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목차

2013 회천 2

목차 3

제1장 기초자료 조사 5

1.1. 유역특성 조사 6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6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2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5

1.1.4. 하천수계 조사 18

1.2. 기초수문 조사 19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9

1.2.2. 수위관측소 20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2

1.3. 관련계획 조사 23

1.3.1. 각종 개발계획 23

1.3.2. 관련계획 조사 29

제2장 홍수량 산정 30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32

2.2. 확률강우량 41

2.2.1. 지점확률강우량 41

2.2.2. 강우강도식 43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46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51

2.3. 유효우량 산정 53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57

2.4.1. 매개변수 산정 57

2.5. 홍수량 산정 63

2.5.1. 기본홍수량 산정 63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68

2.5.3. 현재홍수량 산정 68

2.5.4. 홍수량 배분도 70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71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79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80

3.1. 장래 유역변화 82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86

2014 창녕합천보 95

목차 96

제1장 기초자료 조사 98

1.1. 유역특성 조사 99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99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04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07

1.1.4. 하천수계 조사 110

1.2. 기초수문 조사 111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11

1.2.2. 수위관측소 112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14

1.3. 관련계획 조사 115

1.3.1. 각종 개발계획 115

1.3.2. 관련계획 조사 121

제2장 홍수량 산정 123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25

2.2. 확률강우량 130

2.2.1. 지점확률강우량 130

2.2.2. 강우강도식 132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35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38

2.3. 유효우량 산정 139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41

2.4.1. 매개변수 산정 141

2.5. 홍수량 산정 144

2.5.1. 기본홍수량 산정 144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46

2.5.3. 현재홍수량 산정 146

2.5.4. 홍수량 배분도 147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48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51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53

3.1. 장래 유역변화 155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60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61

2015 합천댐 166

목차 167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69

1.1. 유역특성 조사 170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70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79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83

1.1.4. 하천수계 조사 187

1.2. 기초수문 조사 188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88

1.2.2. 수위관측소 189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91

1.3. 관련계획 조사 192

1.3.1. 관련계획 조사 192

제2장 홍수량 산정 196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98

2.2. 확률강우량 216

2.2.1. 지점확률강우량 216

2.2.2. 강우강도식 219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24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44

2.3. 유효우량 산정 245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54

2.4.1. 매개변수 산정 254

2.5. 홍수량 산정 265

2.5.1. 기본홍수량 산정 265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75

2.5.3. 현재홍수량 산정 275

2.5.4. 홍수량 배분도 279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80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93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304

3.1. 장래 유역변화 306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312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314

2016 황강 331

목차 332

제1장 기초자료 조사 334

1.1. 유역특성 조사 335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335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343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347

1.1.4. 하천수계 조사 351

1.2. 기초수문 조사 352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352

1.2.2. 수위관측소 353

1.2.3. 주요 홍수사상 353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355

1.3. 관련계획 조사 356

1.3.1. 관련계획 조사 356

제2장 홍수량 산정 359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361

2.2. 확률강우량 376

2.2.1. 지점확률강우량 376

2.2.2. 강우강도식 380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384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397

2.3. 유효우량 산정 398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405

2.4.1. 매개변수 산정 405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411

2.5. 홍수량 산정 413

2.5.1. 기본홍수량 산정 413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420

2.5.3. 현재홍수량 산정 420

2.5.4. 홍수량 배분도 424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425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433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441

3.1. 장래 유역변화 443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448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449

2017 낙동창녕 461

목차 462

제1장 기초자료 조사 464

1.1. 유역특성 조사 465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465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472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476

1.1.4. 하천수계 조사 480

1.2. 기초수문 조사 481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481

1.2.2. 수위관측소 482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484

1.3. 관련계획 조사 485

1.3.1. 각종 개발계획 485

1.3.2. 관련계획 조사 487

제2장 홍수량 산정 489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491

2.2. 확률강우량 500

2.2.1. 지점확률강우량 500

2.2.2. 강우강도식 502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506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512

2.3. 유효우량 산정 513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518

2.4.1. 매개변수 산정 518

2.5. 홍수량 산정 523

2.5.1. 기본홍수량 산정 523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528

2.5.3. 현재홍수량 산정 528

2.5.4. 홍수량 배분도 529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530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537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539

3.1. 장래 유역변화 541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545

2018 남강댐 554

목차 555

제1장 기초자료 조사 557

1.1. 유역특성 조사 558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558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576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582

1.1.4. 하천수계 조사 590

1.2. 기초수문 조사 591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591

1.2.2. 수위관측소 593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595

1.3. 관련계획 조사 596

1.3.1. 각종 개발계획 596

1.3.2. 관련계획 조사 600

제2장 홍수량 산정 608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610

2.2. 확률강우량 649

2.2.1. 지점확률강우량 649

2.2.2. 강우강도식 657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663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750

2.3. 유효우량 산정 752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775

2.4.1. 매개변수 산정 775

2.5. 홍수량 산정 800

2.5.1. 기본홍수량 산정 800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822

2.5.3. 현재홍수량 산정 822

2.5.4. 홍수량 배분도 823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824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849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874

3.1. 장래 유역변화 876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880

2019 남강 916

목차 917

제1장 기초자료 조사 919

1.1. 유역특성 조사 920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920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933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938

1.1.4. 하천수계 조사 944

1.2. 기초수문 조사 945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945

1.2.2. 수위관측소 946

1.2.3. 주요 홍수사상 946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948

1.3. 관련계획 조사 949

1.3.1. 각종 개발계획 949

1.3.2. 관련계획 조사 953

제2장 홍수량 산정 958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960

2.2. 확률강우량 982

2.2.1. 지점확률강우량 982

2.2.2. 강우강도식 989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997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040

2.3. 유효우량 산정 1041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053

2.4.1. 매개변수 산정 1053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1066

2.5. 홍수량 산정 1069

2.5.1. 기본홍수량 산정 1069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082

2.5.3. 현재홍수량 산정 1082

2.5.4. 홍수량 배분도 1088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089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104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106

3.1. 장래 유역변화 1108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114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116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 산정 보고서·부록 책 구성 1137

수자원 단위지도 기준 수계별 하천현황 1171

2000 낙동강 1236

목차 1237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239

1.1. 유역특성 조사 1240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240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245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248

1.1.4. 하천수계 조사 1251

1.2. 기초수문 조사 1252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252

1.2.2. 수위관측소 1261

1.2.3. 주요 홍수사상 1264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265

1.3. 관련계획 조사 1267

1.3.1. 각종 개발계획 1267

1.3.2. 관련계획 조사 1305

제2장 홍수량 산정 1326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328

2.2. 확률강우량 1332

2.2.1. 지점확률강우량 1332

2.2.2. 강우강도식 1352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370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389

2.3. 유효우량 산정 1391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393

2.4.1. 매개변수 산정 1393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1397

2.5. 홍수량 산정 1402

2.5.1. 기본홍수량 산정 1402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405

2.5.3. 현재홍수량 산정 1405

2.5.4. 홍수량 배분도 1424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425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429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430

3.1. 장래 유역변화 1432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440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444

2020 낙동밀양 1451

목차 1452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454

1.1. 유역특성 조사 1455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455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466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470

1.1.4. 하천수계 조사 1475

1.2. 기초수문 조사 1476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476

1.2.2. 수위관측소 1477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479

1.3. 관련계획 조사 1480

1.3.1. 각종 개발계획 1480

1.3.2. 관련계획 조사 1488

제2장 홍수량 산정 1491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493

2.2. 확률강우량 1511

2.2.1. 지점확률강우량 1511

2.2.2. 강우강도식 1514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517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526

2.3. 유효우량 산정 1527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536

2.4.1. 매개변수 산정 1536

2.5. 홍수량 산정 1547

2.5.1. 기본홍수량 산정 1547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556

2.5.3. 현재홍수량 산정 1556

2.5.4. 홍수량 배분도 1557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558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571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573

3.1. 장래 유역변화 1575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581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583

2021 밀양강 1599

목차 1600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602

1.1. 유역특성 조사 1603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603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611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615

1.1.4. 하천수계 조사 1619

1.2. 기초수문 조사 1620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620

1.2.2. 수위관측소 1621

1.2.3. 주요 홍수사상 1623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623

1.3. 관련계획 조사 1625

1.3.1. 각종 개발계획 1625

1.3.2. 관련계획 조사 1631

제2장 홍수량 산정 1633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635

2.2. 확률강우량 1656

2.2.1. 지점확률강우량 1656

2.2.2. 강우강도식 1660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664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688

2.3. 유효우량 산정 1689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700

2.4.1. 매개변수 산정 1700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1713

2.5. 홍수량 산정 1715

2.5.1. 기본홍수량 산정 1715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725

2.5.3. 현재홍수량 산정 1726

2.5.4. 홍수량 배분도 1734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734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749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761

3.1. 장래 유역변화 1763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768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769

2022 낙동강하구언 1788

목차 1789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791

1.1. 유역특성 조사 1792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792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802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806

1.1.4. 하천수계 조사 1810

1.2. 기초수문 조사 1811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811

1.2.2. 수위관측소 1812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814

1.3. 관련계획 조사 1815

1.3.1. 각종 개발계획 1815

1.3.2. 관련계획 조사 1825

제2장 홍수량 산정 1828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830

2.2. 확률강우량 1844

2.2.1. 지점확률강우량 1844

2.2.2. 강우강도식 1847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850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858

2.3. 유효우량 산정 1859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867

2.4.1. 매개변수 산정 1867

2.5. 홍수량 산정 1874

2.5.1. 기본홍수량 산정 1874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883

2.5.3. 현재홍수량 산정 1883

2.5.4. 홍수량 배분도 1884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885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896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898

3.1. 장래 유역변화 1900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906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908

2301 회야강 1921

목차 1922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924

1.1. 유역특성 조사 1925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925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933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936

1.1.4. 하천수계 조사 1940

1.2. 기초수문 조사 1941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941

1.2.2. 수위관측소 1942

1.2.3. 주요 홍수사상 1944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944

1.3. 관련계획 조사 1946

1.3.1. 각종 개발계획 1946

1.3.2. 관련계획 조사 1948

제2장 홍수량 산정 1951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953

2.2. 확률강우량 1962

2.2.1. 지점확률강우량 1962

2.2.2. 강우강도식 1964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966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970

2.3. 유효우량 산정 1971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975

2.4.1. 매개변수 산정 1975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1979

2.5. 홍수량 산정 1981

2.5.1. 기본홍수량 산정 1981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984

2.5.3. 현재홍수량 산정 1985

2.5.4. 홍수량 배분도 1987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988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997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1999

3.1. 장래 유역변화 2001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007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009

2302 수영강 2017

목차 2018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020

1.1. 유역특성 조사 2021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021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029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033

1.1.4. 하천수계 조사 2037

1.2. 기초수문 조사 2038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038

1.2.2. 수위관측소 2038

1.2.2. 주요 홍수사상 2040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040

1.3. 관련계획 조사 2041

1.3.1. 각종 개발계획 2041

1.3.2. 관련계획 조사 2043

제2장 홍수량 산정 2045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047

2.2. 확률강우량 2062

2.2.1. 지점확률강우량 2062

2.2.2. 강우강도식 2064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066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074

2.3. 유효우량 산정 2075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082

2.4.1. 매개변수 산정 2082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090

2.5. 홍수량 산정 2090

2.5.1. 기본홍수량 산정 2090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098

2.5.3. 현재홍수량 산정 2100

2.5.4. 홍수량 배분도 2101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102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113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2115

3.1. 장래 유역변화 2117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125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129

2501 가화천 2143

목차 2144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146

1.1. 유역특성 조사 2147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147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158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162

1.1.4. 하천수계 조사 2167

1.2. 기초수문 조사 2168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168

1.2.2. 수위관측소 2169

1.2.3. 주요 홍수사상 2171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171

1.3. 관련계획 조사 2172

1.3.1. 각종 개발계획 2172

1.3.2. 관련계획 조사 2178

제2장 홍수량 산정 2181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183

2.2. 확률강우량 2200

2.2.1. 지점확률강우량 2200

2.2.2. 강우강도식 2203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205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216

2.3. 유효우량 산정 2217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226

2.4.1. 매개변수 산정 2226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237

2.5. 홍수량 산정 2237

2.5.1. 기본홍수량 산정 2237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248

2.5.3. 현재홍수량 산정 2250

2.5.4. 홍수량 배분도 2251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252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266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2267

3.1. 장래 유역변화 2269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274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275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 산정 보고서·부록 책 구성 2292

수자원 단위지도 기준 수계별 하천현황 2326

2502 남해도 2391

목차 2392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394

1.1. 유역특성 조사 2395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395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403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406

1.1.4. 하천수계 조사 2410

1.2. 기초수문 조사 2411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411

1.2.2. 수위관측소 2411

1.2.3. 주요 홍수사상 2413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413

1.3. 관련계획 조사 2414

1.3.1. 각종 개발계획 2414

1.3.2. 관련계획 조사 2414

제2장 홍수량 산정 2417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419

2.2. 확률강우량 2427

2.2.1. 지점확률강우량 2427

2.2.2. 강우강도식 2428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429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432

2.3. 유효우량 산정 2433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437

2.4.1. 매개변수 산정 2437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441

2.5. 홍수량 산정 2441

2.5.1. 기본홍수량 산정 2441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444

2.5.3. 현재홍수량 산정 2444

2.5.4. 홍수량 배분도 2445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446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452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2453

3.1. 장래 유역변화 2455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458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459

2503 거제도 2466

목차 2467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469

1.1. 유역특성 조사 2470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470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476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479

1.1.4. 하천수계 조사 2482

1.2. 기초수문 조사 2483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483

1.2.2. 수위관측소 2483

1.2.3. 주요 홍수사상 2485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485

1.3. 관련계획 조사 2486

1.3.1. 각종 개발계획 2486

1.3.2. 관련계획 조사 2486

제2장 홍수량 산정 2488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490

2.2. 확률강우량 2498

2.2.1. 지점확률강우량 2498

2.2.2. 강우강도식 2499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500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504

2.3. 유효우량 산정 2505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508

2.4.1. 매개변수 산정 2508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512

2.5. 홍수량 산정 2512

2.5.1. 기본홍수량 산정 2512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515

2.5.3. 현재홍수량 산정 2517

2.5.4. 홍수량 배분도 2518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519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524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2526

3.1. 장래 유역변화 2528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534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536

2504 낙동강남해 2544

목차 2545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547

1.1. 유역특성 조사 2548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548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559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563

1.1.4. 하천수계 조사 2568

1.2. 기초수문 조사 2569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569

1.2.2. 수위관측소 2569

1.2.3. 주요 홍수사상 2571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571

1.3. 관련계획 조사 2572

1.3.1. 각종 개발계획 2572

1.3.2. 관련계획 조사 2576

제2장 홍수량 산정 2580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582

2.2. 확률강우량 2596

2.2.1. 지점확률강우량 2596

2.2.2. 강우강도식 2599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602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610

2.3. 유효우량 산정 2611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619

2.4.1. 매개변수 산정 2619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627

2.5. 홍수량 산정 2628

2.5.1. 기본홍수량 산정 2628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635

2.5.3. 현재홍수량 산정 2635

2.5.4. 홍수량 배분도 2636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637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647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2648

3.1. 장래 유역변화 2650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658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662

4000 섬진강 2674

목차 2675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677

1.1. 유역특성 조사 2678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678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681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683

1.1.4. 하천수계 조사 2685

1.2. 기초수문 조사 2686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686

1.2.2. 수위관측소 2687

1.2.3. 주요 홍수사상 2689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689

1.3. 관련계획 조사 2691

1.3.1. 각종 개발계획 2691

1.3.2. 관련계획 조사 2701

제2장 홍수량 산정 2702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704

2.2. 확률강우량 2707

2.2.1. 확률강우량 2707

2.2.2. 강우강도식 2723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734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737

2.3. 유효우량 산정 2738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739

2.4.1. 매개변수 산정 2739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742

2.5. 홍수량 산정 2744

2.5.1. 기본홍수량 산정 2744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746

2.5.3. 현재홍수량 산정 2748

2.5.4. 홍수량 배분도 2749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750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753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2754

3.1. 장래 유역변화 2756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759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760

4009 섬진강하류 2764

목차 2765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767

1.1. 유역특성 조사 2768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768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781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786

1.1.4. 하천수계 조사 2792

1.2. 기초수문 조사 2793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793

1.2.2. 수위관측소 2794

1.2.3. 주요 홍수사상 2796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796

1.3. 관련계획 조사 2798

1.3.1. 각종 개발계획 2798

1.3.2. 관련계획 조사 2802

제2장 홍수량 산정 2806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808

2.2. 확률강우량 2827

2.2.1. 확률강우량 2827

2.2.2. 강우강도식 2834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840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848

2.3. 유효우량 산정 2849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857

2.4.1. 매개변수 산정 2857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866

2.5. 홍수량 산정 2868

2.5.1. 기본홍수량 산정 2868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877

2.5.3. 현재홍수량 산정 2877

2.5.4. 홍수량 배분도 2877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878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889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2890

3.1. 장래 유역변화 2892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895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896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 산정 보고서·부록 책 구성 2909

수자원 단위지도 기준 수계별 하천현황 2943

이용현황보기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 산정 보고서·부록 : 경상남도. 1-3권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69096 627.4 -20-21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9097 627.4 -20-21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9098 627.4 -20-21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9099 627.4 -20-21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9100 627.4 -20-21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9101 627.4 -20-21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