개발계획부하량(누적) 661

〈표 7-38〉 소유역별 연차별 TP 여유량(누적) 666

〈표 7-39〉 소유역별 연차별 TP 삭감계획부하량(누적) 671

〈표 7-40〉 소유역별 연차별 TP 최종배출부하량 676

〈표 7-41〉 소유역별 연차별 TP 할당부하량 681

〈표 7-42〉 소유역별 연차별 TP 잔여량(누적) 686

〈표 7-43〉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691

〈표 7-44〉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개발계획 부하량(누적) 694

〈표 7-45〉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여유량 현황(누적) 697

〈표 7-46〉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삭감계획부하량(누적) 700

〈표 7-47〉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최종배출부하량 703

〈표 7-48〉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할당부하량 706

〈표 7-49〉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잔여량 현황 709

〈표 7-50〉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712

〈표 7-51〉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개발계획 부하량(누적) 717

〈표 7-52〉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여유량 현황(누적) 722

〈표 7-53〉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삭감계획부하량(누적) 727

〈표 7-54〉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최종배출부하량 732

〈표 7-55〉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할당부하량 737

〈표 7-56〉 생활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잔여량 현황 742

〈표 7-57〉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747

〈표 7-58〉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개발계획 부하량(누적) 750

〈표 7-59〉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여유량 현황(누적) 753

〈표 7-60〉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삭감계획부하량(누적) 756

〈표 7-61〉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최종배출부하량 759

〈표 7-62〉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할당부하량 762

〈표 7-63〉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잔여량 현황 765

〈표 7-64〉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768

〈표 7-65〉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개발계획 부하량(누적) 773

〈표 7-66〉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여유량 현황(누적) 778

〈표 7-67〉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삭감계획부하량(누적) 783

〈표 7-68〉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최종배출부하량 788

〈표 7-69〉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할당부하량 793

〈표 7-70〉 축산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잔여량 현황 798

〈표 7-71〉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803

〈표 7-72〉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개발계획 부하량(누적) 806

〈표 7-73〉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여유량 현황(누적) 809

〈표 7-74〉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삭감계획부하량(누적) 812

〈표 7-75〉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최종배출부하량 815

〈표 7-76〉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할당부하량 818

〈표 7-77〉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잔여량 현황 821

〈표 7-78〉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824

〈표 7-79〉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개발계획 부하량(누적) 829

〈표 7-80〉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여유량 현황(누적) 834

〈표 7-81〉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삭감계획부하량(누적) 839

〈표 7-82〉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최종배출부하량 844

〈표 7-83〉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할당부하량 849

〈표 7-84〉 산업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잔여량 현황 854

〈표 7-85〉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859

〈표 7-86〉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개발계획 부하량(누적) 862

〈표 7-87〉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여유량 현황(누적) 865

〈표 7-88〉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삭감계획부하량(누적) 868

〈표 7-89〉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최종배출부하량 871

〈표 7-90〉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할당부하량 874

〈표 7-91〉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잔여량 현황 877

〈표 7-92〉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880

〈표 7-93〉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개발계획 부하량(누적) 885

〈표 7-94〉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여유량 현황(누적) 890

〈표 7-95〉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삭감계획부하량(누적) 895

〈표 7-96〉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최종배출부하량 900

〈표 7-97〉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할당부하량 905

〈표 7-98〉 토지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잔여량 현황 910

〈표 7-99〉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915

〈표 7-100〉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개발계획 부하량 현황(누적) 915

〈표 7-101〉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여유량 현황(누적) 916

〈표 7-102〉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삭감부하량 916

〈표 7-103〉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최종배출부하량 916

〈표 7-104〉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할당부하량 917

〈표 7-105〉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잔여량 917

〈표 7-106〉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918

〈표 7-107〉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개발계획 부하량 현황(누적) 918

〈표 7-108〉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여유량 현황(누적) 918

〈표 7-109〉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삭감부하량 919

〈표 7-110〉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최종배출부하량 919

〈표 7-111〉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할당부하량 919

〈표 7-112〉 양식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잔여량 920

〈표 7-113〉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921

〈표 7-114〉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개발계획부하량(누적) 921

〈표 7-115〉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여유량(누적) 921

〈표 7-116〉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삭감목표부하량 922

〈표 7-117〉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최종배출부하량 922

〈표 7-118〉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할당부하량 923

〈표 7-119〉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BOD 잔여량 923

〈표 7-120〉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지역개발부하량(개발계획+여유량)(누적) 924

〈표 7-121〉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개발계획부하량(누적) 924

〈표 7-122〉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여유량(누적) 924

〈표 7-123〉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삭감목표부하량 925

〈표 7-124〉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최종배출부하량 925

〈표 7-125〉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할당부하량 926

〈표 7-126〉 매립계 소유역별 연차별 TP 잔여량 926

〈표 8-1〉 BOD 할당시설 지정현황 929

〈표 8-2〉 TP 할당시설 지정현황 932

〈표 8-3〉 연차별 BOD 삭감부하량 총괄표 933

〈표 8-4〉 연차별 TP 삭감부하량 총괄표 934

〈표 8-5〉 BOD 할당에 의한 삭감시설 및 이행시기 935

〈표 8-6〉 BOD 할당이외의 방법에 의한 삭감시설 삭감부하량 및 이행시기 936

〈표 8-7〉 BOD 할당방법에 의한 삭감시설 재원조달 방안 및 연차별투자계획 937

〈표 8-8〉 BOD 할당이외의 방법에 의한 삭감시설 재원조달 방안 및 연차별투자계획 937

〈표 8-9〉 TP 할당에 의한 삭감시설 및 이행시기 938

〈표 8-10〉 TP 할당에 의한 삭감시설 설치 주요 추진일정 939

〈표 8-11〉 TP 할당이외의 방법에 의한 삭감시설 삭감부하량 및 이행시기 940

〈표 8-12〉 TP 할당이외의 방법에 의한 삭감시설 설치 주요 추진일정 941

〈표 8-13〉 TP 할당방법에 의한 삭감시설 재원조달 방안 및 연차별투자계획 942

〈표 8-14〉 TP 할당이외의 방법에 의한 삭감시설 재원조달 방안 및 연차별투자계획 943

〈표 9-1〉 오염총량관리 주체별 이행관리 역할 950

〈표 9-2〉 할당시설 및 비할당시설 지정·관리계획 953

〈표 9-3〉 저영향개발 접근방법의 이점 959

〈표 9-4〉 저영향개발 접근방법의 전략 959

〈표 9-5〉 개발사업 배출부하량 최소화 방안 962

〈표 9-6〉 생태면적률 공간유형 구분 및 가중치 965

〈표 9-7〉 수질·유량의 조사대상 및 주기 967

〈표 9-8〉 오염물질 배출·삭감시설(할당시설 포함) 수질유량 모니터링 계획 968

〈표 9-9〉 관리대상 하천지점의 유량·수질측정 계획 972

〈표 9-10〉 이행평가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974

그림목차

〈그림 1-1〉 낙동강수계 대구광역시 소유역도 구분 43

〈그림 1-2〉 단위유역별 BOD, TP 목표수질 현황 44

〈그림 1-3〉 단위유역별 TP 목표수질 현황 45

〈그림 2-1〉 낙동강수계 대구광역시 단위유역도 110

〈그림 2-2〉 낙동강수계 대구광역시 소유역도 구분 112

〈그림 2-3〉 낙동강수계 대구광역시 티센망도 132

〈그림 2-4〉 낙동강수계 대구광역시 취수시설 및 보 위치 133

〈그림 2-5〉 수질조사 지점 상세도 164

〈그림 2-6〉 수질조사 지점 상세도(계속) 165

〈그림 2-7〉 수질조사 지점 상세도(계속) 166

〈그림 6-1〉 단위유역별 BOD, TP 목표수질 현황 564

〈그림 6-2〉 단위유역별 TP 목표수질 현황 565

〈그림 6-3〉 수질 모형에서의 계산구간의 분할방법 571

〈그림 6-4〉 QUALKO 모델 기본 구조 573

〈그림 6-5〉 HEC-RAS를 이용한 수리계수 산정 574

〈그림 6-6〉 수리계수 산정의 도식화 576

〈그림 6-7〉 낙동강 본류 횡단면도(낙본F 단위유역 시점) 577

〈그림 6-8〉 낙동강 본류 횡단면도(낙본F 말단부) 577

〈그림 6-9〉 낙동강 본류 종단면도 578

〈그림 6-10〉 HEC-RAS 모식도 및 수리모델 적용 하천 및 구간 587

〈그림 6-11〉 금호C 단위유역 시행계획 수질모의 결과 588

〈그림 6-12〉 낙본G 단위유역 시행계획 수질모의 결과 588

〈그림 9-1〉 이행 관리 추진체계도 946

〈그림 9-2〉 지역개발부하량 누적관리대장 활용방안 955

〈그림 9-3〉 지역개발사업 최적관리 흐름도 956

〈그림 9-4〉 BMP 선정의 주요단계 설명 958

〈그림 9-5〉 LID 접근방법에 의한 강우유출수 관리 예 961

〈그림 9-6〉 고밀도 주거지역 식생체류장치 적용 예 962

〈그림 9-7〉 고밀도 주거지역 투수성 포장의 적용 예 963

〈그림 9-8〉 상업/공업/공공 지역 투수성 포장 적용 예 963

〈그림 9-9〉 상업/공업/공공 지역 옥상녹화 적용 예 964

〈그림 9-10〉 도로/주차장 투수성 포장 적용 예 965

〈그림 9-11〉 하천 주요지점 수질유량 조사지점도 971

이용현황보기

(제3단계 낙동강수계) 대구광역시 금호C·낙본G 단위유역 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변경 : 보고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67886 628.168 -20-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7887 628.168 -20-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